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43

        210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ficiency of competent native English speaker raters and the inherent problem with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oral proficiency interview (OPI) has precluded the full-fledged implementation of English performance testing, inevitably ushering in the computer- based oral proficiency interview (COPI) as its viable alternative with the help of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The plausibility and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SR-based COPI has recently been investigated with favorable results, which warrants more sophisticated research focusing on development of desirable test methods that will meet the rigorous criteria required by high-stakes language tests. In this respect, employing varied statistical methods as correlational, regression analyses, and ANOVA,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explor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est method facets and to identify valid test methods to maximi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R-based COPⅠ.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ommunicative language components to be measured, the statistical findings reveal that some test methods prove to be more effective than others in producing COPI test results with better discriminability and reliability. The survey of students and teachers also suggest their favorable attitudes toward utilizing the COPI for in-class evaluation. Both findings strongly corroborates potential of the COPI in question as a valid performance testing tool to measure overall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current research is expected not only to shed light on advancement of performance testing, but also to serve the purpose of enhancing communicative English teaching.
        7,800원
        2102.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를 이용하여 한국의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7학년 과학과의 교육목표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목표를 분석하여 교과서에 반영된 교육목표가 교육과정상의 요구 목표와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목표와 교과서가 연계성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제7차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목표는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5의 조작적 기능(G.0)을 제외한 전 범주에 걸쳐 그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정의적인 영역(범주 H.0~I.0)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교과서는 NSTA의 권장 목표 비율과 비교해 볼 때 인지적 영역에 더욱 비중을 두고 출판되었으며, 교과서에 지향(범주 I.0)에 관한 목표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었다.
        4,300원
        2103.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evaluate food safety training program for employees in foodservice operations. The developed CD-ROM was consisted of 5 parts: foodbome illness, personal hygiene, food handling in food production steps, HACCP system, and sanitary facilities. It has made slides for all contents, the animation and movie to raise interests and concentrations, and illustrations and pictures to understand. The evaluation checklists were developed 15 questionnaires including understanding(5), information(3), concentration(4), recommendation(2),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1) and measured by Likert 5-point scale. Fifty-four dietitians in Daegu and Gyeongbuk schools, hospitals, and industries foodservice operations responded to the survey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CD-ROM was personal hygiene(33.3%). The total mean was 3.95±0.41, 3.91±0.46 on understanding, 3.89±0.50 on information, 3.87±0.55 on concentration and 4.29±0.49 on recommendation. Th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commendation part than others. Overall, as the developed CD-ROM has achieved fine score, a study on the effect of education needs to be followed. Moreover, consistent and organized education by developing a variety of sanitation education methods should be conducted.
        4,000원
        2104.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2108.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109.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실험관찰’ 교과서와 서로 다른 출판사의 중·고등학교 과학과 지구과학 I, II교과서, 각각 4권씩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을 분석하여 화석의 종류, 산출지역과 척도의 표기에 대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학교의 ‘과학’, ‘실험관찰’ 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의 종류는 32개였으며, 중학교 과학교과서 4권에는 50개, 그리고 고등학교 8권의 교과서에서는 109개였다. 그러나 화석사진에서 표현되는 과학적 정보는 부족하였다. 초등학교의 과학교과서와 실험관찰에서는 수록된 화석사진의 68%에 산출지가 표기되어 있었으며, 척도가 표기된 화석사진은 전체의 6%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 전체 화석의 40%와 16%에 산출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척도는 14%와 18%만이 표기되어 있었다. 보다 효과적인 과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에 산출지와 척도를 표기할 필요가 있다.
        4,300원
        2110.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211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균 연령 10.8세인 비만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영양교육을 중심으로 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비만도와 BMI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허리둘레 및 엉덩이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지방 조직 분비 호르몬-resistin, adiponectin, leptin의 수준은 체중조절 프로그램 실시전과 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esistin과 leptin의 변화량은 BMI 변화량과 양의 관계를, adiponect의 변화량은 음의 관계를 나타내 체위와의 상관성을 보여주었으나 본 연구만으로 이들 호르몬들과 체위변화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기에는 부족했다. 또한 체중조절 프로그램 후 열량 외에 무기질과 비타민 등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가 감소하여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열량섭취는 줄이면서 미량 영양소의 섭취는 유지할 수 있게 올바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비교적 단기간의 체중조절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것으로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영양교육의 내용을 수정하고, 체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며 좀 더 장기적인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수행한다면 아동 비만 치료에 더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비만과 체지방분비호르몬의 상관성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본다.
        4,000원
        211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anish has been introduced and taught in Korean middle schools since 2001,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me basic directions of teaching Spanish culture in Korean middle schools by using statistic analysis about students’ perception on Spanish culture.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current trends of teaching culture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the previous studies on Spanish culture, and purpose of this study. Statistic research method and data collection information are mentioned in the second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are described with SPSS cross tab tables, focusing on school, grade and gender. As a conclusion, the fourth chapter summarizes this study and shows that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Spanish culture and Spanish culture teaching is positively related to Spanish learning interest and elective courses should be chosen by students, not by schools.
        5,200원
        2113.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의미’ 통일 방안」의 후속 연구로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의 문제점을 살펴보아, 앞으로 시행될 제8차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하는데 일조를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한문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의 문제점을,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 둘째, ‘한자어의 내용 문제’, 셋째, ‘同音異義語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그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는 ‘명칭과 분류 문제’와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의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명칭의 문제’는 8종의 교과서 가운데 중앙교육은 명칭을 부여하지 않았으며, 분류에 있어서는 8종의 교과서가 ‘술목관계’, ‘술보관계’, ‘수식관계’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었다. 다만 ‘주술관계’는 7종의 교과서는 이견이 없지만, 청색출판사가 ‘주술관계’를 한자어의 짜임으로 설정하지 않고 ‘문장의 구조’로 파악했다. 또한, ‘병렬관계’ 가운데 ‘유사관계’는 8종의 교과서가 이견이 없고, ‘대립관계’와 ‘대등관계’를 나누거나 묶어서 분류하는데, 서로 다른 이견이 있었다. 이는 한자어를 도식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인한 것이며, 제8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교과서에서는 ‘한자어의 짜임’을 문맥에서 이해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다음으로,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 문제’이다. 8종의 교과서는 ‘自然保護’와 같이 우리말식으로 풀이되는 특이한 한자어를 제시하였으면서도, 일부 출판사는 설명이 없거나, 또는 ‘국어식 짜임’, ‘우리말식 짜임’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臥病’, ‘所願’, ‘所望’같이 정격에 어긋난 짜임에 대하여, 8종의 교과서가 그 ‘짜임’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고, 단지 일부 출판사만 ‘臥病’에 대해서 ‘병들어 누움’이라고 뜻풀이를 보충하였을뿐이다. 둘째, ‘한자어의 내용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문과 교육목표인 ‘언어생활에 활용하고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며, 바람직한 인성’을 기르는데 부적합하여 검토가 필요한 한자어는 1학년 교과서에는 14어휘, 2학년 교과서에는 34어휘, 3학년 교과서에는 54어휘가 있다. 이들 어휘 가운데 부사어는 30어휘, 생경하거나 난해한 어휘는 55어휘로, 과연 ‘언어생활과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殺人’과 같이 그 의미가 교과 내용으로 부적절한 한자어는 17어휘로써, 이에 대해 반드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同音異議語’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同音異議語의 지도는 타교과가 넘볼 수 없는 한문과의 고유 영역으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8종의 한문교과서에는 53어휘의 同音異議語가 수록되어 있다. 8종의 교과서 가운데 同音異議語에 대한 설명은 5개 출판사에 20어휘에 대한 설명이 있고, 3개 출판사는 다루지 않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전부 수용해야 하는 제한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교육과정에 따라 간행된 교과서보다는 교과서의 체제, 내용 등에 비약적인 발전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자어의 짜임’의 ‘명칭과 분류’에 대한 통일과 ‘한자어의 내용’, ‘同音異議語’에 대한 지도 대책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시행될 제8차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할 때에는 이를 고려하여 집필하여야 한다.
        8,100원
        2114.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ew media are surely not strange to the students. They play computer games together and hear music and lecture in a tape recorder or a CD Player. They use the internet for their personal researches and orders. But in instruction?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s open new perspective for german instruction. The new media offer a multiplicity of possibilities for a modern and effective instruction. Multimedia, television, radio make the entrance to the foreign language german for the learner possible over different channels. “Multimedia German” is an innovative learning offer, which connects different medial components and establishes new ways of media-aided learning. The multimedia teaching program runs with support of CD-ROM, DVD, video tape and grants exciting views of the german everyday life reality. The course offers regional and cultural informations as well as words and idioms, grammar, sentence structure to the learner beside course contents. The learner can learn and use not only simple sentences and everyday expressions, but also understand the german culture. The multimedia language course as blended learning offer is a teaching program with different components: Multimedia. course with CD-ROM, video and DVD, course with various materials, radio course with cassette tapes. With assistance of the learning program we can teach and learn german language and culture. Besides, we can extend and deepen already-existing knowledge about a lot of different subjects.
        5,800원
        211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introduction of teaching English as a regular subject into primary schools in 1997, it has been said that the discrepancy between students who are receiving private instruction at learning institutions and private tutoring and those who are not receiving private English instruction is steadily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impact private English instruction had on English achievement and attitudes of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in primary schools. For this purpose, an English achievement test was developed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administered, along with two attitude questionnaires: O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96 fifth- and sixth-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the other questionnaire given to 12 primary school teachers of th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started learning English at the average age 7.9-years-old and about 80% of the students were receiving a variety of private English instruction. In line with expectations, tutored students outperformed non-tutored students on the English achievement test. In addition most of th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thought it helpful to learn English through private English instruction. One implication from the results suggests that to ensure quality English language teaching at public schools, the government should put forth efforts to nurture qualified English teachers through intensive teacher training.
        6,600원
        2116.
        200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2117.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reported that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the reading process and their interests and achievement in reading is low, in spite of the various methods that have been introduc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ding approaches at the primary school level.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the approaches that were adopted for primary English reading. The textbooks were analyzed in two aspects: the selection of words and the teaching methods for reading. The data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looked well-structur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reading, but that the textbooks did not facilitate reading for early readers. Although the reading text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letter to the sentence level, the words in each unit were not organized to help readers recognize the text efficiently which impinged on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ince words at each unit were selected meaning-based, students had to memorize them as a unitary whole. On the other hand, it was rare to find words structured on the basis of letter-sound relations between words. This lack of structure prevented students from recognizing the alphabetic principles of English. As a result, the textbooks did not consider the bottom-up skills at all in its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students failed to acquire the basic principles of alphabetic language in the early reading stage. Some suggestions for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re presented in the end.
        6,100원
        2118.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2119.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