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8

        65.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0년 이래 영국과 미국의 주요 지도제작사 및 지리교재 제작사가 제작한 지도를 중심으로 동해 해역의 지명표기 형태를 조사하고, 그 원칙을 분석한 것이다. 대부분의 지도 제작사들은 지명표기와 관련하여 자체의 원칙을 가지고 있는데, 동해 해역은 ‘일본해(동해)’의 형태로 병기했지만, 여전히 ‘일본해’로 단독 표기한 경우도 있다. 한편 지리교재 제작사는 지명표기를 저자들의 판단에 맡기고 있다. 그 결과 지리교재에 따라 동해 해역에 대한 지명표기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국제사회에서 동해 지명의 확산을 위해, 영미권의 주요 지도제작사 및 지리교재의 저자들에게 동해 지명의 정당성을 전략적으로 홍보할 필요성이 있다.
        4,200원
        66.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for food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ai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ing guide book (of food exerts) for eco-friendly food education together with green growth to standardize food education and to make the best the effect of food education. Especially we will develope active food education program to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y through developing various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aids. Major contents of food education textbook in this study are classified as two subjects. First included the understanding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o distinguish the indica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erits of school feeding made by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econd is about children loving earth to understand food mileage. Its contents are as follows ; the definition of food mileage, the movement of food mileage to report environment, origin mark of agricultural products, our mental attitude for our favorite agricultural products, the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Gyeonggi Province
        4,000원
        6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he address terms in Korean textbooks and questionnaires, which are aimed at married migrant wom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mong the eight major Korean address terms, the frequent uses of the kin and kinship address terms are founded in the Korean textbooks and married migrant women. Because they are bound by marriage, married migrant women talk more frequently with their husbands, parents-in-law, and relatives than the others. Moreover, due to their recent migration to Korea, they do not only connect with others but also cannot converse well in Korean. The results also illustrate that a few terms of address exist in Korean textbooks. While all address terms in Korean textbooks coincide with standard speech, some address terms revealed in questionnaires are not appropriate for standard speech. “obba” and “name (married migrant women)” are most frequently used between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ir husbands. Further, “ya, eo-i” is more frequently used by parents-in-law and relatives for addressing married migrant women. The address terms such as “obba,” “name,” and “ya, eo-i” are incorrect address terms for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husband and a wife—family. Both parties concerned with Korean textbooks and Korean education must devote considerable space, and time to teaching the address terms so that they can be used efficiently by married migrant women.
        5,500원
        68.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말레이시아에서의 중국어 교육은 이미 18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왔다. 말레이시아에는 모두 1291곳의 중국어 초등학교가 있다. 소위 중국어 초등학교라 는 것은 학습 과정이 말레이시아 어, 영어, 타밀어 외에 모든 기타 과목이 중국어 를 매개 언어로 교육이 진행되는 학교를 가리킨다. 현재 전국에 모두 6만 명이 넘 는 비화교(중국인이 아닌) 학생들이 직접 중국어 초등학교에서 배운다. 중국어 초 등학교의 중국어 수업은 모국어(제1 언어)로써의 교수방식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교재는 모국어 학습 이론을 사용해 집필한다. 비화교 학생으로 말하자면, 이것은 “지정된 좌석 없이 자리에 앉는” 경우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중국어 교육에 있어 특히 한자 교육의 성과가 좋지 않은 상황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참상”을 풀기 위하여, 교사는 학습 상 별도의 상황을 설정하여 알맞은 조정을 해 야 한다. 본문은 이하 여덟 가지 방면 즉, 1. 우선 한자 병음을 가르친다. 2. 읽기를 지도한다. 3. 직역법을 사용한다. 4. 7±2기억 법칙을 알맞게 응용한다. 5. 법칙 잊게 한다 6. 한자를 많이 알고 적게 쓰도록 한다 7. 한자교육의 의 세 가지 다른 수준을 중요시 한다. 8. 말을 먼저하 고 글은 나중에 하도록 한다. 를 통해 이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4,800원
        69.
        2011.0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進入近代時期以前,東亞漢字文化圈的共性以及各國的個性長久共存,一般以中國為核心、以同樣的漢字和漢文(文言文)為基礎。可以說,當時的漢字文化圈是一個哲學思想、教育、政治以及經濟方面都具有較多共同因素的共同體。但是各國成立近代國家化以後在西勢東漸的影響下,各國促使共同體走上不同的道路。各國開始使用不同的漢字,或者進行言文一致運動等,這樣逐漸消失了成立漢字文化圈共同基本因素。不過,二十世紀八十年代以後,隨著東亞各國經濟的迅速崛起,新漢字文化圈也開始復活。新興的漢字文化圈跟近代化以前的漢字文化圈在形式上和內容上不盡相同。第一,原來同形異音的漢字,變為異形異音。第二,有些國家曾經舉行有關限制使用漢字的運動(部份人甚至主張禁止使用),因此漢字很早就喪失了第一文字的地位。第三,廢棄共同的“漢文”(即文言文)以後,各國各自進行言文一致運動,因此已經很難找出文字或句子方面的共同點。儘管如此,從另外一個角度看,東亞漢字文化圈還是具有共同點——即文化遺產。也就是說,它具有以漢字漢文為核心而長久流傳下來的文化這一東西。東亞各國共同擁有文化遺產,已經有了1800年以上。並且這種文化影響到了後代,使得讓日常語言、思考、價值觀、行動標準以及歷史文物等都顯示出共同點出來。東亞的一些國家一般都進行漢字漢文教育,這其實也是在共同文化遺產這樣一個認識上形成的。因此,雖然是異形異音,但是漢字教育在各國仍然佔有重要的地位。與此同時,漢文教育(也稱作文言文教育、古典教育,內容包括中國古典和本國古典)同樣也反映了東亞共同的文化意識。可見,在東亞,漢字教育和漢文教育雖然內容上不盡相同,不過還是具有較高的教育價值。如前所述,近代化以後各國的教育方式不統一。不過我們都屬於共同文化圈,擁有共同的文化因素,因此,可以開發出新的教育方式。也就是說,目前各國在各國的文化意識、歷史意識、民族意識以及國家意識等方面,進行漢字教育和漢文教育,在此基礎上,我們還要找出東亞文化的共同因素,運用到教育上面,進一步培養出新的人才。為此,我們把各國原有的漢字漢文教育材料 和工具,可以互相借鑒使用,甚至可以開發出共同的教育教材。這樣可以增進相互之間的理解和交流,同時也會帶來相應的經濟效應。這項工作,也許比共同編纂新的歷史教科書還要有意義,還可以帶來文化交流等好處。綜上,漢字漢文教育是東亞共同的文明教育,也是東亞共同的文化教育,同時還可以認為是理解各國語言文化的通道。爲了漢字漢文教育的進一步發展,以後需要各國研究者做出共同努力。借此,筆者建議如下幾項方案:第一,已經開發使用的各國不同的漢字漢文教學理論、實踐方法、教材以及教育軟件等,需要互相翻譯,並且要有一個平臺來支持它。第二,目前各國使用的題材一般取自各國文獻。這種題材應該更加擴大,進一步探索以東亞共同文化因素作為題材的具體方法。第三,在搜集各國常用詞的基礎上,建立東亞詞彙詞庫,進一步思考它們的運用方案,這樣可以找出東亞詞彙的共同點。 第四,建議設立共同研究機構,進行定期交流以及共同研究等。
        7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Elementary English Digital Textbook (MEDT)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nglish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evaluation of MEDT contents. With these purposes, the study firstly presents relevant theories about the instructional design, e-learning strategie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English teaching theories to investigate on what theoretical foundation the MEDT was developed. It then examines how the MEDT integrates and incorporates new technologies such as speech recognition, automatic writing scoring system, games, flash animation, and digital storytelling into a wide variety of English learning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irdly, the study reports the learners" and experts" evaluations of MEDT with respect to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interest, levels, and technological functions. Lastly,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MEDT, some suggestions are made on the effective use of MEDT for the implementation of enhanced, high-technological, and motivating English learning environment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7,000원
        75.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ponents the writing textbook should have and offer a plan of the textbook for efficient education. Approximately 20 kinds of the textbooks on the market are analyzed in section 2. Components are selected through examination of related materials and preceding research in section 3. Also, the plan of the writing textbook is presented concretely, focusing on components in section 4.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Chinese letter is considered, which means that combination of strokes becomes single-component characters and that of single-component characters becomes multi-component characters are regarded when analyzing the components. In addition, rules of stroke order and number of strokes are classified as their basis and examples are presented. It also examined the standard of selection of entries, order of arrangements, type of letter, appendixes, and indexes. To edit the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 above-mentioned standards, the process of selecting entries would be required and this will be made up for by follow-up research.
        5,700원
        7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to develop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t can be said that speakers might communicate their own idea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linguistic context and condition. Surely considering this ability is deeply related with culture, it has been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learning culture. Language is part of a culture, so we have to accept naturally to program the teaching culture as a part of teaching language. Actually, such that thinking is apparently not proper. In other words, we need the education of the incorporating both culture and language. Currently, it has been grow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ulture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influenced by the movement of teaching foreign language, as reflecting of that above, most of the textbooks published since 2000 have included the cultural content and materials specially with the emphasis o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fter looking into the situation in teaching language of culture about such that textbook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educational wa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ose facts. To do so, as the aspect of the communication in language teaching,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whether the cultural content in the textbooks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real communicative situations where participants from the different culture and language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effectively. This point of analysis depending on the criteria of the cultural content, the origin of culture, and the cultural activities is to distinguish three parts briefly, the pragmatical part, the area of cultural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of culture.
        5,500원
        7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suggest a proposal for creating directions for Korean textbooks with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and to present a lesson as a model. Korean textbooks with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which are us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recommended to express not only their inherent abundant stories but also various stories which posses cultural values reflecting various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nd modern societies. In addition, common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or social issues must also be included. Students will learn cultural knowledge regarding Korea through these reading materials. They will also understand the natural proper meaning and usage of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Readers will acquire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as expressive vocabulary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games and word puzzles.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often appear in reading materials such as newspapers and social or cultural books. Readers will grasp the text’s content, and as a result, will be able to easily approach various reading materials as well. Therefore, an ideal textbook for learning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must be develop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5,700원
        8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 교육은 교과 교육의 하나이고, 모든 교과는 내용 체계를 가지고 있다. 주지하듯이 교과의 내용 체계는 교과에서 교육할 내용을 집약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본 연구의 핵심 과제는, 한문과 내용 체계의 영역 구분의 기준과 내용 조직의 원리를 탐색하고 내용 체계 시안을 개발한 뒤, 이에 따른 한문과 내용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현행 한문과 내용 체계와 학계에 보고된 내용 체계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배경 학문의 지식 결여, 용어의 개념과 범위 혼동, 한문 교과의 학문적 구조 반영 미흡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진은 내용 체계의 세로축 곧 영역 구분을 한자 생활, 한문 지식, 한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가로축 곧 내용 조직과 관련된 범주화 및 구조화를 각각 몇 개의 안으로 설정하였다. 설문 조사, 전문가 협의회, 연구진 협의회 등을 거쳐 세 개의 내용 체계 안을 조정하여 ‘내용 체계 시안’을 확정하였다. 연구진은 내용 체계 시안을 바탕으로 한문과 내용 교재를 개발하였다. 교재 개발은 우선 한자 생활, 한문 영역 내의 중영역을 대단원으로, 소영역을 한 개의 소단원으로 설정하였다. 단, 한문 지식 영역은 독립 단원으로 편성하지 않고, 학습 자료로 교재의 말미에 편찬하였다. 결국 한문과 내용 교재는 5개의 대단원, 14개의 소단원, 그리고 참고 자료로 구성, 편찬되었다. 한문과 내용 교재는 무엇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구현하는데 치중하였다. 편찬의 기본 방침은 특히 본문의 학습 활동을 통하여 나타나 있다. 기존의 교과서와 달리, 학습 목표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과 절차를 제시하도록 노력하였다. 한편 연구진은 중학교 한 곳, 고등학교 한곳을 택하여 개발된 실험용 한문 교재를 사용하여 현장 시연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반응과 현장 교사들의 의견, 그리고 협력 교사의 비평 등을 참고, 활용하여 교재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였다. ‘한문과 교과 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교재 개발’의 결과물은 한문교육을 담당하는 한문 교사에게 한문과의 학문적 정체성이 무엇인지, 학습자에게 전수할 한문과 학습 내용의 핵심이 무엇인지에 대한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 체계가 바뀌면 학교 현장의 한문교육의 양상도 바뀌게 될 것이다. 내용체계의 변화는 내용의 변화를 수반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교재로서의 교과서 개편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교과서를 구성하는 방식에서 다양한 변화가 예견되며 이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교 교실 수업의 교수-학습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10,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