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25.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road sink phenomenon occurred continuously at the center of seoul in 2014. The road sink phenomenon was emerged as a social big issue in korea. So far, government, municipalities and related experts have been making a lot of efforts to prevent road sink accident, but it is still happening all over the country. Therefore, In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restoration action procedures and checklist items that can be used by government officials in order to recover quickly in the event of a road sink.
        29.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detailed guideline was prepared to explain the contents of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guideline and to prevent confusion in the initial implementation of the law to underground safety impact assessment and underground safety inspection subjects. "Special Law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which was created to prevent the safety of the people from frequent occurrences due to frequent occurrence of subsidence, has been systematically settled in the course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underground facilities. When it works smoothly, it can be said that national security is guaranteed.
        31.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problems of risk management manual of disaster management agency and propose improvements.
        3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ndscape elemen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nd elements that have negative impact on landscape due to reckless development teem in rural area. Due to this, local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visual landscape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ontent of domestic rural landscape planning proces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it. For that, this study measure guideline o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gainst guideline of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o analyze th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of australia which is similar to domestic rural landscape planning process, and to compare both guide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stage of landscape resource survey and assessment progressed systematically, but it was not practical because for the lack of survey and assessment method. Therefore, it should be suggested for the survey and assessment technique. The rural landscape plan, established in master planning st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local government’s landscape management on the ground of abstract technic of landscape management. For this sake, to develop evalu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landscape element seems necessary.
        3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flood disaster strikes, it is important for quick and efficient response of management organization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fic EAP. FEMA and DHS present a wide range of EAP from Mitigation to recovery of disaster response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Republic of korea and Japan present a relatively narrow range of the EAP shortly after the disast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EAP Framework that includes a wide range consisted of Mitigation, Preparedness, Response, Recovery phases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United States, Japan, Republic of korea EAP.
        34.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sently, the wind power tower grows actively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as the part of renewable energy securing. Recently, as to the wind power tower, the advance to and diversification of the wind power tower form and material are made. but the maintenance manual about the wind power tower in which this foundation is based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object is that in being safe and maintaining efficiently the wind power tower, by developing the maintenance manual about the fundamental vulnerable element the life span improvement of the wind power tower is planned and it contributes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technology development.
        3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도시지역에서는 국지적인 폭우의 발생건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국지성 폭우로 인하여 발생되는 재해의 종류가 다양해 질 뿐만 아니라 재해 피해 규모도 대형화가 되어가고 있다. 이에 지금까지는 펌프장, 하수도 등과 같은 방재시설이 폭우재해의 대응에 적극 활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방재 시설만으로는 도시 전체의 방재성능을 향상 시키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도시지역의 공원녹지와 같은 도시계획시설에 방재의 기능을 부분적으로 부담시켜 효과적인 도시방재가 이루어질 것이라 예상된다. 실제로도 가상유역에 공원녹지의 우수유출저감 모의분석을 한 결과, 공원녹지에 저류기능을 갖추었을 때 약 15%의 저감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 경우 전체면적의 약 29%가 공원녹지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방재성능 향상에 활용 할 경우, 기존 방재시설 이상의 재해 저감적응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에는 국토해양부 훈령으로 제정된 공원녹지 기본계획 수립지침만 있을 뿐 우수유출저감을 위한 폭우재해 저감·적응형 공원녹지 설계 지침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폭우재해 저감·적응 기능을 위한 공원녹지를 설계 할 수 있는 자습서 형식의 매뉴얼을 마련하고자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공원녹지 설계 매뉴얼 및 방재관련 법제도를 검토를 통하여 매뉴얼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해를 돕고자 실제 대상지에 적용한 예시를 매뉴얼의 설계순서에 맞춰 작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폭우재해 저감적응형 유형을 신도시형, 리모델링형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라 매뉴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폭우재해 저감적응형 공원녹지를 설계할 수 있는 하나의 매뉴얼로써, 실무자에게 기준적인 지침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6.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제법상 독도의 영유권은 한국에 귀속된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 간의 독도의 영토 분쟁 이 불행하게도 한국 정부와 일본 정부 간의 합의 없이 일본 정부에 의해 일방적으로 국제사 법재판소에 제소되게 되면, 한국 정부는 다음의 두 단계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제1단계의 조치로, 한국 정부는 “응소 또는 응소거부의 정책 결정”을 하여야 한다. 패소 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응소거부의 정책 결정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제2단계의 조치로, 한국 정부는 제1단계 조치에 뒤이어 “응소거부의 정책 결정을 시행하 는 조치”를 시행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응소거부의 명시적 의사 표시를 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며, 부작위 그 자체가 응소거부의 효과가 있으나 Forum Prorogatum의 성립을 기피하는 것이 요구된다. Forum Prorogatum은 일방 당사자의 국제사법재판소에의 제소 에 대해 타방 당사자의 명시적 또는 묵시적 동의에 의해 성립되는 재판소의 사후적 관할권을 말한다. 한일간의 독도 분쟁에 대한 국제사법재판소의 Forum Prorogatum의 성립의 법적 효과 를 기피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요구된다. i) 한국정부는 일본정부의 제소에 대해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 성립을 배제하기 위해 국제연합 사무총장에 대하여, 국제사법재판소에 대하여, 그리고 일본정부에 대하여 동의의 선언을 기피하여야 한다. iii) 한국정부는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을 배제하기 위해, 소송절차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 간의 행위로부터 추론되는 묵시적 동의를 기피하여야 한다. 요컨대, 일본정부의 일방적 제소에 대해 한국정부는 “응소거부의 명시적 의사 표시”를 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며, “부작위” 그 자체가 응소거부로 인정된다. 다만, Forum Prorogatum의 성립을 기피하여야 한다. ii) 한국정부는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을 배제하기 위해, 소송절차 기간 동안 연속적인 행위를 통해 표시되는 한국정부와 일본정부 간의 합의를 기피하여야 한다.
        37.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tenance of the general structures has been studied until today. but maintenance guide line of the wind power tower has not been studied yet. In this study it was performed analysis on structural features through wind power tower technique data survey. which can be developed to basic data for the wind power tower maintenance manual through analysis of vulnerable elements.
        3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inspection, diagnosis and utilizing manual for facilities such as bridges, tunnels, and buildings. For this, firstly, the classification system about inspection and diagnosis equipment was established and that was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ded use(durability, safety, equipment, environment). based on this, the manual was developed including specification, performance of equipment and using, managing and controling for the inspection and diagnosis work.
        40.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토양조건은 배수가 양호한 양토인 안룡통 보통답으로 칼륨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 논토양의 평균 함량보다 낮은 토양이었다. 유기질비료로 처리구는 질소 표준시비량인 9kg/10a과 비슷한 N-P-K=8.45-4.89-9.24kg/10a를 시용한 반면 관행구는 표준시비량보다 많은 N-P-K=14.5-6.3-10.8kg/10a를 시용하였다. 2. 벼 수확 후 시험구 토양내 미생물상 분포를 조사한 결과 박테리아와 방선균의 수는 처리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고, 곰팡이의 수는 관행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토양내 가수분해효소 생성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호평벼 처리구에서 키틴분해미생물과 인산분해미생물 분포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3. 병해충 발생정도는 전체적으로 처리구에서는 미미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관행구에서 특히 호평벼에서 도복과 이삭도열병이, 잎집무늬마름병은 두 품종 공히 심하게 발생하였다. 혹명나방은 온누리에서 발생율이 높았는데 이는 질소 과다 시용으로 판단되었다. 4. 호평벼와 온누리 공히 관행구가 처리구에 비해 간장과 수장은 약간 길고, 주당수수는 많았다. 그러나 잎집무늬마름병 및 이삭도열병, 혹명나방 도복 등으로 등숙비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관행구는 천립중이 낮았으며 수량이 호평벼는 38%, 온누리는 13% 떨어졌다. 5. 병해충인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혹명나방과 수량과의 관계에서 유의성이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6. 백미의 품질도 관행구에서 쇄립율의 증가로 완전미 비율은 낮고, 단백질함량이 높아 전반적인 품질 및 윤기치가 낮아졌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