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9

        341.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한은 수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약 6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고, 지리적으로 수력발전 개발에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3 개의 북한 댐개발 가능지점에 대해 DEM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분석 및 저수량을 산정하고, MWSWAT 모델을 이용한 30년간의 장기유출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추정하였다. 33개 지점의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은 현재 북한 수력발전량의 약 28%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도별 공업지구 규모를 추정하고, 장래 인구 변동을 전망하여 도별 댐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저수량과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기초로 도내 댐 개발 우선선위를 선정하였다. 도별 우선순위는 평안남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황해북도, 평안북도, 자강도, 량강도, 황해남도, 강원도 순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지역의 수력발전댐 개발사업의 진출을 위한 초기 검토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4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 in North Korea has heighted the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region.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hould asserts the needs and plan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civil structures facility including the main infrastructures of North Korea. Second, it estimate on the risk and technology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
        34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한 무산 철광상과 중국 안산-번시 철광화대는 시생대 호상철광층으로 북중국 지괴의 동쪽 블록 중 용강 블록에 속한다. 무산 철 광상을 배태하는 변성퇴적암은 무산층군이고 안산-번시 철 광화대를 배태하는 변성퇴적암은 안산층군으로 이들은 주로 철질 규암, 각섬암, 편암, 혼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주 광종은 주로 철질 규암에 배태되어 있는 자철석이다. 광체의 모양은 무산 철 광상의 경우 습곡에 의해 말발굽 모양을 갖지만 안산-번시 철 광화대의 경우 대부분 층상의 모양을 갖는다. 호상철광층의 생성 연대는 무산 철 광상은 약 2.66-2.52 Ga이고, 안산-번시 철 광화대는 2.55-2.53 Ga로 보고되어 시기적으로 유사하며, 광상형은 모두 알고마 유형으로 알려져있다. 결론적으로 무산 철 광상과 안산-번시 철 광화대는 지질 및 형성 시기, 그리고 광상 특성이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344.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한반도는 동계올림픽 단일팀 참가,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제협력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이고, 도로, 철도 등 남북 주요 인프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북한 시설물은 고령화, 노후화 및 유지관리 불량 등 시설물의 안전성과 기능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인프라 개선 및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기 위하여 성능관점의 북한 유지관리 수준을 분석하고 남북 상호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 북한의 도로, 철도 등 국가기반시설과 전력 및 통신, 상하수도 등 생활기 반시설의 유지관리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에 대한 보수․보강 등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전과 성능에 대한 평가를 통해 남북 유지관리 수준의 격차를 줄이고, 향후 통합 한반도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345.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발행된 새로운 역사 교과서에는 이전 교과서에서는 수록되지 않았던 독도에 관한 북한의 역사교육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독도에 대한 북한의 역사 인식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본고에서는 북한 역사 교과서의 내용 중 독도에 관한 텍스트, 학습 자료 등을 남한 역사 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 체제의 역사 교과서에서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남북한 모두 일본의 역사 왜곡 주장에 대한 부당성을 강조한다. 둘째, 독도에 관한 내용서술의 측면에서는 독도의 위치와 통사적 안내가 제시되고,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 고 있다. 셋째, 역사 교과서에 수록된 모든 지도에는 독도의 형상이 표현되었으며, 독도를 다루는 비중은 비슷하였다. 양 체제의 역사 교과서에서 특징적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북한 역사 교과서는 인민을 강조해서 인물 위주로 내용을 서술한 반면, 남한 교과서에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통해 내용이 구성되었다. 남북한 역사 교과서에서 독도 관련 내용은 공통적으로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다뤄지는데, 남한의 경우 현대사 시기의 학습단원에서 강조되고 있다. 이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개진하며, 독도에 관해서만은 남․북한이 하나의 관점과 의지로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346.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 영향으로 미래의 유출량은 변화할 것이다. 미래 유출량의 변화는 수자원시설에 유입량을 변화시켜 발전량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유출변화에 따른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을 평가하였다. 수자원시설에 대한 발전량은 물의 에너지에 의해 수차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력을 발생시킨다. 즉, 물의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고 운동에너지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평가 결과,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은 현재보다 2011년부터 2040년까지 감소하였고, 2041년부터 2100년까지는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 북한 수자원시설의 발전량은 미래에 감소하거나 현재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신규 북한 수자원시설의 발전량은 단기적으로는 감소하지만, 중장기 미래에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북한 수자원시설은 기후변화 영향에 취약하고, 신규 북한 수자원시설은 기후변화 영향에 유리하게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4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housing type of North Korea and the current status of standard housing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securing the safety of North Korean standard houses with relatively low structural performance compared to South Korea. In addition, we will use this data as basic data for planning a low-cost emergency reinforcement method to prepare against the natural disasters that are taking place frequently.
        34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ree-fold: to analyze the macrotrend of North Korea’s food supply and demand; to confirm the food security situation in North Korea in various respects; and to seek the sustainable ways of agricultural production as a prerequisite for food security in North Korea. In particular, analyzing North Korea’s weather observation data, which has hardly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we investigated how North Korea’s agriculture had been affected by various natural disasters (flood, drought, soil loss etc.) caused by unusual weather. The results show the fact that the agricultural security systems of North Korea is vulnerable to both drought and flood due to extreme precipitation chang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negative impacts on North Korea’s agricultural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North Korea’s agricul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dissolution of collectivization), increase the amount of agricultural materials, enhance soil fertility and develop agricultural machines. Most of all, this research reveals the fact that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points for food security in North Korea, it needs the systematic strategie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349.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 in North Korea has heighted the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region.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hould asserts the needs and plan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civil structures facility including the main infrastructures of North Korea. Second, it estimate on the risk and technology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
        350.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trategies to re-establish the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in Bukhansan National Park, reflecting landscape ecological value by using the zonation program Marxan with Zones. Planning unit was set by watershed, and the basic data were mapped, considering topographical and ecological values. Mapped indicators were analyzed with the application framework of Marxan with Zones by indexing some indicators. The zones divided into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Zone A), Park Nature Environment AreaⅠ(Zone B) which is reflected on the concept of Potential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and Park Nature Environment AreaⅡ(Zone C). The best solution for each of the scenarios was fixed through the sensitiveness analysis. From these, the final solution was selected considering five criteria including area ratio of conservation area and grouping. Lastly, the final solution was verified in the overlapped analysis with recent zo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watersheds was 77, with an average area of 1,007,481 m2. In terms of basic mapping and indexation, the slope index and number of landscape resources for topographical property were average 0.22 and 38 places, respectively. Biotope index was average 0.69 and legally protected species was 14 species, reflecting ecological values. As the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trail index was average 0.04, and the number of tour and management facilities was 43 places. Through the framework of Marxan with Zones, the best solution for scenario 1 which was set by the highest conservation criteria was selected as the final solution, and the area ratio of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and grouping was excellent. As the result of overlapped analysis, suggested zonation of the Park Nature Conservation was better than the recent zonation in the area raito (28.3%), biotope gradeⅠ(15.4%) and the distribution points (10 places)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with verification of proper distribution of conservation features according to the zone.
        351.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inistry of Unification has published the North's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about 'North Main statistical indicators' every years. However, "North Main Statistical Indicators" does not reflect the status and the level of North Korean infra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maintenance status and level of North Korean infrastructure, and to propose a regional assessment results.
        35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 in North Korea has heighted the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region.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hould asserts the needs and plan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civil structures facility including the main infrastructures of North Korea. Second, it estimate on the risk and technology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
        353.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is a comparative study focused on the scenic landscape preferences derived from visitors's perceptions at the Dulle-gil and the uphill tra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Unlike previous landscape assessment methods, this study contains more direct and on-site analysis with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visitors’ perceptions by using ‘visitor employed photography(VEP)’ which requires each visitor to take preferable scenic landscape with one’s own smart phone camera. The scenic landscape types at two different trails were categorized and then the types favoring most of participants were verified. There are total number of 16 visual landscape types preferred by participants at both the Dulle-gil and the uphill tra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As in terms of consensus photography(CP) on the Dulle-gil was found to have more diverse elements including both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compare to the uphill trail. Furthermore, the perceptually excited node(PEN) at the Dulle-gill were found to be more scattered evenly whereas PEN at the uphill trail were concentrated on the entrance and the top of the mountai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scenic landscape management at the Dulle-gil and the uphill trail require different approaches. Facilities were set based on careful consideration of distinctive geographical features and vegetation in the Dulle-gil. And the management need to be focus on the 'forested area' maintaining natural state in the uphill trail. Futhermore, the result of the CP and PEN in the trails would be helpful to proceed the next step of landscape perception stud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groups.
        354.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 in North Korea has heighted the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region.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hould asserts the needs and plan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civil structures facility including the main SOC of North Korea. Second, it estimate on the development value and fragility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
        35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한의 대규모 자연재난은 홍수와 태풍 그리고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피해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피해는 1990년대 중반부 터 해마다 북한의 경제난을 악화시키고 있다. 북한 당국도 수해피해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1990년대 말부터 하천정리, 농경지 복구, 토지정리사업, 조림사업 등을 실시하였으나, 계속되는 수해피해를 막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북한의 홍수피해에 대한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 일반적인 위험도 평가과정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대외적으로 수문자료 취득이 힘들고 지형자료가 공개되지 않은 미계측지역이라는 유역특성을 반영하여 강우-유출에 대한 모의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위험도 평가는 국제기구(IPCC)의 기준에 따라 홍수에 대한 위험성과 노출성, 취약성 인자들 을 선정하여 홍수 위험도를 판단하였다.
        357.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ark Geun-hye President emphasized "Eurasian Initiatives" and advocated cooperative exchange the South and North at groundbreaking ceremony of Gyeongwon-line railway restoration in August 2015.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assert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whole facilities including the main SOC of the South and North and to Predict on the technology and risk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face to face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n.
        358.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발전(發電) 수자원 가능량을 조사하기 위해 포장수력 이론을 적용하였다. 발전수자원 가능량이라 함은 발전을 할 수 있는 수자원의 양을 뜻하며, 유역의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점에 댐을 건설하기 위해 조사한다. 포장수력은 전원개발의 대상이되는 수력자원의 크기를 의미하며 수력에너지의 부존특성 개발의 방식 등을 감안하여 이론포장수력, 기술적 포장수력, 경제적 포장수력 등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나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자료의 한계로 인해 이론포장수력조사 방법에 대해서만 산정하였다. 이론포장수력이란 높은 곳에서 강하한 강수가 유역을 따라 해면까지 유하하는 데서 얻을 수 있다고 보는 유수의 잠재적 에너지로서 총 낙차와 강수량의 상승적 비례관계에 따라 산정한다. 북한의 압록강, 두만강 등 총 7개의 유역에 대해서 북한의 이론포장수력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27개의 강우관측소 자료를 이용해 유역별 강수량을 산정하였고 북한의 고도별 면적 강수량을 산정하기 위해 MODIS에서 제공하고 있는 Aster Gdem에서 북한 지역의 DEM을 추출하여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이론포장수력 산정 결과 압록강유역이 7562.2×10³KW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표고에 위치한 압록강과 두만강에서 높게 산정되었다. 북한의 발전 수자원 가능량을 조사함으로써 유역의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수자원의 장래 개발 가능성을 파악하고 그 개발을 촉진시키는 데에 지침이 되는 기본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된다.
        359.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VfloTM을 이용하여 북한의 미계측지역에 대한 매개변수 설정 및 일관적인 분포형 강우적용을 통해 실강우 특성을 반영한 침수분석 결과를 도출한다. 연구대상은 임진강 수계로 유역면적의 2/3가 한 지역에 포함이 되며 사실상 미계측지역으로 분류된다. 위 수계의 수문자료가 거의 없어 매개변수 보정 및 검정할 자료가 사실상 없으므로 분석하는 주체에 따라 강우-유출모형 구축에 있어 차이가 발생하므로 홍수량 산정 절차 및 매개변수 결정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분포형 강우는 광덕산 레이더의 Long-ranged Radar(반경 480 ㎞)를 이용하여 회령, 선봉 및 일부 지역을 제외한 북한 수계 전역에 걸쳐 분포형 강우를 본 원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분포형 모델을 이용하여 강우사상별 북한 지역의 침수현황을 도출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연구된 북한의 확률강우량도를 토대로 각 빈도별 침수현황을 도출하였으며 북한 내 발생하는 홍수에 대해 개략적인 침수현황 제시가 가능하다. 위 연구를 토대로 통일 대비 북한의 홍수 재난 현황 및 이에 대한 대처 자료로써 효용이 있을 것으로 판단이 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북한 재난 DB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36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한의 대규모 자연재난은 홍수와 태풍 그리고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피해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피해는 1990년대 중반부터 해마다 북한의 경제난을 악화시키고 있다. 특히, 식량난과 에너지난으로 인한 무분별한 국토개발 및 산림훼손으로 1995년부터 집중호우, 태풍 등의 수해피해에 상습적으로 시달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난 15년간 북한의 홍수를 검토하여 홍수 초래 영향변수로 ‘강우집중도’와 ‘집중호우 지역’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홍수피해 가중 요인을 ‘발생시기’와 ‘피해규모’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홍수 모니터링 우선지역 선정을 위해 홍수 초래 영향변수인 ‘강우집중도’와 ‘집중호우 지역’은 우심지에 해당하는 지역의 월평균강우량의 크기와 일최대강우량, 집중호우 발생빈도가 큰 기상관측소 지점으로 선별하였고, 홍수피해 가중 요인인 ‘발생시기’와 ‘기반시설 피해정도’의 경우 집중호우 발생 빈도가 큰 개월과 북한의 주요 홍수피해 당시 피해보도를 기반으로 등급 점수를 부여하여 우선지역을 구분하였다. 홍수 초래 영향변수와 홍수피해 가중 요인으로 북한의 홍수 모니터링 우선지역을 행정구역별로 선정하면 홍수 초래 영향변수에 의한 모니터링 우선순위 지역은 강원도와 개성시이며, 홍수피해 가중 요인에 의한 모니터링 우선지역은 황해도, 평안남도, 강원도, 함경남도가 된다. 하지만, 피해규모의 경우 주요 피해가 발생한 행정구역의 피해를 통합하여 보도한 내용이므로 각 행정구역별 피해규모의 확인은 힘들기 때문에 모니터링 우선지역의 선정에 있어서는 홍수 초래 영향변수로 분석한 우선순위를 고려하고 홍수피해 가중 요인은 참고로 활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