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71

        2241.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에 대한 준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두 개의 다변량 통계기법인 주성분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연계한 매개변수 지역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109개 중권역 유역에 대해 7개 유역특성인자(유역면적, 평균표고, 평균경사, 산림면적비, 포화토양수분량, 포장용수량, 영구위조점)를 추출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을 수행한 결과 제1, 2 성분이 전체자료의 82.1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1성분은 유역위치, 제2성분은 유
        2242.
        200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building demolition work, major dust-generating activities are blasting concrete and roc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 of particle size of dusts which were generat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The DustMate of the Turnkey-Instruments Ltd. was used for particulate size-selective sampling of the four sites. TSP(Total Suspended Particle), PM10(Particle Matter 10 μm), PM2.5(Particle Matter 2.5 μm), and PM1.0(Particle Matter 1.0 μm) were measur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The large particulate (higher than the diameter 10 μm) showed to be higher than 50%. The particulate ranged from 10 μm to 2.5 μm showed about 30-40%. PM2.5 was not scarcely detected in the samples collected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We conclude that the dust generat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has not most respirable particulate.
        2243.
        200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임진강유역은 유역의 2/3가 북한에 위치하고 있어 신뢰성 있는 강우 및 수문정보를 획득할 수 없었다는 점이 지금까지 홍수 피해를 가중시킨 요인 중의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상습적으로 홍수피해를 겪고 있는 임진강유역의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임진강유역에 설치된 수문레이더를 활용하여 임진강 수계 전체에 대한 홍수유출을 모의하고자 하였다. 강우 및 최근 토양자료 등의 수문자료 확보가 곤란한 유역에 대하여 자체 개발한 분포형모
        2245.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ngdol-cho, located 23 km offshore of Hupo in southwest of East Sea, is underwater rock floor, called to Wangdol-Am or Wangdol-Jam and has three tops as Mat-Jam, Middle-Jam and Set-Jam. The composition, abundance,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in winter and summer in 2002 around Wangdol-cho. The temperature around the Northwest and Southeast part of Wangdol-cho was influenced by the North Korea Cold Current (NKCC) and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respectively. Nutrient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 were higher at the top of Wangdol-cho than other area. A total of 41 genera and 78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The average cell abundance of phytoplankton in winter and summer were 286×103 cells/㎥, 432×103 cells/㎥ respectively. The largest community was Bacillariophyta containing 52 taxa. The dominant species were Lauderia anulata and Coscinodiscus spp. which preferred cold water in winter. In contrast, warm water species such as Rhizosolenia stolterfothii and Ceratium spp. were dominant in summer.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index of phytoplankton in winter was higher than that in summer. According to dominant species and standing crops, phytoplankton community resulted in a clear separation. One group was western area, which showed low density, and the other was eastern area, which showed the higher density.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were affected by topological characteristics around Wangdol-cho.
        2246.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만세포는 세포질 내에 다양한 신호전달물질을 과립형태로 함유하고 있는 세포로써, 피부, 기도, 소화관 등의 점막과 결합조직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염증반응, 자기방어, 조직재생,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생리적, 병리적 현상에 관여하고 있는 면역세포이다. 본 연구는 생쥐 연령별 자궁의 발달과 퇴행에 따른 자궁조직 내 비만세포의 분포와 밀도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생쥐 자궁에서 비만세포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자궁조직 내 비만세포는 발정주기가 시작되는 생후 6주 이전에는 매우 적은 수가 관찰되었으나, 생후 7주부터 자궁의 조직형태적 발달과 더불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32주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생후 38주부터는 자궁조직의 퇴행과 더불어 비만세포의 밀도도 감소하였다. 비만세포는 자궁의 근층조직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주요 세포외기질인 교원섬유도 자궁의 발달, 비만세포의 밀도 증가와 더불어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자궁의 퇴행과 함께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비만세포는 자궁 근층조직에서 평활근세포, 섬유모세포, 교원섬유와 근접하고 있는 형태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비만세포가 자궁에서의 면역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분만, 생리주기에 따른 자궁조직의 재생 및 재구성, 그리고 평활근조직의 수축 등에도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224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 동북사면에서 발견된 선흘리 스피넬 페리도타이트 맨틀포획 암의 지화학적 특성은 처음보고 되는 것으로 제 4기 제주도 동북사면 하부에 위치한 상부맨틀의 화학 조성, 평형 온도, 마그마 정체 시간에 관한 일련의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감람석(Fo89-90)을 포함한 스피넬 페리도타이트 내 구성광물들의 화학 조성은 일정하며 광물 중심부와 연변부의 화학 조성 차이 또한 크지 않다. 사방휘석-단사휘석 지온계를 이용하여 얻은 평형 온도 범위(약 951~1035℃)는 기존 제주도 다른 지역에서 산출되는 맨틀포획암에서 얻어진 온도 범위와 유사하다. 스피넬 페리도타이트가 모마그마에 포획되어 정체된 시간은 확산방정식과 감람석 내 칼슘 농도 변화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본 결과 약 42일이다.
        224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북 북부 지역, 낙동강 상류 배수유역의 기반암별 토양 점토광물의 분포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준정량광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화강암류 분포지역에는 캐올리나이트와 스멕타이트가 다른 기반암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퇴적암 지역 토양에는 일라이트의 함량이 다른 점토광물에 비해 월등히 높고, 캐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 전이형(녹니석-스멕타이트 혼합층 및 층간수산기 질석 등) 광물들이 소량 수반된다. 변성암류와 화산암류 지역은 일라이트와 캐올리나이트 함량이 화강암류와 퇴적암류 지역의 중간 정도이나, 전이형 광물의 함량이 조금 더 높았다. 토양 점토광물의 조성은 기반암의 광물조성 및 각 광물의 풍화도 차이와 관련성이 있다. 화강암류 지역 토양의 높은 캐올리나이트 함량은 사장석의 풍화작용에 기인하나, 국지적으로 높은 스멕타이트 함량은 모암의 부분적인 열수변질작용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퇴적암 지역 토양에 특히 풍부한 일라이트는 대부분 모암에서 잔류한 것이다.
        2249.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asonal variations of picoplankton including Prochlorococcus, Synechococcus and Picoeukayotes around Ulneung Island were investigated by flow cytometry in spring, summer and autumn in 2006. All groups of picoplankton showed clear seasonal patterns in population abundance. Among the group, Synechococcus showed the most prominent seasonal variation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aximal abundance of Synechococcus occurred in summer and the lowest in autumn.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Prochlorococcus displayed the reverse tendency with that of Synechococcus. The abundance of Prochlorococcus ranged from 2.9×103 cells/ml in summer to 311×103 cells/ml in autumn. However,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Picoeukaryotes was shown to be relatively constant, and the maximal abundance was 81.5×103 cells/ml in summer. The highest abundance of Picoeukaryotes occurred in summer and the lowest in autumn and the seasonal distribution in abundance of Picoeukaryotes showed a similar trend with that of Synechococcus. The estimated total carbon biomass of picoplankton were ranged from 74.7 mgC/m2 to 1,055.9 mgC/m2. The highest total carbon biomass occurred in summer, but lowest occurred in autumn. The pattern of the contribution of three picoplankton to total autotrophic picoplankton carbon is different. The contribution of Synechococcus to total autotrophic picoplankton carbon is increased to 75%, but the contribution of Prochlorococcus dropped to 12% in summer. The contribution of Picoeukaryotes is ranged from 24% in summer to 72.5% in spring.
        2250.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역의 강우-유출 현상을 분포형으로 모의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혹은 사각형 요소로 유역을 모형화하고 각 요소에서의 수문성분의 변화를 해석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사각형 요소인 격자로 모형화된 유역에서의 강우-유출 현상을 1차원 운동파 방정식을 이용하여 모의할 때 각 격자에서 발생된 흐름의 추적을 위한 격자 네트워크 해석에 대해 수행하였다. 격자의 흐름방향은 D8-method(deterministic eight-neighbors method)에 의해 결정된
        2251.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 사용자와 자주 소통하는 게임 요소는 NPC이다. 최근 게임에서 사용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NPC의 행동은 과거 게임 내의 단순한 행동을 하는 수준에서 머물러 있다. 사람과 비슷한 NPC의 행동 관찰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라이프 게임의 경우, 단순한 행동의 NPC는 게임을 지루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것은 NPC를 생성할 때 사람과 같은 다양한 성격과 그에 따른 행동을 보여주는 방법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사람과 비슷한 행동을 하는 NPC를 생성하려면 사람과 같은 다양한 성격과 그에 따른 다양한 행동 생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고, 그에 따른 행동 생성 방법에 관해 기술한다. 본 논문에서 기술한 행동 생성 방법을 실제 3D환경의 게임에 적용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방법에 대한 성능을 입증하였다.
        225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ree-living amoeba and Acanthamoeba sp. are widely distributed in fresh water, soil, air and dust in the world. We studied distribution of amoeba from low Nakdong River(Mulgum and Maeri) and removal efficiency in water treatment process of Busan metropolitan city. During this investigation, water quality showed pH 7.4~9.6(±1.1), water temperature 2.0~29.0(±17)℃, turbidity 4.8~27.4(±11.0) NTU, chlorophyll-a 10.3~109.0(±44.3) mg/m3, BOD 1.7~4.9(±2.6) mg/L, COD 3.1~6.9(±5.0) mg/L and total coliform 17~920(±200.5) MPN/100 mL. The free-living amoeba were detected highly than Acanthamoeba sp., 11 out of 22 in raw water samples were positive (50%) for Acanthamoeba sp. from February 2005 to December 2005.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free-living amoeba and Acanthamoeba sp. in raw water were mainly distributed through the spring to the early fall. When free-living amoeba and Acanthamoeba sp. were passed through the water treatment of pilot-plant, approximately 80% was sure to be removed through pre-ozonation, sedimentation, send filtration. 100% was removed after post-ozonation process. All of the isolated amoebas from Nakdong River were Acanthamoeba sp. AC311 18S ribosomal RNA gene with 98%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2253.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 개모시풀의 자생지 환경조건에 따른 분포특성, 토양성분, 혼생식물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모시풀의 상대밀도와 상대피도는 7.0%와 25.6%이었다. 해발고도별로는 200 m 이하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분포지역이 적었다. 경사도별로는 20˚ 이하에서 80% 이상이 자생하였고, 사면별로는 남사면보다 햇빛이 적은 서사면과 북사면에서 집중되었다. 광량에 따른 분포는 90% 정도가 중광이나 약광이었고, 습윤 정도에 따른 분포는 69.1%가 습윤지역이었다. 자생지의 토성은 식양토이었으며, 평균 pH는 6.2로서 약산성 토양이었다. 유기물 함량은 24 g kg?1이었으며, 유효인산은 31 mg kg?1이었다. 혼생하는 식물은 60과 125속에 총 171분류군이었으며, 상대밀도와 상대피도가 가장 높은 혼생식물은 사위질빵이었다.
        225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ata of temperature, chlorophyll a, phytoplankton and NOAA/AVHRR satellite data were analyzed about 7 stations around Wando Island area on August 30, 2005. The sea water temperature range was from 15.19℃ to 24.97℃, and there was a cold water mass from the station 1 to 5 around the outside of Chungsando Island, the water temperature was lower at the bottom than surface. The salinity was 32.41~34.03, DO was 7.40~9.14 mg/L, but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was 1ug/L higher at the bottom than surface. Total phytoplankton appeared from the whole stations were 47 genus, 80 species and diatoms were dominant. A lot of dinoflagellates Ceratium furca and diatoms Thalassithrix spp. mostly appeared in the cold water mass were turned up from the station 1 to 5. 4 groups of phytoplankton clusters were shown in the surface, and 3 groups of phytoplankton clusters were shown at the bottom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On the ground of the result analyzed with NOAA/AVHRR satellite data, the SST around Wando Island was 22~25℃, it was formed by thermohaline front latitudinally.
        2255.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역의 수문현상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형자료와 수문 시계열자료가 필요하다. 최근 들어 DEM(Digital Elevation Model)과 수자원 주제도와 같은 지형자료 뿐만 아니라 수치예보자료 및 강우레이더의 관측자료와 같은 수문 시계열자료 또한 격자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수문분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격자형 자료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단기간의 강우-유출 현상을 모의하기 위한 물리적 기반의
        2256.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퇴적물 전체 시료 내에 존재하는 각 점토광물의 함량비(전대광물조성)와 점토광물들만을 100%로 환산했을 때 각 점토광물의 함량비(상대광물조성)를 구한 후, 지도에 도시하여 그 분포 양상을 비교하여 보았다. 시료는 한국해양연구원의 2001년 황해 2차 탐사에서 채취된 86개 표층 퇴적물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정량X선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광물조성을 구하였다. 황해 표층 퇴적물은 주구성광물(석영 평균 44.7%, 사장석 15.9%, 알카리장석 13.9%. 각섬석 2.8%), 점토광물(일라이트 15.3%, 녹니석 2.6%, 카올리나이트 1%), 탄산염광물(방해석 1.7%, 아라고나이트 0.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토광물들은 대체로 황해의 가장자리에 적은 분포를 보이고 산동반도 남동쪽에서 제주도 남서쪽을 연결하는 해역에서 높았으며, 세립질 퇴적물의 분포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점토광물들의 합을 100으로 가정하고 구한 점토광물의 평균 상대광물조성은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리나이트가 각각 80.3%, 14.9%, 4.8%이다. 점토광물들의 상대광물조성을 이용하여 나타낸 분포 양상은 절대광물 조성을 이용하여 구한 그것과 많은 차이를 보이며, 점토광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세립질 퇴적물의 분포경향과도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점토광물들만을 대상으로 상대광물조성을 구하여 퇴적물 근원지 해석 등에 이용할 때에는 상당히 신중을 기한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257.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원도 영월 및 경북 봉화의 견운모광상은 화강암질 마그마의 알카리치환작용에 의한 광상으로 추정된다. 견운모광체는 캠브리아-트라이아기에 관입한 안주상의 우백질 화강암체 내에 배태되어 있으며, 이들 암주는 각기 시대미상의 페그마타이트질 미그마타이트와 선캠브리아기의 홍제사화강 암류를 관입하고 있다. 고생대 최하부층인 장산규암층은 열수작용 중에 그 방출을 막는 덮개역할을 하였으며, 견운모광상은 태백지향사 형성시에 생성된 함백향사의 남단 및 남동단에 각기 위치한다. 우백질 화강암류는 전기석을 가지는 페마타이트를 흔히 포함하며, 대체적으로 K 및 Na-장석류가 풍부하며, 광체는 암체의 상부 및 가장자리로 가면서 흔히 확인되며, 고품위광체는 거의 순수한 견운모 단일광물로 구성되는 초그라이젠화를 나타내기도 한다. 화학분석에 의하면, Na2O 및 K2O함량이 2.00~7.03wt%로서 그라이젠화가 뚜렷하지만 CaO는 0.05~4.51wt%로서 알비타이트화는 미약하다. 영월 지역은 견운모와 함께 납석이 포함되므로 대현지역에 비하여 열수의 온도 등이 더 높았음을 암시한다. 태백산지역에는 그라이젠형광상으로 석석이 산출되었었고, 광상형성에 유리한 탄산염암의 분포가 넓으므로 중석, 휘수연 등의 감속원소와 함께 Be, Nb, Li 및 희토류원소류 등의 산출이 기대되며 이들에 대한 연구가 기대된다.
        2258.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 완성도 향상 및 수출 증가 등 게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수요자들의 게임만족도가 일정한 수준에 도달해야 되며 이를 위하여 기존 또는 향후 개발되는 게임들의 만족도가 어느 정도 되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산업의 경쟁력과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게임만족도 요소들의 점수분포를 추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RPG 게임을 대상으로 얻은 설문자료에 근거하여 SAS/INSIGHT의 모수적 밀도함수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만족도 요소들의 점수분포를 각각 정규분포로 추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 또는 향후 개발되는 게임들의 만족도 수준과 기준을 예측할 수 있는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다.
        2259.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북 영양군 포도산(해발 748m, 북위 36˚ 31' 79.1''~36˚ 30' 16.8'', 동경 129˚ 12' 43.8''~129˚ 14' 07.1'')의 관속식물 분포와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7년 5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88과 267속 384종 4아종 43변종 6품종의 437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11종류, 약용 229종류, 공업용 85종류, 관상용 71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105종 류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13종류, IV등급 4종류, 귀화식물이 17종류로서 귀화율은 3.9%, 도시화지수는 6.3%로 나타났다.
        2260.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북 문경시 공덕산(해발 913m, 북위 36˚ 46' 37.5''~36˚ 43' 61.0'', 동경 128˚ 15' 00.3''~128˚ 17' 57.9'')의 관속식물 분포와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7년 5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86과 279속 374종 4아종 44변종 7품종의 총 429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33종류, 약용 297종류, 공업용 113종류, 관상용 111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43종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5종류,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이 1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5종류, IV등급 1종류, V등급 1종류, 귀화식물이 15종류로서 귀화율은 3.5%, 도시화지수는 5.5%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