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풍동실험 결과를 토대로 고층아파트 건축물의 풍압분포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태풍에 의해 창유리 파손을 입은 아파트 단지의 풍압모형을 제작하여 각 건축물의 상호간섭효과를 조사하였다. 풍동실험은 풍압모형을 이용하여 대형경계 층풍동에서 수행하였다. 간섭하는 주변건물의 여부에 따른 실험결과를 비교하고 검토하였다. 주변건물이 없어서 바람을 직접 맞을 때에는 105동, 106동은 주로 정압이 작용하였지만, 주변건물이 둘러싸고 있을 때의 105동, 106동은 큰 부압이 작용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층아파트 외장재 설계시 외장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풍동실험을 수행하여 바람에 의해 야기되는 상호간섭효과를 고려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달의 배설물에 근거해 한국 수달의 서식지 분포 및 그 패턴을 유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포 조사에 사용한 총 750개의 조사 격자 (13.75X11\;km) 중 34%에 이르는 255개의 구획에서 수달의 배설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달 배설물의 지역적 분포 빈도는 경상북도(49.62%), 강원도 (49.56%), 충청북도 (41.67%), 경상남도 (38.00%), 전라북도 (37.93%), 전라남도 (24.24%
열대 남태평양에 위치한 축 라군에서 flow cytometry와 HPLC를 이용 초미소 식물플랑크톤 조사를 하였다. Synechococcus, Prochlorococcus 그리고 picoeukaryotes의 풍도와 지시색소 분포 양상을 분석하였고 추정된 탄소 생체량에서의 기여율을 조사하였다. 남세균인 Synechococcus와 Prochlorococcus는 축 라군에서 대비되는 분포 특성을 보였다. Synechococcus는 웨노섬 주변 정점에서 높은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asic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plant-parasitic nematodes for the establishment of nematode management strategy in major potato production areas in Korea. Nationwide soil collection was done in 11 areas of Cheju, Yesan, Gimchun, Goryoung, Hong chun, Pyungchang, Gimjae, Milyang, Namwon, Gangnung, and Inje in 2004-2005. Root-knot nematode juveniles(J2) were detected in 30 samples among the 50 samples. The average density was 12-69 J2/100㏄ soil. Pratylenchus sp., Helicotylenchus sp., Ditylenchus sp., Tylenchus sp., and Tylenchorh-ynchus sp. were also detected in various locations, however, their densities were very low. Root-knot nematode females were collected from tomato roots inoculated with the potato field soils for PCR-RFLP identification. The females from Cheju, Milyang, and Goryung showed PCR products of 500 bp. And the Dra I restriction enzyme digestions showing 290 bp and 230 bp fragments confirmed their identity as Meloidogyne hapla.
환경특성이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태평양의 열대와 아열대 수역(TSWP)과 동해에서 2002년 9월 조사를 하였고, 동중국해 대륙붕수역 (C-ECS)은 2003년 8월에 조사를 수행하였다.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은 flow cytometry 방법을 이용 Synechoroccus, Prorhlorococcus 그리고 picoeukaryotes의 3개체군으로 구분 계수하였다. 물리화학적 환경이 상이한 3곳의 조사수역 별로 초
The damaged area by and the distribution of Japanese gall forming thrips, 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 (Thysanoptera: Phlaeothripidae) in Korea were surveyed based on the answers of persimmon growers to questionnaire. Seasonal occurrence of each developmental stage was estimated by monitoring the individuals in damaged leaves, and effect of trap site and side of sticky board were studied by yellow sticky traps at three sweet persimmon orchards in Gimhae and Jinju (orchards A and B), Gyeongnam province, Korea in 2005. P. diospyrosi gave damage to astringent per-simmon as well as sweet one. The damaged area of persimmon orchard has sharply increased since 2000, reaching 446 ㏊ nationwide, Gyeongnam province was most severely damaged, followed by Gyeongbuk and Jeonnam provinces. Most of the farmers answered that they sprayed insecticides and removed the damaged leaves to control P. diospyrosi. The overwintered adults were observed in the damaged-rolled leaves from mid May and the 1st generation adults from early-mid June. No thrips were observed in the damaged leaves after mid July. Yellow sticky trap data showed that peak adults catch of the overwintered generation was mid May, and that of the 1st generation was mid-late June in Gimhae and late June in Jinju. Sticky traps set at orchard-pine forest border caught significantly more number of the 1st generation adults than those at the orchard center, even though timing of peak catches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sites. There was a tendency of more catches on the side of sticky trap facing pine forest than the other side facing orchard center, even though the catches on both side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본 연구에서는 지진하중을 받는 탄성구조물을 대상으로 층전단력 분포에 기초한 마찰감쇠기의 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마찰감쇠기의 슬립하중(slip-load)을 정규화하는 방법 별로 단자유도 시스템의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슬립하중과 가새 강성의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설치용 가새와 원구조물의 최적강성비를 찾았다. 다음으로는 다양한 고유주기와 층수를 갖는 구조물을 대상으로 수치해석을 통해 마찰감쇠기의 설치 층수와 위치의 결정방법 및 슬립하중의 분배 방법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설치 층수가 포함된 성능지수를 사용하여 슬립하중의 총합으로부터 최적의 설치 층수를 도출하는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지진하중을 사용한 수치해석을 통해 기존의 최적설계 방법과 비교하여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도산 비바리뱀(Sibynophis collaris)의 분포와 서식지를 밝히기 위하여 1998년 3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북부에서 5개체, 남부에서 1개체, 서부에서 2개체가 확인되어, 비바리뱀은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찰시기는 5~10월이었고, 관찰빈도는 5~7월에 높게 나타났다. 성체의 경우 몸길이와 꼬리길이는 각각 406~452mm, 29+~202mm이었으며, 상순판의 수와 모양, 측두판 전열의 수를 고려하였을때 S. chinensis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재정립 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식지로는 한라산 식생의 수직분포로 볼 때 해발600m 이하의 초지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바리뱀의 보호를 위해서는 주요 서식처인 초지대의 보호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presents the practial guide to implementation of reliability distributions. The applicability and property of various reliability distribution will then be illustrated.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how to use reliability distributions summary with respect to the total life cycle management. This paper provides insight info the good aspects of using relability distributions properly.
Some distributions have been used for diagnosing the lead time demand distribution in inventory system.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as a suitable demand distribution for a specific retail inventory management application.
이 논문은 경계조건에 따른 판구조물의 최적두께분포 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화하고자하는 변형에너지를 목적함수로 하고 구조물의 초기 부피 값을 제약조건으로 사용하였다. 판구조물의 두께분포를 표현하기 위하여 쿤이 개발한 조각 면을 이용하였다. 판의 변형에너지를 정확히 계산하기 위하여 퇴화 쉘 요소를 도입하였으며 반복계산을 통하여 최적의 두께분포를 검색하기 위하여 최적화검색기 DOT를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계조건에 따른 판의 최적두께 분포에 대한 정량적인 수치해석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사각형 판을 최적화에 채용하고 그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였다.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marine floating debris were recorded from a training ship 'Kyeongyang' of Gangwon Provincial University at May 19-29, 2004 and Aug.24-31, 2004. The sampled area is the middle part of East Sea of Korea(the coast of Gangwondo and region of Ulleung island and Tokdo), divided into 27 unit segments on survey areas. Debris fabrication materials were categorized with 6 items using the following; styrofoam, paper & cardboard, net & rope, vinyl & plastic, floating metal & glass, man-made or natural wood. From the investigation on May,2004, total numbers of marine floating debris in the middle part of the East Sea of Korea was 996 individuals. The No. 1 and No. 2 unit segment located at south-west region of Ulleung Island showed higher density than others. The styrofoam and vinyl & plastic accounted for 72.8% of all debris fabrication materials. From the investigation on August, 2004, total numbers of marine floating debris in the coast of the Gangwondo of Korea was 2,473 individuals. The No. 13 and No. 14 unit segment located at the vicinity of Samcheok showed higher density than others. The styrofoam and vinyl & plastic amounted to 76.1%. In the coast of the Gangwondo, the vinyl & plastic showed the highest density of 6 items were 41.3% and 68.0% on May and August,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s of marine floating debris on May and August were 3,399 individuals. Vinyl & plastic accounted for 59.4%(2,019 ind.) among all debris, next styrofoam 15.8%(537 ind.) and wood 11.2%(379 ind.).
본 연구는 연역조직 회학 방법 및 in situ hybridization 법을 이용하여 골 치유 과정중의 골성 장 반응 빛 골 기질 단백질 형성이| 관여하는 여러 성장인자 및 골기질 관련물질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임 플란트 배식 후 티티늄 표연과 인접한 주변 골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 골 성장과 관련한 성장인지들의 변화를 관칠하고자 히였디 직경 3 -5mm의 thread - ed implan t를 백서 장골에 매 식한 후 시 간적 변화에 따른 골기질 관련 물질 및 관련 mRNA의 분포변호}를 관찰히였다 디1 상은 콜리 겐 . osteonectin(ON). osteopontin(OPN). osteocalcin (OC) 동의 분포의 변호}를 연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보고 이와 힘께 골기질 형 성관련 성장인자인 VEGF와 ON 의 l알헌을 in situ hybricli za tion 법을 이용해서 관찰하였다 3일째 소견에서 는 골 내부에 형성된 나사 산과 잉프란트의 강제적인 접 촉으로 인해서 높은 접촉률을 나티내고 있었으나‘ 부위에 따라서는 혈벙으로민 둘러씨인 부분도 관칠되었 다 7일째 소견에서 는 이 같은 인위적인 접촉부위에서 골 흡수가 일어니연서 골접촉이 크게 감소하였다 7 일과 14일에서 골의 형성은 이주 낮은 정도로 나타났으마. 14 일째에 는 골 집촉의 증기기 다소 나타나지만 골 밀도는 골의 게조로 인해 김소하는 소견을 나타내 었 다 연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대조균은 콜라겐이 결합조직 에 서 항상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반면 실험군에서는 신생 골에서 일부에 서만 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OC은 신생골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존 골의 손상부위에 부분적으로 양성 만응을 보였다 OPN은 결함조직 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신생 골의 골양 조직과 골소공 주변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ON은 기존골의 일 부와 신생골에서 관찰 되었다 특히 골모세포와 골세포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 었다 대조군과 실험군들 간의 연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OC은 대조군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생골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인접 골 주변부에서 부분적 으로 양성 반응을 보였다 OPN은 대 조군과 실험군 동일하게 결합조직 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신생골의 골양 조직과 골소공 주변에서 발현되는 것도 유시하였다 ON의 말현 OJ상도 대조군의 경우와 통일하였으며 골모세포나 골세포 에서 양성 반응을 나티 내 띤 서 골질에 대해서 는 신생골이니 골 게 조 후의 골보다 석회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골 개조 이전의 골에서 뚜렷한 양성을 보였다 ON 의 발현잉상에서 연띄조직화학 염색소견과 달러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내 mRNA의 발현은 임플란트에 보다 근 접힌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히는 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얻은 겔론은 다음과 같다 i 소형 임플린트의 떼식 시 나타나는 조직 띤응은 정싱크기 의 임 풀란트에서외 동일힌 소견을 나타내았다 2 골재생은 3일 째부터 관칠되었으며 14 일이후 골재소가 나티니 21 일까지 지속되었다 3 임플란트 주맨에서 나타냐는 골재생관련 성장인자외 골기질 단백질은 골결손으로 인한 재생 시와 동일한 소 낀을 니 타내 었다 4 띤약조직화흐l 염색소견과 달리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세 포내 mR NA의 발현은 임플란트에 보디근접한 세포에서 발힌이 증가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임풀란트 제 료의 표면이 골형성 유도능을 가진 것이기 보다는 골형성 유도 능을 가진 세 포외 인지들이 티타늄 표띤 애 수동적으로 홉착됨으로 잔존 기간이 증가하고 이동성이 감소함으로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5. 티타늄 인 플렌트의 표띤은 특띨힌 처리 없이 도 곧형성 유도른 증가시 키는 것으로 보인다
부재의 내력비, 강성비에 영향을 받는 다층 강구조 골조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력비 및 강성비를 설계 파라메타로 하여 동적 비탄성 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내력비와 강성비의 변화폭이 큰 다층골조의 손상분포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보기둥 내력비 및 강성비가 작아질수록 1층의 기둥 주각부에서의 손상집중 현상이 크게 나타났다. 2) 보기둥 내력비 및 강성비를 고려하여 보붕괴형 강구조 다층골조의 손상분포를 예측할 수 있는 식을 제안하였으며, 예측식은 응답해석 결과와 좋은 대응을 보였다. 3)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손상분포 예측식은 강접 및 반강접 보붕괴형 강구조 다층골조의 손상분포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