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임지 내에서 고사목을 대상으로 솔수염하늘소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 및 번데기방의 크기와 갱도길이 등을 측정하고, 소나무 내 분포를 분석하였다. 소나무 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 침입공수는 1당 수관부가 56.2 개인데 비해 수간부는 27.7개로서 수관부가 훨씬 많았다. 직경이 8-l0 cm인 공시목에 침입공의 27.5%와 우화공의 22.4%가 분포하였고 이보다 굵거나 가는 공시목에는 적었다. 침입공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입구의 표면적은 평균 65.8 이었다. 성충탈출공은 원형으로서 직경은 평균 7.0mm 이었다. 공시목의 표면에서 번데기방까지의 깊이는 평균 24.8 mm이었고 번데기 방의 부피는 200-2,000 ㎣이었다 성충의 탈출공은 수관부가 수간부보다 많았으며, 공시목의 직경이 8-10cm에서 22.4%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유충 침입공과 성충 탈출공까지의 목질부 표면에서 직선거리는 평균 3.3 cm이었으며, 침입공에서 탈출공까지의 갱도 길이는 평균 46.2 nm이었다.
Since transmitting various files around Internet is one of common activities in everyday life, the compression is important technical issue in these days. Shape models are also frequently transmitted and therefore its compression has also been studied. Considering the large portion of shape model can be normal vectors, a new scheme was recently presented to compress normal vectors using clustering and mixed indexing scheme. Presented in this paper is a mathematical investigation of the scheme to analyze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normal index distances in Normal Index array which is critical for the compressi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is formulated so that the values can be easily calculated once the relative probabilities of C, R, E, S, and L op-codes in Edgebreaker are known. It can be shown that the distribution of index distances can be easily transformed into a few measures for the compress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감관총채벌레가 2000년에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남부지방에서 계속 분포가 확산되고 있어서 설문조사를 통해 그 분포확산 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감관총채벌레는 1995년에 전남 장성군에서 최초로 발생하였으며, 현재는 울산광역시와 충북,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등 6개 도의 26개 시군에서 발생하고 있고, 경남의 창원과 밀양 지역이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1995년부터 2003년 4월까지 누적된 발생면적은 총 151 ha이었으며, 단감 뿐만 아니라 떫은감에도 발생하였다.
We carried out a study on thermohaline structure and phytoplankton com munity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early summer in 2005. As a result of marine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three characteristics of water type were identified. The former
비교되는 포장조건에 따라 부리 분포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Rhizotron법을 사용하였다. Lincoln 지역에서 토양 깊이에 따른 뿌리의 분포는 15∼30 cm 깊이에 대부분의 뿌리가 분포되어 있고, 0∼15 cm와 30 cm 이하에서는 분포가 적었다. 반면, Winchmore에서는 토양 깊이가 깊어질 수록 뿌리 수가 많아졌다. Mt John에서는 표토에 가까울 수록 뿌리 분포도가 더 높았으며, 시비량이 높고 관개를 한 곳이 부리 분포가 더 높았다.
Lens의 굴절력은 구변반사체의 광반사 이미지률 이용하여 측정 할 수 있다. 렌즈 에서 반사 이미지는 렌즈의 전 • 후 면에서 나타나며, 상의 모양과 크기에 의해 렌즈 의 종류를 알 수 었다. 원형의 광원에서 반사 이미지 형태는 전 • 후변의 상이 겹치면 펑면 렌즈, 원이 두 개이연 구면 렌즈, 원과 타원이 겹치면 왼주 렌즈, 원과 타원이 겹치지 않으면 토릭렌즈, 3 개의 반사 이미지이면 2중 초점 렌즈가 된다. 전 • 후 변의 반사 이미지의 간격이 bl과 bz 일 때 렌즈의 굴절력은 D= 객二1. . {으二효-으二효 1 2S \ R R J 이다. 여기서 S는 광원에서 렌즈 사이 거리이고, a는 광원의 직경 크기이다, 구면반 사체의 광반사 이미지률 이용하여 구면렌즈, 원주렌즈, 토릭렌즈, 평면렌즈, 2중 초점 렌즈, 누진렌즈 둥올 쉽게 가시화 하여 렌즈의 굴절력올 측정 할 수 있다.
Distributions of diamond particles protruding on the surface of worn diamond segments in circular saw has been investigat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as used to examine the worn ,surface and radial saw blade wear and grinding ratio was measured. The number of protruded diamond particle was approximately 50% of the total number of particles, and that was independent of diamond particle concentration and table speed. It was also noted that the inter-particle distance did not follow a symmetric function like Gaussian distribution function, instead it fitted well with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based on gamma function. The distribution of inter-particle spacing, therefore, was analyzed using a gamma function model.
The coefficient of variation(CV) which is a relatively dimensionless measure of variability is widely used to describe the variation of sample data. But little research is available to its distribution, confidence interval and interpret method etc. In this paper, we give an outline of statistical properties of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design of control chart based on this statistic. Construction procedures of control chart are presented. The proposed control chart is an efficient method to monitoring a process variation for multiple product processes. Futhermore, the performance is evaluated by average run length(A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