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Bongwha Pine Mushroom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based on marketing mix which are products, price, place, and promotion(4ps) and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providing more opportunity of taking mushrooms, placing of guides, and development of diverse foods to increase satisfaction of festival program
Second, providing discount of festival products and development of low price foods based on the region products are necessary to increase visitors` satisfaction on price.
Third, placing traffic signals are a must for festival visitors.
Fourth, it was found that TV, word of mouth, internet were the most three effective medias. There should be more investment on the medias. Providing cooking manuals for making pine mushroom foods are necessary, too.
Fifth, uniformed clothes for guides and making more relaxation places are recommended for visitors` satisfaction. The increasing and placing of more restrooms are important for visitor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is study investigated visitors` satisfaction based on marketing 4Ps and service. There should be more satisfaction researches through diverse factors not onl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rminant factors of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visitors` satisfaction.
본 연구는 소나무라는 식물의 부산물인 송이버섯을 주제로 축제화한 제8회 봉화송이축제의 방문객만족에 관한 연구이다. 식물을 활용한 축제연구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방문객의 만족을 식물을 활용한 관광 형태 중의 하나인 생태관광 관점에서 연구 한 것에서 본 연구는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식물 활용축제에 대한 방문객들의 축제 관광프로그램 만족도,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식물활용 축제의 지역에 대한 경제적 편익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화송이축제의 관광프로그램 중 방문자들은 송이채취 체험에 대해 송이를 활용한 음식 만들기 등 의 프로그램들 보다 더욱 만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평균5.35/7점 척도). 한편 체험 참가자들은 채취하는 송이의 수가 증가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송이축제 방문으로 방문자들은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느껴 봉화 송이축제가 교육적 축제임이 밝혀졌다.
다음으로, 축제 방문객으로 인한 지역의 경제적 기여 분석에서 방문자들은 송이와 농산물 구매 그리고 식음료 구매로 인한 비용이 숙박 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축제 기획자들은 가족 중심의 관광프로그램 다양화와 지역의 독특하고 상품성 높은 농산물 생산 등에 대한 축제 기획이 요구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방문객들의 방문동기, 방문객들의 방문 기대와 인지된 성과, 서비스 질 등에 관한 만족도 연구 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유류탱크 구조물을 대상으로 기 실시한 유류탱크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중심으로 구조적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근간으로 내구년수를 결정하는 기법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추가로 구조적 개선사항도 제안하였다. 정밀안전진단 결과 폐기된 유류탱크를 분석하면 시공년도와는 상관없이 시공, 유지관리 등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며, 탱크형식별로는 매립형의 건전성이 가장 취약한 상태이다. 또한 손상원인별로 분석한 결과 강재 부분에 대해서는 강재의 두께, 용접 불량이 가장 많은 상태이며, 기초의 영향에 따른 부등침하의 원인도 다수 조사되었다. 또한, 유류탱크의 수명은 일반적으로 30년 정도를 예상수명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연구 결과 내구년수는 30년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교육은 지식을 전수받고, 기능을 익히는 단편의 것을 넘어 전인으로서 삶을 가꾸는 것이어야 한다. 전인이란 지, 덕, 체가 조화롭게 발달된 인간, 다시 말해 언어 능력, 논리적 사고력, 예술성, 체력들이 골고루 형성된 인간을 말한다. 따라서 전인으로서 살아가는 삶이란 여느 때 이와 같은 능력들이 묻어나는 삶을 말하며, 어떤 대상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그것의 아름다움을 볼 줄 알며, 스스로 실천하는 삶이다. 체육교육은 이와 같은 전인교육에 목적을 두고 있다. 다시 말해, 체육교육은 학생들에게 전인의 삶을 누릴 수 있는 사람으로 자라도록 하기 위해 교육 내용을 조직하고,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체육교육은 그러지 못했다. 유정애(2003)가 전통적인 학습 공간에서 체육교육의 한계를 학습 영역의 분절 현상, 편중된 심동적 영역 교육, 암기위주의 인지적 영역 교육, 정의적 영역의 교육이 없었음을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늘 기능에 무게를 두었고, 심동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을 따로 나누어 가르쳤으며, 전인으로서 삶이 아닌 기능 향상, 체육발전에 그 목적을 두고 있었다. 체육으로 전인의 삶을 배우는 것은 기능과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을 따로 분리하여 학습하는 것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 실제 삶에서는 그 어느 것도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읽거나 보면서 익히고, 실행하면서 생각한다. 감상하면서 반성하고, 반성하면서 표현한다. 기능이나 정의적 태도, 지식, 그 무엇을 익히든 통합되어 지도되고, 학습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학생들에게 전인의 삶을 살도록 이끌어주는 체육교육을 하기 위해서 체육교육자들은 다양한 볼거리와 들을 거리, 읽을거리, 움직일 거리 따위를 다양한 방식으로 통합하여 제공하고 학습하도록 해야 함을 뜻한다. 이는 곧 체육수업 속에서 움직임을 비롯해 그 밖의 다양한 체험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체육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또한 체육수업 속에서 시범과 설명, 연습과 같은 기존의 수업방식과 함께, 체육 관련 자료에 대한 읽기, 쓰기, 표현하기와 같은 다양한 과제활동이 주어져야 한다(최의창, 2002a). 곧 체육 수업의 변화는 체계화된 체육과 교수-학습 모형이나 원리에 바탕을 두면서 다양하게 개발된 교수-학습 방법과 과제 학습 활동이 제공되고, 어떻게 이를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줄 때 그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사실, 체육교육은 이런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동안 통합지향의 교육과정과 체육수업(김신회, 2006; 유정애; 2003, 최의창, 2002b; Kinchin & O'sullivan, 1999; Macdonald & Brooker, 1997)을 주장해 온 연구들이 있으나, 체육교육에서 통합적인 교육 내용을 어떻게 구성 지도하고 학습하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 못했다. 또 체육수업은 멀티미디어 매체를 사용하기 어려운 운동장이나 체육관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특성상 멀티미디어, ICT, WBI를 활용한 수업이 어려운 교과로 인식되어 왔다(배경숙, 2006). 그러나 이런 한계점은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바꿈으로써 수업을 질적으로 변화(배경숙, 2006)시키고, 또 학습자의 개성과 능력, 형편을 존중하는 것을 특성으로 하는 온라인 매체들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부분이나마 해결할 수 있으리라 본다. 다행히 요즘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중등 체육수업 연구들(김숙경, 2005; 조민주, 2005; 홍석호, 2005)에서 새로운 매체를 통해 다양한 학습 자원과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교과과정과 교수방법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홍석호, 문호준, 2005).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삶 속으로 깊이 스며들 수 있는 체육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 내용과 방법이 통합된 체육수업을 시도하였다. 학생 모두에게 의미 있는 체육수업이 될 수 있도록 인간 능력의 다양성과 독특성을 인정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학습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다중지능 이론을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 적용하였고, 다중지능 활동의 효과 있는 적용을 위해 e-Learning을 적절히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소개하는 인라인스케이트 수업 사례는 충남 서산의 ‘ㅅ’ 초등학교에서 실시되었던 체육수업으로, 다중지능 이론과 e-Learning을 적용한 다양한 통합 학습활동으로 체육문화의 다양한 국면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삶 속에서 늘 함께할 수 있는 체육을 만들고자 힘썼다.
네트워크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네트워크 관련 프로그래밍 기술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필요한 네트워크에 관련 전문적인 지식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통신 관련 고급 프로그래밍 기술들을 습득하고 또 이를 구현해 내는 데에는 적지 않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기술적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Virtools 엔진의 서버 기술을 이용하여 P2P 방식의 네트워크 연결 모듈을개발해 봄으로써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사성폐기물 처분 연구 사업이 법률적인 인허가 뿐만이 아니라 일반 국민의 동의를 얻기 위해서는 처분 사업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 획득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투명하게 공개될 수 있는 종합 성능 평가 (TSPA,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의 수행 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처분 성능 평가의 투명성 증진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처분 종합 성능 평가 전 과정에 대해 품질 보증 원칙을 도입하여 평가 관련 전체 업무에 관한 신뢰성 향상을 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처분 종합 성능 평가 수행의 다섯 단계인 (1) 기획, (2) 연구 수행 , (3) 문서화, (4) 내부 검토, (5) 독자적인 외부 검토 과정에 T2R3의 품질 보증 원칙을 적용한 인터넷 기반의 Cyber R&D Platform이 개발되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본 시스템의 개발을 통해 안전성 평가 관련 모든 참여자들은 평가 전 과정에서 투명성이 유지된 데이터들에 쉽게 접근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다 Cyber R&D Platform은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 관련 데이터인 FEP 목록과 관련 시나리오 정보, 관련 시나리오 도출 과정 및 평가 체계 등을 체계적으로 구축한 FEAS (FEp to Assessment through Scenario development)프로그램과 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입력 데이터들을 분류, 저장해 놓은 PAID (Performance Assessment Input Data) 프로그램, 그리고 이러한 자료들을 품질 보증 원칙과 절차에 의한 승인 과정을 통해 입력, 저장할 수 있는 품질 보증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합 운영함으로써 도출된 데이터들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Cyber R&D Platform과 평가 software와의 통합 운영으로 웹 기반 시스템에 대한 한 번의 접속만으로 안전성 평가 관련 모든 정보를 확인,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sult of the previous studies and to clarify the types and activation factors of maintenance activities of the naturally favorable water space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rural areas, through a further survey of the area proposed as a program in the existing study review and previous study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survey of 1,242 households and 1,335 persons intended for Japanese rural areas. The study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types of the maintenance activities in the areas intended for the survey have been classified into 'rural type' and 'combination type'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by the references like the comparison analysis, job percentage and main utilization purpose of facilities for each type of maintenance and operation activities. In case of the 'rural type' area, residents were doing maintenance activities centered on the group activities rather than personal maintenance activities. Also, the activities of maintenance & operation group members were more active than non-members, and the water-friendly utilization to the facilities was not directly affecting the maintenance activities of residents. In case of the 'combinational type' area, there was no comm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each area, and the participation percentage in the maintenance activities was low compared with the 'rural type' a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ased on the participation degree of personal maintenance activities, the repair of facilities as a naturally favorable water space, implementation of projects reflecting the opinions of residents, educational programs conducted in order to motivat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etc. have been analyzed as the factors affecting the activation of maintenance activities of residents. Through the above results, for continuous maintenance activities to be made with residents as a main bod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maintenance groups on an administrative level and procure experts for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participation percentage of residents.
본 연구는 유아가 자기존중감에 따라 모래상자놀이에서 어떻게 자신을 표현하고, 그 표현된 내용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자기존중감이 낮은 유아와 자기존중감이 높은 유아 모두 모래상자놀이 과정에서 동물적·식물적 단계, 투쟁의 단계, 집단에의 적응 단계를 거치면서 놀이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자기존중감이 낮은 유아와 자기존중감이 높은 유아가 각 단계에서 사용했던 놀잇감의 종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 구간에서의 선박 운항과 관련된 단위 비용이 선박 대형화에 비례하여 감소한다는 규모의 경제에 근거하여 최근 8,000TEU급 선박이 운항을 개시하였고, 10,000TEU급 이상 초대형선(Mega Ship)이 설계 단계에 있다. 기존 연구들은 대형항만에서 대형항만까지의 총운항비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운항비, 항만비용(하역비 포함), 피더비용 등 총비용적 관점에서 허브항으로 선택된 항만별 경제성 평가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간항로를 운항하고 있는 국내선사의 자료를 토대로 초대형 킨테이너선의 운송네트워크를 설정하고, 10,000TEU급 컨테이너선이 운항할 경우의 비용과 물동량을 적용하여 시나리오별 경제성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3개의 시나리오는 각각 부산항, 상해항 그리고 요코하마항을 허브포트로 설정하였는데, 연구결과 부산항이 허브포트가 되었을 경우 가장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우리나라 전국에서 발생한 스쿠버 잠수 사고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고 일본 및 미국에서 발생한 잠수 사고와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스쿠버 잠수 사고의 특성을 밝혀내었다. 연구 결과는 잠수 사고 예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고 자료는 대한수중협회의 기술위원회에 보고된 자료와 해양경찰청의 자료, 스쿠버 잠수 전문점에 전화 통화 및 방문 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정보, DAN(Diver Alert Network)에서 발행한 잠수 사고 보고 자료집, 월간 잡지에 수록된 잠수 사고 보고 자료, 그리고 세미나 발표 자료 등을 참조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망 사고에 국한하였으며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사망률이 일본의 2.8배, 미국의 2.2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Proper management of small rural watershed is important since it does affect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larger scale watershed. Therefore, effective small watershed management guideline including participatory program of local people is required to achieve water environment improvement. Feasibility of water quality goal, short and long-term watershed management plan and funding sources were investigated by field monitoring of Hampyungchun watershed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rural stream, and literature review. The relevant parties and their roles fer watershed management were identified and suggested. A hybrid model, that is mixture of government driven model and NGO model, is recommended for watershed management organization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finding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residents and the maintenance activities of naturally favorable waterside spaces, this paper has conducted a research with the focus on the three model case regions in Japan. The methods of the research included surveys, interviews, and documents.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 three regions in focus have characteristics distinct from one another.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group activities was high in a region, with members that belong to groups most active in the maintenance activities. Reasons for their participation included: to manage the local area themselves; and to promote cooperation and friendships among the residents. This proves that participation in the maintenance activities has also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close communities in the regions. According to the analytic conclusion of the factors related to participation, the residents' experience to have been involved in a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which induces communal participation, acted more as the major factor than the individual ones.
Indoor air quality has been addressed as an important atmospheric environmental issue and has caught attention of the public in recent years in Korea. Good indoor air quality in classrooms favour student's learning ability, teacher and staff's productivity according to other studies. In this study, each classroom at four different schools was chosen for comparison of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by means of source generation types such as new constructed classroom, using of cleaning agents and purchased furnitur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RH), carbon dioxide (CO2), formaldehyde (HCHO),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 and particulate matter with diameter less than 10 ㎛ (PM10) were monitored at indoor and outdoor locations during lesson. HCHO was found to be the worst among parameters measured in new constructed classroom, HCHO and TVOCs was worst in classroom with new purchased furniture, and TVOCs was worst in classroom cleaned by cleaning agents. Indoor CO2 concentrations often exceeded 1500 ppm indicating importance of ventilation. Active activity of students during break time made the PM10 concentration higher than a lesson. Improvements and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indoor air quality at schools is of special concern since children and students are susceptible to poor ai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