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학습조직화코칭이 학습조 활동을 실행하는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직무성과인 역할내 직무수행 과 적응적 수행성과 두 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경영층의 지원이 학습조직화코칭과 학 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사이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상기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 다. 그리고 가설 검증을 위해 부산, 경남에 소재한 중소기업 중 학습조직화코칭을 실시한 10개 기업의 학 습조직화코칭 참여 근로자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유효설문지 295부를 사용하여 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화코칭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진행될수록 학습조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높아진 다. 둘째, 학습조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성과인 학습조원의 역할내 직무수행과 적응적 수행성과 모두 높아진다. 셋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학습조직화코칭 프로세스와 역할내 직무수행 및 적응적 수행성과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조직화코칭 프로세스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사이의 관계에서 경영층의 지원이 조절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Evaluation and comparison for the performance on the contracting-out became possibl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PIs) in 2012 in Korea, And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companies are utilizing them as evaluation data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contracting-out. Several revisions on performance indicator were carried out by expert group on contents validity of PIs, But the review of the composition validity of PIs was not sufficient.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distinction ability and composition validity of PIs is evaluated by statistical method. From the results, Improvement of indicator is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indicators to enhance the compostion validity of indicators related with operation, sludge and water reuse
MgB2 bulk superconductors are synthesized by the solid state reaction of (MgB4+xMg) precursors withexcessive Mg compositions (x=1.0, 1.4, 2.0 and 2.4). The MgB4 precursors are synthesized using (Mg+B) powders. Thesecondary phases (MgB4 and MgO) present in the synthesized MgB4 are removed by HNO3 leaching. It is found thatthe formation reaction of MgB2 is accelerated when Mg excessive compositions are used. The magnetization curves ofMg1+xB2 samples show that the transition from the normal state to the superconducting state of the Mg excessive sam-ples with x=0.5 and x=0.7 are sharper than that of MgB2. The highest Jc-B curve at 5 K and 20 K is achieved forx=0.5. Further addition of Mg decreases the Jc owing to the formation of more pores in the MgB2 matrix and smallervolume fraction of MgB2.
우리나라는 겨울철 제설제 살포 및 기후변화에 따른 동결융해작용으로 인한 콘크리트 포장의 내구성능 저하, 특히, 스케일링(scaling) 현상이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교통시설 이용자의 편의성 감소 및 유 지관리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콘크리트 포장의 스케일링은 동해 및 염해의 복합작용으로 발생하 는 표면박리, 잔골재의 탈락 등으로 나타나는 콘크리트의 대표적인 성능저하 현상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의 스케일링 현상은 콘크리트의 강도, 염용액의 종류 및 농도, 연행공기량, 블리딩량 등의 영향을 받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결합재의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의 스케일링 현상도 각각 상이 하여 최근, 이에 대한 연구도 국내외적으로 많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포장의 내구성 평가를 위한 일환으로 ASTM C 672에 준하여 스케일링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콘크리트 공극구조와도 비교,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콘크리트의 스케일링 저 항성은 콘크리트의 미세 연행공기량(air entrained micropores)과 비교적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cludes: Firstly, to examine the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market orientation, radic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l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rket orientation, radical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 of 269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Busan, Ulsan, Gyeongju city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18.0 and AMOS 18.0. This study reports findings as follow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market orientation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radical innovation. Thir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t orientation and the radical innov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ket orient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positively related. Fifth,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ixth,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cal innov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nally, the market orient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radical innovation. The market orientation and radical innov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lso, the radical innov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다변화된 경영환경에서의 가장 적합한 조직형태는 팀제이다. 팀제의 가장 큰 장점은 유연성과 자율성 인데 팀 셀프리더십이 바로 이러한 특성을 수반한다. 따라서 이를 팀제에서의 가장 필요한 핵심 키워드로 생각하면서 본 논문의 연구주제를 설정하게 되었다. 팀 셀프리더십이 원활하게 작동된다면 팀 성과는 확 보될 것이며, 팀 동료 및 부하평가 요인이 팀 셀프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다. 주로 공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총 166개 팀 880명의 데이터를 기초로 팀 수준의 연구를 진행하기 위 하여 팀별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설문지를 두 가지 형태로 작성 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한 개인수준을 팀 수준으로 변환하는데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항일치도 ( )와 급내상관계수(ICC)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측정변수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하였으 며, 가설검증은 회귀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팀 셀프리더십은 팀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팀 동료평가 및 부하평가는 팀 셀프리더 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의 말미에는 연구결 과가 의미하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configuration management quality of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Project Performance and Company Performance. That quality construction management configuration factors, chief executives, corporate strategy, organizational managem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partners five variables, Project Performance variables, process management, quality management, cost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five variables, and Company Performance parameters of financial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quality of work three variables, the overal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specific activities and management qualit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y were verified by the difference in impact between the two group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tribute in establishing the objectives of government policie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surrounding the self-employed creative enterprise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where the specific empirical studies on the self-employed creative enterprises haven't been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ication, the social capitals such as reliability, reciprocity and network are necessary due to the characteristics possessed by the self-employed creative enterprises while the reliability between cooperative enterprises is created an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continues when the enterprises are faithful to their intrinsic activities such as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rather than the entrepreneur spirit. Such win-win cooperation was eventually shown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enterprises.
본 연구는 조직 내 구성원들이 일상적, 비일상적 업무 수행시 마주하는 다양한 문제에 부딪혔을때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각 개인의 업무에 대한 의미감이 그들의 과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서 조직 상사의 변화리더십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설계되었다. 조직구성원들에 게 부여된 과업의 고성과에는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가 개인 차원은 물론이거니와 조직차원에서도 중요하고 가치있다고 지각하는 일 의미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국내 기업의 다양한 업종, 직위 및 성별, 연령의 연구대상 390명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문제해결자신감이 업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 의미감이 업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검증 에서 일 의미감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변화리더십이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문제해결자신감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변화리더십이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조직구성원들의 업무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과업 수행 시 원만하고 성공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동기부여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해주어야 하며, 결과에 대한 피드백 등을 통하여 개인이나 조직차원에서 부딪히는 문제상황 에서 효과적인 해결책을 탐색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 및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또한 조직구성원 에게 부여된 업무에 대한 의의와 중요성을 발견하고 스스로 업무에 동화되어 높은 가치를 두느냐에 따라 업무성과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직은 개인의 업무에 대한 의의와 역할을 명확히 제시하고, 또 한 개인 스스로 일에 대한 목적과 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연구 상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structural correlation empirically between information security performan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performance. To verify the correlation, three factors such as managerial controlled activity, technical controlled activity, and physical controlled activity are divided for the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variable. the security performance are divided into accident prevention and accident response variables. As a result, security organization activity is a unique factor being positively significant to information secur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three activities such as human security, security training, development security do not affect at all on both information secur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급변하는 경영환경속에서 고객응대 서비스업체의 종사자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인적자 원 기반의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종사자의 직무역량에 의해 기업성과가 좌우되는 경우가 많기에 인적자원 관리에 더욱 주목을 기울이게 된다. 이때, 종사자의 직무역량과 관련해 동료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지금까지 종사자의 행동에 의한 고객만족 및 서비스 품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오히려 종사자의 행동에 의해 다른 종사자가 어떤 영향을 받는 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동료의 조직시 민행동에 의한 영향과 동료와의 프렌드십 지각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성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직의도를 떨어뜨려 조직유효성을 높이고, 개인 및 조직의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연구의 결과, 지각된 동료의 OCB는 부분적으로 직무만족 및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 라 이직의도를 낮출 수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친애적이고 친사회적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은 고객 에게뿐만 아니라 동료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동료와의 프렌드십을 높게 지각하면 할수록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떨어뜨려 전체적으로 조직유효성을 증가시키 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료와의 관계 및 동료의 행동적 영향은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을 향상시 키고 조직성과를 증대시키는 주요한 요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본 연구는 참여를 통해 일어나는 감정적 반응인 즐거움을 통해 조합원과 생활협동조합의 조직성과와의 구조적 관계를 매력성, 지속적 정보탐색 및 호혜성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The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analysis to 413 industrial safety field employees in order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industrial safety field's 17th neo-job classification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As a result, 50.1% of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field and 43.3% of industrial health management field answered that classification detail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field are classified by job(duty) performance.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field recognizes that management and engineering section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ir work, while industrial health management field recognizes worker's health care and work environment management and overall control of work environment assessment to be significant in their work. Furthermore,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field recognizes that separating qualification and foundation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r', 'chemicals(safety and health) manager', '(toxic)risk assessment evaluator or risk factor manager' to be highly significan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industrial safety field's qualification items practical in industrial sites
본 논문에서는 한국 제조기업들을 대상으로 역동적인 환경 하에 공급사와 구매 사의 신제품 개발 기술협력이 구매기업의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생산성본부와 지식경제부가 공동으로 조사한 2012년도 한국 600 개 제조기업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독립 변수로 구매 사와 구매사의 주요공급사와의 신제품 개발에서의 기술협력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수로 구매 사의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품질달성률(quality), 비용절감(cost), 개발일정준수률(time)의 세 가지 운영 성과를 사용하였다. 환경의 역동성을 조절 변수로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급사와 구매사간의 기술협력이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품질 달성율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환경의 역동성은 오히려 공급사 구매사의 기 술협력의 신제품개발 프로젝트 성과에 모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환경의 역동성이 높은 산업(통신기기산업)과 낮은 산업(조선산업)으로 분리하여 사후분석을 실 시하였다. 사후분석결과, 역동성이 낮은 산업에서는 구매사-공급사의 기술협력이 신제품 개 발 프로젝트 운영성과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지만 역동성이 높은 산업에서는 구매사-공급사 의 기술협력이 구매사의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운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역동성이 높은 산업은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기존에 지속적으로 거래를 하고 있는 특정 공급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축적된 학습효과 및 시너지를 누리기가 어 렵고 이에 주공급업체와의 협력이 프로젝트 운영의 효율성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 인다. 반면에 환경의 역동성이 낮은 환경에서는 기존의 공급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축적된 협 력 역량 프로젝트 운영성과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속성과 횟수는 기업이 처한 환경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고 주 공급업체와의 기술 협력의 효과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세계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표준화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표준화를 통한 제품의 호환성 확보는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경쟁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 부응하여 중소기업의 혁신 역량과 기업 내 표준화 교육 활동 및 그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정보통신 및 전기전자 업종 중소기업 약 900여개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표준화 교육활동은 기업의 생산 및 품질개선 정도와 R&D 활동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D 투자비율은 표준화 교육활동이 생산 및 품질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표준화 교육 활동, 교육성과, 혁신활동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중소기업 및 관계기관의 의사결정자가 혁신 및 표준화 활동의 성과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 내 기업들의 정부와의 관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둘 간의 관계에 있어 국가의 제도화 수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개발도상국의 제도 수준은 선진국의 제도 수준에 비교해보았을 때 덜 체계화 되어 있으며 미흡한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기업은 제도적 상황에 맞는 독특한 자원의 보유를 필요로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것을 기업-정부 관계에서 비롯하는 정치적 자원이라 주장한다. 본 연구는 제도주의 이론과 자원기반관점을 결합하여 이와 같은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기업-정부 관계는 구체적으로 실질적 관계와 관계를 위한 노력이라는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전자에는 기업이 정부와 계약을 체결하였는지 여부와 정부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았는지 여부가 포함되고, 후자를 대표하는 변수로는 최고경영진이 정부 규제로부터 부과된 요구조건들을 다루는 시간의 비중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 내 24개 국가, 10,629개 기업을 대상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정부와의 실질적 관계인 계약체결과 재정적 지원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반면, 최고경영진이 정부규제에 할애하는 시간은 기업성과와 역U자형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국가의 제도화 수준이 낮은 경우, 정부와의 계약체결여부와 최고경영진이 정부규제에 쏟는 시간할애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강화되었다. 이 결과는 기업-정부관계라는 정치적 자원이 제도화 수준이 미약한 국가에서 더 큰 가치를 가진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