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리더십코칭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할 목적으로, 조직의 리더십코칭을 주제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들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연도별․연구형태별․연구주제별․종속 변인별 연구 경향으로 살펴보았다. 연도별 연구 결과 총 41편 중 2005년도 이후의 논문이 34편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둘째, 연구형태별 연구경향은 학위논문이 27편으로 65.85%로서 주를 이루었다. 셋째, 연구대상별 연구경향으로 문헌연구가 24.39%, 조직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29.28%, 조직의 리더와 책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31.70%였다. 넷째, 연구주제별 연구경향은 관리자의 코칭능력․코칭요인․리더로서의 코칭행동․조직에서의 코칭인식 등이 41.46%, 리더십향상․리더십교육 등의 코칭리더십이 36.58%,조직관련 연구가 12.29%, 프로그램관련 연구가 9.76%였다. 다섯째, 종속변인별 연구경향은 종속변인이 있는 경우가 31편으로서 67.39%, 없는 경우가 31.61%였다. 세부적 변인별로는 조직몰입․조직유효성․집단응집력․직무성과․직무만족도․리더십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의 리더십코칭 연구들을 연구의 분석틀에 따라 분석함으로서 조직의 리더십코칭에 관한 이해를 돕고 조직의 리더십코칭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인성 상실의 가속화와 입시 위주의 인지 교육이 지배하는 현재의 공교육에서 정의 교육의 중요성은 공교육이 시행되기 이전보다 세삼 강조되고 있다. 한문과의 학습 내용에는 학생들의 심미적 감상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문학의 요소와,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하게 할 수 있는 철학의 요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현행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 고 건전한 가치관을 확립한다.’와 ‘전통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 다.’와 같은 정의적 학습 내용과 도달점이 명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교육의 목표가 있을 때 그 목표의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평가가 존재하여야 함은 지극히 당연하다. 하지만 ‘인지’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정의’라는 것의 복 잡성과, 가시적인 결과 값을 획득하기 어려운 ‘정의’의 측정학적 난해성으로 인해 정의 교육 평가는 인지 교육 평가에 비해 큰 관심을 갖거나 만족할 만한 성취를 얻기가 어려웠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문과 정의적 특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 한 절차로서 핵심적인 연구 문제들을 제기하는 것에 주요한 목적을 둔다. 따라서 문헌을 두 가지 편의적인 분류, 즉 ‘이론서’와 ‘논문’으로 대별해보고 각각의 연구성과를 살펴보고 그 성과들을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 문제들을 초점화 유형화 시 켰다. 그 결과 연구자는 다수의 문헌에서 각기 혼용하고 있는 ‘정의적 영역’, ‘정의적 특성’이라는 용어 정립이 필요하며, 한문과 교육 평가는 교과 교육의 특수성을 반 영한 ‘정의적 특성 평가’에 중점을 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한문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무수히 많은 정의적 특성 가운데 한문과 교 육 평가에서 측정하여야 할 세부적인 정의적 특성은 ‘감상’, ‘가치’, ‘태도’등으로 압축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문과 정의적 특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절차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주요한 의의가 있다. 정의 교육 연구라는 지극히 난해한 문제 에 있어서는 더욱더 과학적 절차가 중요하므로, 이 연구에서 제기한 핵심 쟁점들 이 어느 정도 해결되었을 때 한문과 정의적 특성 평가 연구는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Government evaluate annually a performance of government's R&D(Research & Development) and decide a budget and progress. So, a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D is very important at the planning, The basic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ailroad R&D is clear. However,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ailroad R&D is very difficult and a reasonable level of it can not be judged. Therefore, this study will suggest a solution for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arget setting of railroad R&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successfully finished railroad R&D, after judging a reasonability of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hrough comparing railroad R&D with the other R&D.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an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technic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as a precursor,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and achievements of technical innovation on the basis of preceding empirical studies o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of manufacturing corpora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First, the technic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is found to have influence upo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in various ways, implying that the role of technic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as a key to technical innovation is most important of all to enable manufacturing companies to gain edge in competition by means of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and Second,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exercises impacts on the achievements of exploitative technology innovation as well as on the achievements of exploratory technology innovation on the part of manufacturing industry. The above findings prove that the level of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may be a source for superior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ing business as a result of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Manufacturing corporations, thus, need to place more weight on stepping up their executive level of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factors than on increasing simply the level of technical investment.
R&D innovation is based on the premises of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Innovation is achieved not on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producing newer and better products, but also gaining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consumer demands, chang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추진되어 왔던 전통테마마을 사업의 추진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적 요소,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 등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 문가를 대상으로 AHP법을 이용하여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지표의 중요도는 주민만족도 (150), 주민참여도 (145), 경제적효과 (123), 민박가구수 (101), 리더양성정도 (96), 사업이해도 (90) 순으로 나타났 다. 6개 마을에 적용한 결과, 해바리마을, 다랭이마을, 남사예담촌, 물레방아떡마을, 산첩렵마을 순으로 평가량이 산정되었다. 농촌마을 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인적 측면, 경제적 측면, 사회적 측 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R&D innovation is based on the premises of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Innovation is achieved not on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producing newer and better products, but also gaining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consumer demands, changes in the market, and a competitors actions. Investment in R&D can not adequately be fulfilled solely through market functions because of R&D activities imply high-risk, uncertainty, and because R&D has a public-good characteristic. Most past researches have concentrated on managerial methodologies through research of performance, thus the results are related to studies of innovation performance.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effect given on R&D innovation by IT factors and provides a model, and further analysis on how IT factors are applied through this model. By developing a model through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model with variables based on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in turn confirming and concentrating on major IT factors through analysis, it will be possible to double the R&D Innovation Performance.
Due to fierce competition, many domestic fashion businesse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securing and maintaining customers. Accordingly, fashion companies are devoting all their energy to secure customers by using high quality and diverse strategies for distribution and promotion, and to secure loyalty by satisfying customers with the offer of excellent service.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systematic service recovery strategy available for handling service failure effective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rehensively analyzing influences of expectation dis-confirmation and perceived justice for service recovery upon consumer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ervice failure that customers experienced, the more consumers who expect it to be recovered led to the higher formation of expectation-compensation dis-confirmation. Second, it was indicated that the higher seriousness in service failure that customers experienced led to the lower satisfaction and loyalty to service recover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influence of expectation-compensation dis-confirmation for servicefailure recovery upon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customers who showed more positive dis-confirmation to expectation-compensation were indicated to form the more satisfaction and loyalt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justice in the process of service-failure recovery upon customer satisfaction, all in 3 dimensions of justice had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정부는 지난 2008년 8월 새로운 국가 발전 패러다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제안한 바 있다. 이 전략의 골자는 저탄소 사회의 구현과 새로운 성장동력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많은 학자들은 두 목적이 서로 상충되는 것으로 인식해 왔다. 다시 말해 녹색전략은 환경규제를 강화하게 되고 이것은 기업의 생산비용을 증대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포터를 비롯한 일단의 학자들은 이것을 근거가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정태적인 분석의 결과로 보았다. 또 이들은 적절한 형태의 환경규제는 기술혁신을 유도함으로써 단기적 비용을 상쇄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들 논쟁에 관해 많은 선행연구가 있지만 실증연구는 대단히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환경관리를 위한 정부 정책과 기업의 혁신 활동이 어떤 여건에서 기업의 기술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녹색경영전략에 따라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부 규제에 대한 대응정도나 내부 녹색경영 의지가 높을수록 기술성, 수익성, 성장성 등이 커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국제 환경규제나 기후변화협약에 대해 기업이 처한 여건 역시 기술과 경영 두 측면에서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기술혁신활동과 환경규제 그리고 경영성과 간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관에 의한 종조성표의 불연속성인 분류법 과 연속성인 배열법을 적용하여 한반도 도서지역 춘란 집단의 식물종조성 및 식생을 식물사회학적으로 분석하였 다. 자생지 33개소는 평균 해발고도 65.9m이었고, 방향은 동남 사면이었으며, 경사는 평균 7.9%이었다. 조사구 4m2 면적의 춘란 피도는 4.5%이었다. 춘란과 동반 출현하는 식물은 총 102분류군이었다. 그 중 목본은 68분류군 (66.7%)이었고, 초본은 34분류군(33.3%)이었으며, 상록 식물은 36분류군(35.3%), 낙엽식물은 66분류군(64.7%) 이었다. 춘란과 동반 출현하는 빈도가 가장 높은 식물은 사스레피나무(48.5%)이었으며, 다음으로 곰솔(45.5%), 청미래덩굴(36.4%), 그늘사초(33.3%), 송악(33.3%), 후 박나무(30.0%), 때죽나무(30.3%), 소나무(27.3%) 순이 었다. 춘란집단의 식물군락은 곰솔군락, 소나무군락, 구실 잣밤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춘란과 결합력이 강한 식물군락은 곰솔군락이었다. 춘란집단 식 물군락의 유사성과 결합양상은 곰솔군락과 구실잣밤나무 군락이 가까웠고, 소나무군락은 굴참나무군락과 가까웠다.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tion of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R&D projects with heterogeneous objectives. The ANP model in this study produced the final priorities of projects with respect to several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