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의 관념은 자연적 속성을 가리키는 것에서 추상적 사유로 그 개념 이 확장되어 하나의 사상으로 성숙하였다. 동서양의 사상적 장벽을 초월하여 고대인들은 그들 자신을 둘러싼 모든 환경을 상대적으로 생각하거나 상보적인 관점으로 해석 하는 데 익숙했다. 따라서 음양의 관념이 중국인들에 의해 사상적으로 정립되었지만 동서양을 막론한 인류의 보편적 세계관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음양의 특징인 상호대립성, 상호의존성, 소장평형성, 상호전화성, 그리고 상호조화성 등을 고찰하 고 예이츠의 문학과 철학 그리고 삶에 그것을 접목시켜 해석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예이츠의 시가 초기, 중기, 후기를 거처 존재의 통일인 음양합덕에 도달하는 과정을 그의 자아발견의 여정과 접목시켜 고찰하는 것이다.
We developed a log-burying cultivation technique for Grifola frondosa using oak logs and surveyed its annual yiel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G. frondosa log cultivation, the harvesting period of the ‘Yipsae1ho’ cultivar was delayed by approximately 10-15 days compared to that of the Dabak cultivar, and the fruit color of the ‘Yipsae1ho’ cultivar was dark brown, while that of the ‘Dabak’ cultivar was grayish brown. Yield of the ‘Yipsae1ho’ cultivar was 16.0 kg/㎡ in the first year, 15.4 kg/㎡ in the second year, 9.5 kg/㎡ in the third year, 4.6 kg/㎡ in the fourth year, and 4.6 kg/㎡ in the fifth year, while yield of the ‘Dabak’ cultivar was 12.3 kg/㎡ in the first year, 11.5 kg/㎡ in the second year, 12.7 kg/㎡ in the third year, 6.2 kg/㎡ in the fourth year, and 8.2 kg/㎡ in the fifth year. Total yield of the ‘Yipsae1ho’ cultivar (50.0 kg/㎡)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Dabak’ cultivar (50.8 kg/㎡). The optimum period for log-burying cultivation of Grifola frondosa is estimated to be 3 years.
강풍 현장에서는 소방공무원들의 안전에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 있으며 현장 활동에도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현재 국내에 는 강풍 시 현장 대응 매뉴얼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소방공무원의 강풍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강풍 시 현장 활동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풍 현장에서 소방공무원의 희생을 줄이기 위하여 실제 소방대원을 대상으로 풍동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수행된 풍동실험 유형으로는 소방관의 복장, 지면의 미끄러운 정도, 물건 운반 등이 있다. 또한 강풍 조건에서 활동 유형별 현장 대원의 행동과 풍속에 따른 행동 제약 요인을 분석하고, 활동 유형별 제한 풍속을 도출하여 이에 따른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PURPOSES : The current practice in car headlight visi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is based on the luminous intensity and illuminance of headlight. Such practice can be inappropriate from a visibility point of view where visibility indicates abilities to perceive an object ahead on the road.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current headlight evaluation methodMETHODS: This study measured the luminance of object and road surface at unlit roadways. The variables were measured by vehicle type and by headlight lamp type. Based on the measurements, the distance where drivers can perceive an object ahead was calculated and then compared against such distance obtained by conventional visibility performance evaluation.RESULTS: The evaluation method based on illuminance of headlight is not appropriate when viewed from the visibility concept that is based on object-perceivable distance. Further, the results indicated a shorter object-perceiving distance even when road surface luminance is higher, thereby suggesting that illuminance of headlight and luminance of road surface are not the representative indices of nighttime visibility.CONCLUSIONS : Considering that this study utilized limited vehicle types and that road surface (background) luminance can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ven road surface, it would likely go too far to argue that this study’s visi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can get generalized to other conditions. Regardless, there is little doubt that the 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on which is based on illuminance, is unreasonable. There should be future endeavors on the current subject which will need to explore study conditions further, under which more experiments should be conducted and effective methodologies developed for evaluating automotive headlight visibility performance. Needs are recognized particularly in the development of headlight visi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which will take into account road surface (background) luminance and luminance contrast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the former indicates the driver’s perception of the front road alignment and the latter being indicative of object perception performance.
PURPOSES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a driver’s workload between using a driving simulator and field driving in tunnel, highway.METHOD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a driver’s workload could be quantified using biosignals. This study analyzed the biosignal data of 30 participants using data collected while they were using a driving simulator and during a field test involving tunnel driving. Relative energy parameter was used for biosignal analysis.RESULTS : The driver’s workload was different between the driving simulator and field driving in tunnels, highway. Compared with the driving simulator test, the driver’s workload exhibited high value in field driving. This result wa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The same result was observed before the tunnel entrance section and 200 m after the entrance section.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driving simulator effect that drivers feel safer and more comfortable using a driving simulator than during a field test. Future studies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age, type of simulator, study site and so on.
In this study, performance based seismic design was performed on the shear wall structural system and the beam-column system as a variable general rebar and seismic rebar, and comparing the capacity of the two models of each system. From nonlinear analyses, the capacity of the shear wall structural system applying seismic rebar has shown a stable behavior after the maximum strength, but there is little difference. Furthermore, both models showed similar capacity between story drift and story shear force and capacity of members. These results a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eismic rebar, which is highly ductile under the seismic load applied to the target structure, does not render sufficient capacity.
목적: 본 연구는 시력교정술 후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조도 환경에 따른 동공크기 및 시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28안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26안에 두 종류의 무도수의 써클 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동공크기 및 시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Control group)은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전 밝은 상태에서의 Log MAR시 력은 렌즈 A를 착용 하였을 때 보다 감소하였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은 군에서의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전 Log MAR시력은 착용 후 밝은 상태에서 렌즈 A, B를 착용하였을 때 보다 높게 나타났다. 렌즈 B를 착용 하 였을 때의 Log MAR시력이 렌즈 A를 착용 하였을 때 보다 낮게 나타났다. 밝은 상태에서 대비감도 3, 6 cpd의 공간주파수에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써클 콘택트렌즈 A를 착용하였을 경우 시력교정 술을 받은 군의 대비감도가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의 대비감도 보다 낮게 측정되 었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이 시력교정술을 받은 군 보다 밝은, 어두운 상태에 서의 대비감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시력교정술을 받은 사람이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대비감도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니 이에 대한 이해 및 착용자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예이츠의 시에는 사랑과 낭만 아일랜드를 찾아 헤매는 작가의 정신적 방황뿐 아니라 아일랜드 내전 이후의 정치적 방황도 역시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예이츠 시의 화자는 앵글로 아이리시 귀족의 자부심과 열정을 갖고 어쉰 및 오이디푸스 등의 영웅과 자신을 동일시한다. 한편 히니는 자신의 시집인 『순례의 섬』, 『스위니의 방랑』 등에서 종교의 권위를 부정해 핍박 받았던 전설의 방랑자 스위니와 자신을 동 일시하면서 거기에 순례의 이미지를 덧붙인다.
예이츠는 버클리를 시의 이미지로 사용하여 아일랜드의 낭만적 전통을 부활시키고자 노력했다. 그는 “Blood and Moon”과 “The Seven Sages”에서 휘그주의에 탐닉하고 있는 아일랜드 사람들의 삶을 조롱하면서, 버클리의 유심론을 찬양하고 그를 아일랜드의 현자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또한 탑은 현실과 꿈, 현실세계와 이상세계, 현재와 과거, 속인과 현자를 연결하는 교차로로 사용되어 아일랜드의 전통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이처럼, 그는 꿈과 현실이라는 이원론적 시야로 낭만적 아일랜드를 갈망했을지 모른다.
죽음과 그 이후의 삶에 대한 관심은 수세기동안 지속되어 왔다. 예이츠는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해 『환상록』(A Vision)에서 밝힌 자신의 관점을 후기 시에 투영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예이츠 후기 시에 나타난 죽음 이후의 삶의 변모를 탐색하는 데 있다. 예이츠는 죽음 이후의 영혼의 과정을 4개의 원리(the Husk, the Passionate Body, the Spirit, and the Celestial Body)로 규정하고 6과정의 단계를 거쳐 변모한다고 주장한다. 자신의 창의적인 시를 통해 죽음 이후의 영혼의 환생과 생존에 대한 명상은 예이츠의 삶에 대한 강렬한 갈망이 잠복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젊은 여인에 대한 사랑으로 복잡해지는 예이츠의 중기 시는 나이 들어감에 대해 미묘한 반응을 보인다. 예이츠는 나이의 속박에서 풀려나는 젊음과 열정의 세계를 갈구한다. 반면에 그는 노년과 전통적인 노년에 대한 생각들에 영향을 받는 한 계도 포괄적으로 인식한다. 이 두 상충하는 목소리는 똑같이 강하며 노년기의 시에서 공개적인 저항과 투쟁으로 발전하여 시들 속의 긴장감을 만들어낸다.
예이츠는 기독교를 버린 후에 새로운 종교를 창안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동양의 종교에 관심이 많아 힌두교 및 불교를 연구하기도 하였으며 밀교와 신비주의에도 관심이 많았다. 블라바츠키를 만난 후 신지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실천하였으며, 밀교의 실험을 하기도 하였다. 실험에 대한 과도한 관심 때문에 결국 신지학 협회에서 쫓겨났지만, 신지학은 그의 작품에 큰 자취를 남겼다. 비록 예이츠 자신은 블 라바츠키의 영향에 관하여 말한 바가 없지만, 그의 작품에는 신지학의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그의 후기시의 상징의 원천이 된 『상』은 문학, 철학, 역사, 종교를 포괄하는 자신의 생각을 집대성하여 정리한 책으로 신지학의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본 논문은 예이츠와 캐나다 모더니스트 시인 중의 첫 대표시인 A.J.M. 스미스 사이의 관계를 좀 더 면밀하게 검토하며, 더 나아가 현대 캐나다문학에 예이츠가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며 깊은 연관성이 있다는 논지를 편다. 즉, 예이츠의 문화적 민족주의, 시작법의 미학, 시의 자유화 등은 스미스의 시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With the concerns of global climate change, the significant changes in rainfall patterns have aggravated the occurrence of pollutants from agricultural uplands. Heavy and intensive rainfalls have rinsed a variety of pollutants off the land, sending them into the neighboring water environments which further causes water pollution problems. Recently, the application of PAM(Polyacrylamide) in agricultural lands has gotten much attention for soil condition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applying the chemical flocculant, liquid PAM in order to flocculate the suspended solids and deposit at the bottom of farmland water channel, so eventually minimize the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discharged into receiving water. The optimum feed rate for liquid PAM was calculated through the experiment in artificial water channel and applied to the control system. As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test of the automatic turbid water control system installed in the sloped field, the range of turbidity reduction rate was 25 to 33% with the average turbidity of 292 to 498 NTU in water channel.
목적: 초기노안에서 모노비전 및 변형된 모노비전, 멀티포컬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 자각적 만족도와 조절 기능 차이를 비교 하였다.
방법: 피검자들은 모노비전 및 변형된 모노비전, 멀티포컬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 후 조절 기능 차이를 비교 하였다. 그리고 시력적 만족도 차이, 피로감, 불편감, 선호도에 대해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조절력, 단안조절용이성, 양안조절용이성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 각각의 측정값들이 더 높았다. 입체시검사 등에서나 시력적 만족도 차이, 피로감, 불편감, 선호도에 대해 설문 조사 결과는 변형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 더 높았다.
결론: 변형된 모노비전은 양안 멀티포컬 착용 시에 좁은 근용부로 인해 상의 선명도 등에 대한 원/근 주시 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우에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초기노안은 가입도가 low인 경우이므로 더 연령대가 높은 mid나 high의 가입도의 경우에 적용하여 비교하거나, 또는 착용시간을 더 늘려 충분한 적응을 유도한 후 조사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