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리의 상자재배시 재식밀도, 배지 및 양액농도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재식밀도가 나리의 맹아에 미치는 영향은 14, 18 및 22구 처리가 1일 정도 맹아가 빨랐고, 개 화는 22구 처리에서 가장 빨랐고 6구 식재처리가 가 장 늦어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개화가 빠른 경향을 보 였다.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초장생장이 증가되어 절화 장이 길었으나 절화중, 화수 등 절화품질은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블라스팅이나 생리장해도 22, 18 및 14구순으로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발생율이 증가되 었다. 구고, 구폭, 구중, 인편수, 인편중 모두 22구 처 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정식전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구근비대가 좋지 않 았고 부패율도 증가하였다. 배지성분 변화는 구근 정식 전에 비해 pH는 모든 처리에서 낮아졌으며, 재식밀도 가 높을수록 더욱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 K, Ca, Mg 성분은 정식 전에 비해 높아졌으나, K와 Ca 성분은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절화품질은 왕겨+코이어(1:1, v/v)배지가 우수하였으나 다른 배지와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절 화 후 구근 비대에서는 나리전용배지, 펄라이트+피트모 스(1:1, v/v)배지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부패율 은 왕겨+코이어(1:1, v/v)배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뢰 출현기부터 절화기까지 양액농도별 처리에서 원시 1배액 처리가 절화장, 절화중, 화수 등 절화품질이 가장 좋았으며, 개화는 무처리, 원시 1/3배액 처리 순 으로 농도가 낮을수록 개화가 빨랐다. 절화 시 양액 농도별 엽분석 결과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N와 K의 흡수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Ca와 Mg도 농도가 높을수 록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P는 모든 처리에서 흡수율이 가장 낮았다.
이연구에서재식밀도, 적심, 그리고예취가생육과수 량에 영향을 미쳤다. 재식거리 90cm × 30cm에서 최고 의생장과 수량을얻었는데, 이재식거리에서는최고초 장이 140cm, 식물체당 1차, 2차 및 3차 분지수가 각각 32개, 164개및 367개로자랐다. 이처리에서건조한꽃 의무게는 10a당 98kg에달해재식거리 120cm × 30cm 에비해 40% 증수되었다. 경경, 지상부 건물중및건조 한 꽃 무게는 적심 하였을 때 무적심에 비해 증가되었 다. 7월 10일 적심시 건조한꽃 무게가 10a당 102kg으 로무적심에 비해 57% 증가되었다. 생육과 수량특성은 무예취와 6월 10일예취처리간에비슷하였지만 7월 10 일예취에서는초장, 경경및분지수가무처리에비해유 의하게감소되었다. 누적 지상부 건물중은모든처리에 서차이가없었지만 6월 10일예취시건조한꽃무게와 꽃수가 10a당각각 123kg과 2,592개로가장많았다.
김혜순의 시론집『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은 ‘여성성’과 ‘시작(詩作)’의 관계를 본격적이고 심층적으로 탐색한 저작이다. 여성성은 인간성의 반쪽이 아니라 근본적인 차원이다. 김혜순은 여성성을 부정하는 방식을 부정하면서, 여성성을 글쓰기의 근본적이고 심층적인 차원에서 드러내고 또한 미학적인 원리로 내세운다 김혜순이 사유하는 여성성의 핵심적인 자질은 생성의 능력이라 하겠다. 시적 주체의 엔트로피와 운동성은 여기에서 나온다. 김혜순이 시쓰기에 ‘바리데기’를 호명했던 이유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었다. ‘바리데기-되기’, ‘어머니-되기’는 은폐된 타자들을 해방시키고 활성화하는, 이를테면 타자들을 낳는 ‘자궁-되기’와 같은 것이었다. 김혜순에게 삶과 죽음, 현실과 환상, 나와 타자, 주체와 세계는 안과 밖의 이원론적 구조가 아니라 표면과 심층의 일원론적 관계 속에서 개시된다. 이를 ‘외부의 내재성’, ‘초월의 내재성’ 같은 말로 표현해 볼 수 있다. 내가 내 바깥의 타자들을 포획하고 규정하는 방식의 동일시가 아니라, 어머니가 아이를 생산하듯이 내 안에서 타자들을 출산하고 폭발시키면서 ‘나’를 바꾸는 방식으로 ‘시-하기’는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하기’는 내 안에서 숨겨진 ‘어머니’를 찾는 것이면서 ‘어머니’를 거꾸로 출산하는 것이기도 하다. 김혜순은 자아 중심의 기존 시학을 부정하면서 타자성의 시학을 제출한다. 그녀에게 ‘시-하기’는 ‘자아 지우기’이며 고체의 몸을 유동적인 액체의 형질로 바꾸는 사건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의 시론에서 떠오르는 것은 타자에 대한 시선의 문제가 아니라 타자를 낳고 경험하는 몸의 사건, 즉 자아와 타자가 접촉하고 섞이는 사건이다. 시의 장르적 원리로 간주되어 왔던 ‘세계의 자아화’라는 정의에 대하여 김혜순이 강력하게 수정을 요구할 때, 아니 이러한 시론의 요구 이전에 이미 ‘시-하기’는 이 관습적인 울타리에 갇히지 않고 ‘세계와 자아가 함께 동참한 소용돌이’, 나와 타자의 접촉 속에서 자유를 실천해왔다고 할 수 있을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e of two shoe size conditions on foot pressure, ground reaction force (GRF), and lower extremity muscle fatigue. Seven healthy men participated. They randomly performed walking and running in two different conditions: proper shoe size and 10 mm greater than proper shoe size. Peak foot pressure, and vertical, anterior and mediolateral force components were recorded with the Parotec system and Kisler force platform. To assess fatigue, the participants performed treadmill running for twenty-five minutes twice, each time wearing a different shoe size.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confirm localized muscle fatigue using power spectral analysis of four muscles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medialis,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walking conditions,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peak pressure in the 10 mm greater than proper shoe size insole sensor 1, 2, 14, and 18 (p<.05). 2) In running conditions,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peak pressure in the 10 mm greater than proper shoe size insole sensor 5, 14, and 15 (p<.05). 3) In walking conditions,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first maximal vertical GRF in the 10 mm greater than proper shoe size (p<.05). 4) In running conditions, no GRF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shoe size condition (p>.05). 5) Muscle fatigue indexes of the tibialis anterior and rectus femori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0 mm greater than proper shoe size cond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earing shoes that are too large could further exacerbate the problems of increased foot pressure, vertical GRF, and muscle fatigue.
대형 비행기 조종사들은 지상으로부터 높은 조종실의 위치, 빠른 접근속도와 수직강하속도로 인하여 불충분한 시각정보를 바탕으로 착륙 조작을 하여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형 비행기의 특징으로 인하여 비행기 착륙의 최종 조작인 당김(flare) 조작을 할 때 대형 비행기 조종사들이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조종석 외부로 보이는 공항에 대한 사진을 제시하고 높이 추정을 하도록 하여 정적 시각 단서만으로 정확한 높이지각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85feet의 고도에서는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나 당김 조작을 준비해야 하는 높이인 55feet부터 낮은 고도에서는 정확한 높이를 추정하지 못하였다. 연구 2에서는 착륙의 전 과정을 녹화한 화면을 보여주어 높이 추정을 하도록 하여 동적 시각 단서와 정적 시각 단서를 모두 제공하여 주었다. 시각단서가 연구 1보다 풍부하였으므로 50feet까지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였으나 연구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당김 조작을 시작하는 높이인 30feet 이하의 저고도에서의 높이지각이 모두 부정확하였다. 시각 단서의 해석에 경험이 중요한 요인이므로 경험이 많은 기장과 경험이 적은 부기장 간의 높이 추정에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 1과 연구 2에서 모두 비교하여 보았으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영랑호 어류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5년 9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16과 32종이었으며, 일차담수어는 11종(34.38%), 주연성담수어는 18종(56.25%), 해수어는 3종(9.38%)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지점 및 시기별 군집의 변화양상을 파악한 결과 갯터짐이 일어나면 생태적 특성에 따라 어종의 출현 비율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랑호의 어류상에 대한 과거 자료와 비교해 보았을 때 해수의 유입이 일어나면 주연성담수어와 해수어의 비율은 증가하고 일차담수어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석호 내의 어류군집은 갯터짐에 따라 시 공간적으로 그 성격이 매우 달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주부족은 원방에서 근방을 주시할 때 양안을 정렬할 수 없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근거 .리에서 외사위나 간헐성 외사시, 폭주근점 저하, 양성 융합 폭주력 저하, 낮은 AC/A 비에서 나타난다. 증상으로는 안정피로, 두통, 복시, 흐림 등이 나타난다. 폭주부족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조절부족과 관련이 있다. 근본적인 문제는 근거리에서 융합성 폭주가 부족하고 강한 외사위가 있는 경우이다. 시기능 훈련은 6주간 실시하였다. 훈련 실시 후에 자각증상들이 감소하였고 폭주근점이 증가하였으며 양성 융합 폭주력도 증가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s of poor imagination presented in the later poems of Wallace Stevens and W. B. Yeats. Being older and being barren of ideas, both poets feel the bitter anguish about their poetry writing. In his later poem, “Of Mere Being,” Stevens continues his endeavor to picture the ‘abstract’ or true reality but fails to accomplish “a supreme fiction” that is his own ultimate form of poetry. Yeats also seriously doubts of his own capabilities and laments the lack of theme as well as of subject matter in “The Circus Animals’ Desertion.” Although the imagination is sterile, however, the desire itself does not wither away totally. The elderly Stevens simply was not blessed with creative imagination in his later years. Hence, only the “mere” reality repetitively and gallantly appears in “Of Mere Being” and other later works. Yeats also does not give up but undertakes to write significant poems with integri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ages of landscapes in the poetry of W. B. Yeats and T. S. Eliot, the two greatest poets of the last century. Facing landscapes of the present world and the ancient as well, using his imagination, Yeats maximizes the poetic quality in his poetry. Some of his favorite landscapes, for example, include Innisfree, an islet in Sligo, Thor Ballylee in Coole Park, Byzantium, which delineate clear-cut images of his poetic themes. Either Yeats lived in Sligo with his mother's parents in his childhood, stayed in Lady Gregory’s house in the Coole Park, and owned and lived in the tower, Thor Ballylee in summer; or he admired the old Byzantium that he idealizes in his supreme poems. They serve as optimum metaphors for his poetry, making his poetry simple but rich in its imagery. On the other hand, Eliot focuses on delineating the life of modern man in his poetry by using cities, including London, Boston, Paris, and St. Louis. The people of the cities are being described as faithless and purposeless with their mind void. His depiction of the city further represents the whole modern civilization. The big city is the backdrop of such infertile imagery of modern man.
This paper aims to study Yeats and Nietzsche through Nietzsche’s “Will to Power” in some of Yeats’s poems. In 1902, Yeats first read Nietzsche’s works; through Nietzsche Yeats’s voice turned into a manly voice. An internal conflict appears as a Mask theory in Yeats's poetry. Self and Anti-self (Mask) are two components in the Mask theory. While Will is an internal and subjective self, Mask is a social and objective self. The internal conflicts between Will and Mask determine the human mind. Yeats’s “Mask” and “Ego Dominus Tuus” exemplify Will to Power as an internal conflict. Nietzsche’s Will to Power is a concept of quantity based upon the law of energy preservation refusing causality, the movement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the eternal recurrence of the same. Similarly, Yeat in his A Vision has rewritten a European history based upon the theory of opposite forces in a gyre. He classifies personalities into 28 types based one phases of the moon. Assigned to Phase 12, the phase of heroic man who overcomes himself, Nietzsche is a forerunner; who is fragmentary, violent, and subjective. Perspectivism, a kind of Will to Power, is a plural and relative point of view that is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Will to Power as knowledge ("Leda and the Swan"), art ("Ego Dominus Tuus"), love ("Crazy Jane Grown Old Looks at the Dancers"), and truth ("Demon and Beast"). In conclusion, Yeats’s later poems achieve a creative and powerful voice when he thinks and speaks with Nietzsche; in particular, Nietzsche’s Will to Power, a philosophy of Being and Becoming, is echoed in some of Yeats’s later poems.
지도는 유용한 공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시지각 정보처리 체계를 바탕으로 지도인지과정의 심리학적인 측면을 고찰하는 것이다. 지도의 시각정보가 처리되는 메커니즘을 Gestalt의 법칙과 전경-배경 분리의 법칙, 그리고 색채 지각의 심리적 영향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들 지각의 법칙에 대한 지도학적 활용 사례 및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시각적 요소는 최초의 정보처리단계에서 대비와 그룹화 과정을 통해 의미 있는 지각의 단위로 만들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지각 경험의 정확성을 높이고 오류를 줄이기 위해 심리학적인 법칙들을 활용하여 공간적으로 정보를 조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지도 인지 과정의 복잡한 시지각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지도 제작 및 교육에 있어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Because of not accepted on escape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has some background. In the background elevator hoistway has turn into smoke spread route in fire. The escape that used an elevator was not able to make ends meet; of the big confusion is expected that cannot control the escape adequately, and do that elevator facilities breakdown possibility by the fire water, the escaper shut in car. Therefore ban on elevator service in fire time as a general rule. Recently, a few company promote super high-rise architecture in the country, a fire disaster prevention and human life safety measures preparation for PBD(A Performance Based Fire Protection Design) are studied concretely. And there is the escape example in fire time that used an elevator in the foreign country. You must promote it so that the escape measures that used enclosed stairway and an elevator in charge of a function of the mutual supple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the standard and regulation for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This study 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 through the written folk poetries which were described vividly the life customs peculiar to the Nation and so much that were Korean National customs papers written by Chinese poetry -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period. It is used the way which is studied by the literature after collection, analysis, synthesis the analyzed second material of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period's written folk poetries. It is summarized to below five cont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 through the written folk poetries. The first is the various and abundant food culture. The second, that is the food culture of praying blessing and praying a fruitful. The people prayed to be a year of abundance of food stuff and train oneself and have medicine for their health, but there has been repeated seasonably an occult action for being blessing which had settled down to the beginning of the year's customs. The third, it is the food culture of share tender feeling with among the people. The fourth, it is the food culture of business and economy's growth image. The fifth, it is the food culture of an image of economic distress and the trouble between rich and p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