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present the performance test results of VLBI Correlation Subsystem (VCS) trial product which was being developed for 1 year from August 2007. It is a core component of Korea-Japan Joint VLBI Correlator (KJJVC). The aim for developing VCS trial product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VCS main product to reduce the efforts and cost, and to solve the design problems by performing the preliminary test of the manufactured trial product. The function of VCS trial product is that it is able to process the 2 stations-1 baseline, 8 Gbps/station speed, 1.2 Gbps output speed with FX-type. VCS trial product consists of Read Data Control Board (RDC), Fourier Transform Board (FTB), and Correlation and Accumulation Board (CAB). Almost main functions are integrated in the FTB and CAB board. In order to confirm the performance of VCS trial product functions, the spectral analysis, delay compensation and correlation process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using simulation and real observation data. We found that the overflow problem of re-quantization after FFT processing was occurred in the delay compensation experiment. We confirmed that this problem was caused by valid bit-expression of the re-quantized data. To solve this problem, the novel method will be applied to VCS main product. The effectiveness of VCS trial product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preliminary experimental results, but the overflow problem was occurred.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나비목 명나방과)은 가을철 옥수수 줄기 속에서 노숙유충태로 월동하는데, 수원지방에서는 봄에 월동유충이 발육하기 시작한다. 성페로몬트랩에 의한 표본조사에 의해 6월 초에 1회 성충의 발생피크를 보이고, 이후 7월 중하순에 2회 성충이, 8월말과 9월초 사이 3회 성충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9월 중순경부터 포장에서 채집된 유충의 대부분이 이미 휴면에 들어가 있는 것이 기존에 확인되었는데, 그 이전시기에 포장에 존재하는 유충의 휴면 여부에 대한 것은 불투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5월말부터 9월말까지 5~21일 사이 불규칙한 간격으로 조명나방 유충을 야외에서 인공사료를 먹이면서 사육하면서 조명나방이 휴면에 들어가는 시기를 조사하였다. 휴면에 들어간 것은 이듬해 3월에 말령유충 상태로 남아있는 개체들을 관찰하여 최종적으로 판정하였다. 관찰 결과 6월 29일까지 처리된 유충들은 모두 휴면에 들어가지 않았고, 이후 7월 20일 처리된 유충들의 약 8%가 휴면에 들어갔으며 9월초까지 휴면에 들어가는 개체 비율이 증가하여 일장이 짧아지기 시작한 이후 휴면개체들이 출현하는 현상을 보였다. 한편 9월에 처리된 개체들에서는 우화하는 개체가 없었는데 9월말 처리된 개체들은 60% 이상이 사망하였고, 상대적으로 휴면에 들어간 개체의 비율이 9월초에 비해 감소하였다. 한편 9월 이전까지 처리된 개체들이 우화하기까지 발육하는 기간은 약 23~35일 사이로 나타났는데, 5월말부터 8월초까지 처리한 집단들에서 시기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냈고 이후 8월 중순 다시 길어지는 것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실내 인공사육 집단의 온도의존적 발육 자료를 기반으로 야외에서 월동유충집단을 구성하는 세대를 추정하려고 시도하였다.
코이어+피트모스+펄라이트(4:4:2, v/v/v) 상토를 조제하고, 기비수준을 0.5X, 1.0X및 1.5X로 조절하였으며, 각 기비수준에서 파종 7, 14, 21 및 28일에 첫 관비를 할 경우 토마토 플러그 묘의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일한 관비 시작일에서 기비수준이 높을수록 파종 35일과 70일 후의 생체중과 건물중 생산량이 많았고, 동일한 기비수준에서 관비시작일이 빠를수록 식물 생장이 우수하였다. 동일한 관비 시작일에서 기비수분이 0.5X인 처리가 1.0X나 1.5X 처리 보다 인산 함량이 많았고, 기비수준이 높을수록 K, Mg 및 Fe 함량이 감소하고 Ca 함량이 증가하였다. 파종 35일 및 70일 후 본 연구의 토양 pH는 대부분 7.0 이상으로 측정되어 과도하게 높았으며, 상업용 재배에 적용할 경우 석회질 비료의 종류 및 양을 변화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Ca을 제외한 모든 비료의 기비수준을 1.5X로 높이고, 발아실에서 재배온실로 옮긴 즉시 첫 관비를 시작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ception concerning the starting age for early English education. Four hundred and eighty-four parent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for exploring parents’ perception was used and the major findings revealed that: (1) the children who started to learn English before the official school year tend to learn English from native speakers of English; (2) about 90.9 percent of children learned English before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3) most parents reported that the proper starting age for learning English is 5 or 6 years although they perceived that it was not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their children’s English proficien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 status of early English education should be restructured to meet the parents’ perception and needs. Major implications will then be discussed.
관측지점의 위치를 살펴보면 해안으로부터 수영은 약 5m정도이고 해운대는 약 1km정도 떨어져 있다. 하지만 해운대에서의 해풍시작시간이 수영보다 빨리 나타난다. 따라서 국지순환모형인 LCM을 이용하여 수영과 해운대에서 해풍시작시간에 대한 지형의 효과를 수치모의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야간의 복사냉각에 의해 형성된 흐름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도심지를 둘러싸고 있는 고지대의 경사면을 따라서 수렴된 공기가 가장 저지대인 수영지역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이러한 현상은 일출 후에도 나타난다. AWS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영에서 해운대에 비해 약 3배정도 강한 강풍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수영지역이 야간공기의 유출구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지형조건이 해풍의 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시냅스 억제(presynaptic inhibition)와 동시냅스 억제(homosynaptic depression)는 보행 시에 분절반사(segmental reflex)를 조절하는 두 가지 독립적인 기전이다. 근방추 피드백(feedback)은 전시냅스 억제(inhibition)를 통해 보행 시 원심성 근육 수축기에서 적절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전시냅스 억제 작용은 H-reflex의 강도로 나타내질 수 있는데, 원심성 근육 수축기 동안 H-refl
원격어군탐지기를 시험제작하여 정치망의 원통, 비탈그물 및 헛통에 원격어군탐지기와 기록식어군탐지기를 각각 설치하고, 1994년 10월 26~27일에 걸쳐 정치망에 입망하는 어군의 입망상태, 어군의 행동 및 정치망 어구의 변화를 조사하여, 원격어군탐지기의 실용성에 대해서 평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치망내의 해상이 동국에서 탐지한 어군탐지기의 기록과 그것을 원격으로 전송한 육상고정국의 어군기록은 잘 일치하였다. 2. 비탈그물과 원통의 밑판그물은 불규칙적인 변동을 하였으며, 그 지속시간은 원통그물쪽이 더 길었고, 그 변동폭은 각각 약 3.6m와 6.0m였다. 3. 헛통입구와 비탈그물에서 어군의 주간에 약 5~7m 수층으로 입망하였고, 야간에는 전수층으로 분산되어 입망하였으며, 주간보다 야간에 더 많이 입망하였으나 새벽에는 입망어군이 매우 적었다. 4. 원통에서의 어군은 주간에는 그물의 아래쪽 수심 약 8m 수층에 분포하였으며, 야간에는 부상하여 전수층에 분산하여 분포하였고, 새벽에는 밀집된 군을 형성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조사 당시 정치망에 어획된 어종은 약 20종으로서, 총어획량은 약 500kg이었는 데, 그 중에서 멸치의 어획이 가장 많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시험제작한 원격어군탐지기는 정치망에 입망하는 어군의 행동이나 분포특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해상에서 어군의 행동과 분포상태를 탐지하여 그 정보를 원격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어군탐지기를 시험제작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서해의 고군산군도 연안에서 1994년 8월 8일, 18일~19일 및 9월 8~9일에 낭장망에 입망하는 어군의 유영층과 그 어획변동 등을 조사하고, 원격어군탐지기의 실용성을 평가하여 분석,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획어종은 12종이었으며, 멸치(Engraulis japonica), 꼴뚜기(Loligo beka), 밴댕이(Harengula zunasi) 등이 전 어획량의 95%이상을 차지하였다. 2. 해상이 동국에서 탐지한 어군탐지기의 기록과 그것을 원격으로 전송한 선상고정국의 어군기록은 매우 잘 일치하였다. 3. 멸치는 유속이 0.6kt 이하로서 유속변화가 적은 경우에 어획이 많았으며, 유속이 0.6kt이상인 때에는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어군의 유영층은 유속이 1kt이하에서 얕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유속이 1kt이상이고 유속변화가 커지면 유영층에 큰 변동이 없으며, 이때 평균깊이는 약 4m였다. 5. 1회 조업당 어획량은 10~30 kg이었으며, 유향과 어구의 부설방향이 일치하지 않거나 유속이 너무 강해지면 어획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시험제작한 원격어군탐지기는 낭장망어업에서 어군의 행동과 분포에 관한 어업정보를 파악하는데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It is well known that visual cues can improve the motor performance of Parkinsonian patients. Previous laboratory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visual cueing to the floor.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using a visual cue above eye level on the gait of a Parkinsonian man. It was found that cueing the patient to a target above eye level while waking not only improved the kinematic parameters of the gait cycle but also facilitated a more functional gait pattern with re-intergration of arm swing, rhythm, heel strike and a more erect posture. Visual targeting above eye level may serve as an important clinical tool for physiotherapists treating Parkinsonian patients.
In order to investigate remotely the behavior and distribution of fishes, the telesounder system which was composed of two parts with a buoy station at sea and a base station on land was manufactured trial. The buoy station at sea consists of fishfinder, transmission interface and transceiver. 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on land consist of transceiver, receiving interface, trigger/signal separator and color display monitor. The system simulation for the performance of telesounder was carried out by use of echo simulator which could input echo signal into fishfinder. The received power (dBm) of transceiver at 29.4MHz decreased almost in proportion to distance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was 12.12mV/m at 100 meters distance from transmitter. The image of color display monitor at the base station on land was very well coincident with the records of fishfinder from the buoy station located at sea.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telesounder system is very useful in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on the behavior and the distribution of fishes detected from sea
본(本) 연구(硏究)는 인체(人體)에 해(害)로운 농약(農藥)으로 부터 운전자(運轉者)를 보호(保護)하기 위하여 무인(無人) 스피드 스프레이어를 개발(開發)할 목적(目的)으로 수행(遂行)하였으며 무선(無線) 전파(電波) 리모콘에 의한 원격제어(遠隔制御) 시스템을 개발(開發)하기 위하여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234채널, 16명령을 발신(發信)할 수 있는 VHF 대 전파(電波) 리모콘을 제작(製作)하여,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원격제어(遠隔制御)에 편용가능(便用可能)하였다. 2. 시판(市販)되고 있는 무선전화기(無線電話機)의 방식(方式)인 DTMF방식(方式)을 채용(採用)한 무선 리모콘을 사용(使用)할 경우 시판 무선전화기(無線電話機) 사용(使用)이 가능(可能)하여 송수신(送受信)기의 별도(別途) 제작(製作)이 필요 없는 잇점이 있었다. 3. 무선(無線) 전파(電波) 리모콘과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利用)하여 염가(廉價)이고 컴팩터한 원격조종(遠隔操縱) 조향장치(操向裝置) 및 원격조종(遠隔操縱) 변속장치(變速裝置), 원격조종(遠隔操縱) 약액(藥液) 살포장치(撒布裝置) 등(等)의 원격제어(遠隔制御) 시스템 제작(製作)이 가능(可能)하였다.
본 실험장치에 관한 이상의 이론과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연산기로써 전류입력파형을 부경전류의 다소에 관계없이 일정진폭의 단형파로 변화시킴으로써 부경전류 0.01[A] 이상의 역율의 정밀측정이 가능하다. 2. 영구자석가동코일형 직류전류계를 사용하여 출력파형의 평균치들 얻음으로써 역율값을 0-1의 전절원에 걸쳐 평균 눈금으로 직독할 수 있다. 3. Fig. 19에서 알 수 있듯이 진력율이나 지력율에 관계없이 측정가능하며 모두 정의 눈금으로 읽을 수 있다. 4. 출력저항에서 역률 Relay 회로를 쉽게 도입할 수 있어 전기기계의 자동제어, 보호, 경보 등의 회로를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본 글은 기독교 시각에서 엘리엇의 『네 사중주』를 고찰했다. 특히 인 간의 삶을 ‘시작’과 ‘끝’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한 것으로서 엘리엇은 『네 사중주』에서 이 문제를 표현하고 있다. 기독교 시각에서 보면 ‘시작’은 곧 우리의 인생이 끝을 향해서 가지만 이 끝 또한 또 다른 시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엘리엇은 “나의 시작에 나의 끝이 있다” 혹은 “나의 끝은 나의 시작에 있다” 등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여기서 “나의 끝에 나의 시작이 있다”는 논리는 기독교적으로 ‘영생’을 함축한다고 볼 수 있다. 아쉽게도 인간은 이와 같은 논리를 외면하기 때문에 변함에 노출되기 쉽고 또한 변하는 것에 집착을 보이게 된다. 엘리엇 역시 이 모습을 『네 사중주』에서 그대로 제시하고 있다.
멍게는 해양무척추동물로 유생 단계에 꼬리 근육 및 등쪽에 신경관을 갖는 등 기본적인 척삭동물의 형태를 나타낸다. 유생은 유영생활을 하다 암반 등에 부착하고 변태를 한다. 변태 과정에서 몸의 아래쪽에 심장이 형성되며, 개방혈관계를 갖는다. 심장은 주기적으로 혈류의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어떠한 방식으로 박동 방향이 역전되는지, 그 주기는 어떻게 되는지, 종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등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 산적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멍게(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를 이용하여 이와 관련된 현상을 연구하였다. 변태 후 약 10일부터 심장 박동이 관찰되었으며, 초기 단계부터 박동과 정지, 재박동이 일어났다. 심장의 박동 횟수는 9도에서 평균 3.05초 간격으로 80회 이상 지속되었다. 이후 10초 이상의 심장 박동의 정지가 있은 후 다시 재박동이 일어났다. 재박 동 때의 혈류의 방향은 언제나 반대로 일어났다. 심장의 박동은 9도보다 13도에서 빨랐고, 유치자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느려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멍게의 심장 형성 과정은 척추동물 심장 형성의 기본적인 모습을 하고 있어, 인간의 심장 형성 연구 및 기능 이상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실험재료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심장이 주기적으로 박동과 정지를 반복하며, 혈류의 방향이 역전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분자생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