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이 글로벌 산업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그래픽적인 외형보다 게이머의 정서를 움직일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 적극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가상과 현실의 접점이 크게 확산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게임캐릭터산업이 급부상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논자는 향후의 캐릭터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그동안 쌓아 온 게임연구를 기반으로 캐릭터스토리텔링에 필요한 10가지 요소를 구체화시켜 보았다. 그 열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다. 세계관의 생명체 설계, 종족 설계, 직업군 설계, PC와 NPC 설계, 몬스터 설계, 성격설계, 갈등설계, 주인공의 목표설계, 외형 이미지 설계, 탄생과 죽음 설계.
본 논문에서는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목표, 경쟁, 보상) 중 ‘보상’에 주목하고, 리얼 버라이어티 쇼에 적용된 실제 사례를 연구한다. 일상적이고 사소한 보상을 주는 <1박 2일>, 비일상적이고 특별한 보상이 있는 <슈퍼스타K>, ‘고유한(Vernacular)’ 보상이 드러나는 <윤식당>을 분석했다. 그 동안 구체적인 보상과 달리, 추상적인 성격의 고유한 보상은 약한 게이미피케이션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비가시적인 보상에도 불구하고 <윤식당>의 출연자는 각자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보상을 받았다 느꼈고, 서사구조의 완결성 또한 강화되었다. 이 결과는 리얼 버라이어티 쇼가 새롭고 다양한 보상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해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투자하고 있지만 정작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이나 지자체 농수산 브랜드들은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농산물 브랜드는 브랜드 가치가 거의 생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소비자와 최우선 접점에 있기에 그 중요성은 더욱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대기업의 브랜드 가치와 인지도를 분석하는 마케팅적인 부분에 편중된 반면 실질적으로 브랜드를 나타내고 표현하 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브랜드 가치가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않는 국내 지자체 오미자 브랜드들을 케빈 레인 켈러(Kevin Lane Keller) 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선택모델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연상을 강화시켜주는 구성 요소를 토대로 국내 대형 포털사이트에서 활발히 판매되고 있는 20개의 오미자 브랜드들을 구분하고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전공 2~30대 대학생 및 대학 원생 100명을 선정하여 각 브랜드별로 선택기준에 맞는 브랜드를 선택하게 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를 충족한 4개의 브랜드를 선별하였으며,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의 선택기준을 적용 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하여 새로운 오미자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추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자료를 기반으로 지자체 농수산 브랜드의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지원과 활성화 방안의 자료로 쓰이기를 기대 한다.
샌드박스 게임은 높은 자유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스스로 다양한 플레이패턴을 재창조하며 만족을 배가시킨다. 이러한 창조적 과정은 ‘커스터마이징’과 ‘행동자율성’을 통한 놀이의 확장성에 기인한다. 이는 즐거움을 느끼는 요소가 과정지향적이라는 말로 대변될 수 있다. 본고는 샌드박스형 게임이 다중경쟁 환경에서 가지는 구조적한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스텐드어론 기반에서는 다양한 커스터마 이징을 통한 자유도의 확장성이 유저에게 월드지속성에 강한 동기를 부여한다. 반면 MMORPG와 같은 온라인 샌드박스 게임물에서는 다수유저의 경쟁 우위를 점하고자하는 목적지향적 성향이 샌드 박스형 게임 본연의 자유도와 확장성을 구사할 수 없는 태생적 한계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온라인 기반의 샌드박스형 게임의 자유도와 확장성의 효용이 상쇄되는 원인과 성장한계를 옵티 멀솔루션 요소에 기인함을 제시할 수 있었다.
Provider-oriented weather information has been rapidly changing to become more customer-oriented and personalized. Given the increasing interest in wellness and health topics, the demand for health weather information, and biometeorology, also increased. However, research on changes in the human body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is still insufficient due to various constraint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also lacking. As part of an effort to change that, this study surveyed medical practitioners at an actual treatment site, using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weather information they could utilize. Although there was a limit to the empirical awareness that medical staff had about weather information, most respondents not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disease and weather,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coronary artery disease (98.5%) and hypertension (95.9% ), skin diseases (atopic dermatitis (100%), sunburn (93.8%)) being the most common weather-sensitive ailments. Although there are subject-specific differences, most weather-sensitive diseases tend to be affected by temperature and humidity in general. Respiratory and skin diseases are affected by wind and solar radiation, respectively.
Background : Heat stress induced from high temperature are known to crucially affecting on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yield in Cnidium officinale. Methods and Results : The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mixture including a urea, ascorbic acid and calcium chloride on high temperature injury of Cnidium officinale. Photosynthesis and leaf temperature in Cnidium officinale were investigated after cultivating for 24 hours at 35℃. Net photosyntheis rate, transpiration was measured at 1,000 μmol m-2 s-1 of photon flux density and leaf temperature was analyzed by thermal image. Net photosyntheis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in mixture traetment were 2 times of higher than in control. Water use efficienc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Leaf temperature was lower in mixture treatment (25.3℃) than in control (29.0℃). Conclusion : This result show that foliar application of urea, ascorbic acid and calcium chloride was reducing a high temperature injury through a improving photosynthetical capacity and decreasing leaf temperature of Cnidium officinale.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저자 등에 의해 수행된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기둥 섬유요소에 수치해석적 방법으로부터 전단변형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된 정식화 방안과 단면에 대한 비탄성 전단응답 이력 구성관계식을 새로이 제안함으로써 전단 및 휨 - 전단파괴 양상을 나타내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실험변수들이 전단거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 악하기 위하여 모두 종방향 철근의 항복전에 전단파괴가 일어나도록 설계된 총 6개의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를 검증 대상으로 저자 등에 의 해 새로이 수정된 구성관계식을 적용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RCAHEST)을 통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체에 대한 파괴모드 와 파괴시까지의 전반적인 거동 특성을 비교적 적절히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향후, 대형화‧복잡화 되어가고 있 는 전체 구조물에 대한 신뢰도 높은 해석을 수행하기 3차원 해석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게임소프트웨어학과에서 4학년 학생들이 캡스톤디자인 과목에서 게임제작을 할 수 있도록 대학 4년 교과과정에서 가르쳐야 하는 기술요소들을 구조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게임소 프트웨어학과 학생들이 졸업요건으로 게임제작실습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고 가정하고, 이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요소를 분석하고, 기술요소들 간의 구조를 분석해 보자는 것이다. 이 는 학생들이 게임제작을 위해 대학 저학년에서 어떤 기술을 배워야 하고 그 기술이 고학년 과 목에서 어떻게 연결되는지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교과목명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재의 교과과정에서 발전하여, 이들 기술요소들의 목록과 구 조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게임소프트웨어학과의 보다 구체적인 교과과정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게임 이용자를 비사회적 게이머 집단과 사회적 게이머 집단으로 구분하고, 온라인 게임의 재미 요소와 자아성향이 그들의 게임에 대한 몰입 정도와 게임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집단 간 비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게임의 재미 요소(성취감, 도전 감, 친밀감)에 있어 두 집단간의 차이는 모두 유의미하였다. 둘째, 게이머들의 자아 성향에 있어 서의 차이는 생활 환경보다는 게임 환경에서 발견되었다. 셋째, 응답자들의 게임 몰입 정도와 게임 충성도는 사회적 게이머들이 비사회적 게이머들에 비해 높았다. 넷째, 게임 몰입도와 충성 도에 미치는 재미 요소와 자아성향의 영향력은 사회적 게이머 집단과 비사회적 게이머 집단에 서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게이미피케이션을 구성하는 요소가 대표적인 교육철학자인 존 듀이의 주요 교육학적 개념과 유사함을 밝힘으로써 게임의 속성이 일면 교육의 속성과 닮아있음을 제시하려고 한다. 게이미피 케이션 개념을 이루는 몇 가지 요소를 다음 5가지 속성으로 연결지어 분석해 보았다. 지속성[연속 성](continuty), 상호작용[인터렉션](interaction), 흥미[관심](interest), 성장(growth), 교육적 경험 (educational experience)이 그것이다. 주요 개념의 이론적 분석을 토대로 게이미피케이션과 교육의 연 관성을 찾아보고 게임이 아닌 게이미피케이션의 의미를 이해해 본다.
In this paper, the finite element model updating method of the PSC bridge based on the static and dynamic data is verified through field experiment.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wo steps. First, update the rotational stiffness of the supports using the deflection and rotational displacement measurements that occur when the moving loads pass through the bridge. The stiffness of each member is updated by us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estimated from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ambient vibration test. The finite element model updated by the proposed method can predict the static and dynamic behavior of actual bridges through field experiment.
Finite Element Model(FEM) is generally used for evaluating a bridge construction. But it has discrepancy between measured data of real structure and analysis value of FEM. Therefore, FEM has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real structure using FEM updating. Static and dynamic data used to FEM updating update different characteristic of FEM.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measure static data, stat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dynamic measured data can be used. In this study, new concept, LDFAC, using Lateral Distribution Factor(LDF) extracted from dynamic data is introduced as static information. As the analysis results, it is verified to get more accurate updating value when updating FEM with LDFAC.
In this study, experiment using H-beam specimens was carried ou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ame method as the test. As a result, although experimental strength value was approximately 10% higher than analytical value, load-strain relationships from the experiment and analysis were relatively similar to each other.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 및 비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토끼와 거북 이> 이야기 쓰기 검사를 실시하고, 이에 나타나는 서사담화 요소의 발달 양상을 파악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검사에 참여한 30명의 다문화 가정 아동과 30명의 비다문화 가정 아동 중 표현어휘력에서 -1 SD 미만에 해당하는 아동을 제외하고 21명의 다문화 가정 아동 과 30명의 비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서사담화 요소 분석을 위해서는 여섯 가지 이야기 문법 요소(배경, 발단, 사건, 시도, 결과, 결말)와 담화 길이(T-unit, NTW), 어휘 다양도(NDW), 결속표지(연결어미, 보조사, 접속어)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 유형(다문화 아동, 비다문화 아동) 및 학년(1, 2, 3학년)에 대한 변인별 평균 빈도를 비교하기 위해 다변량 분 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 유형과 학년의 상호작용 효과는 어느 변인에서도 나 타나지 않았다. 반면, 집단 유형의 주효과가 이야기 문법 요소 중 <배경>과 결속표지 요소 중 연결어미에서 나타났다 . 학년의 주효과는 이야기 문법 요소 중 <발단>과 <결과>에서, 담화 길이(T-unit, NTW), 어휘 다양도(NDW)의 모든 변인에서, 그리고 결속표지의 모든 변 인에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담화 길이나 어휘 다양도는 <결말>을 제외한 모든 변인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학년 다문화 가정 아동의 담화 능 력이 주로 이야기 문법과 결속표지의 일부 요소에서 비다문화 아동과 차이를 보였음을 의 미하며, 이는 저학년 다문화 아동의 언어 평가 및 교육에서 이러한 서사담화 요소를 고려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changes to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applicability in a case of rice cultivation with organic fertilizers. The investigator applied organic fertilizers to rice cultivation for five years to examine changes to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found that the experiment group of organic fertilizers made an ongoing increase in pH, organism content, and available phosphate content annual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ith no bi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mounts of organic fertilizers used. As for the yield componen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pikelets and grain filling rat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of organic fertilizers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recorded a higher level in 1,000 seeds weight and yield than the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4 recorded the highest level at 29.11 kg of 1,000 seeds weight. Experiment Groups 3 and 4, which used 222 kg and 267 kg per 10 a, respectively, recorded 576 kg and 572 kg of yield, respectively, which were 4.7% and 4.1% higher than 549 kg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As for the quality of brown ric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head rice percentag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both of which were in the range of 83.2-85.7%. As for the protein content, Experiment Groups 3 and 4, both of which used a lot of organic fertilizers, were in the range of 6.9-7.1%, which was lower than 7.5% of control group.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s can improve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increase the yield mor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f fertilizer application.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it will be effective to apply 222 kg of organic fertilizers or more per 10 a.
With increasing public concer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ecological aspect of landscape management is of growing importance.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elphi survey of 31 experts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the preference of landscape elements. Landscape components of organic farmland were classified into 2 landscape fields, 5 landscape types, 14 landscape units, and 37 landscape elements. Overall relevance score for the proposed landscape components were about 5.5 on the seven point scale. While the relative importance weight of cropland landscape field was 0.71, the weight of intra-structure landscape field was 0.29. Among the cropland landscape, relatively higher weight was assigned to farming system (0.47) and margins (0.31), as compared with hydrological system (0.22). In the farming system, crop (0.40) and farm land (0.39) were the most important landscape units. In the margins, higher weight was given to Buffer zone (0.44) and Trees (0.42). Biological habitat (0.43) ranked the highest score in the hydrological system. Preferable landscape elements were glass house, companion plants, rice paddy field, diverse crop species, small pond, and small river, which are representing ecological advantage of organic farming system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landscape elements identified in the study would be suitable to evaluate ecological aspect of rural landscape in organic farmland.
디자인에서 장식은 심미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기능적인 욕구 충족과 함께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준다. 역사적 사건에서 본다면 기능과 장식은 제조 기업 중심적 사고인 경제적인 요소와 소비자 중심적 사고인 역사주의적 미학이라는 관점에서 대립적인 위치에 놓여진다. 하지만 수공예로 물건이 제작되던 시기의 감성적 미학주의 제품들은 산업혁명 이후의 대량생산 제품에 비하여 제작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소량생산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므로 유럽에서는 귀족과 권력계층의 전유물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고 또한 수공예 제품에서 장식이란 경제성을 중시했던 산업디자인 제품의 그 목적과는 거리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 시대에는 장식이란 소유자의 경제적, 사회적 위치를 알려주는 요소로 그 역할을 했다.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을 통해 제품의 민주화가 시작되었으나 조악한 환경과 생산기술의 미비로 제품의 질은 형편없는 수준이었다. 대량생산의 문제점과 수공예의 단점을 보완하여 발전된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한 것이 예술공예운동이다. 하지만 오늘날의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디자인에 있어서 과거 예술공예운동의 성격과는 정 반대의 경향을 띄고 있다. 또한 첨단의 기술이 제품에 적용되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던 기술들이 융합되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으며 기능주의와 자본주의적 사고가 제품에서 간과될 수 없는 상황에서 모든 제품에서 장식이 사라지고 단순함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 디자인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것은 디지털 기술과 스마트 기술로 인해 제품의 소형화와 다양한 기능의 함축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오늘날 디자인의 관점이 제조업 기능주의 중심에서 소비자 경험주의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사람들은 개인의 개성과 감성을 자유롭게 표현하길 원하고 그것을 충족시켜줄 만한 디자인 제품을 찾고 있지만 오히려 현실은 그 반대로 흘러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이 연구는 첫째, 예술공예운동의 발생 및 의의에 관하여 알아보고 둘째, 유럽 각국에서 일어난 예술공예운동에 관한 문헌연구 및 그 시대의 인물 등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그 특성과 요소 및 결과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현재 등장하고 있는 예술공예운동적 요소 및 성향을 담은 제품디자인과의 비교를 통하여 현 소비자 중심의 경험 디자인 관점에서의 제품디자인의 발전 방향에 관하여 고찰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를 둔다.
사회 전반에 걸쳐 웰빙 열풍으로 인한 건강과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여러 건강식품 가운데 하나인 두유는 건강한 식문화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제품 개발 및 홍보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다양한 신제품의 출시 등을 고려할 때,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있어 패키지디자인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제품의 품질과 함께 타제품과의 차별화와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로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건강식품인 두유의 패키지 디자인이 소비자의 선호와 구매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소비자의 설문조사 결과로는 두유제품 구매 시시각적으로 표현되는 여러 요소 중 색채와 일러스트에 비중을 두었고 기존의 녹색과는 다른 노랑계열의 패키지에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해지는 제품들 중에 소비자의 인지 및 선호도가 함께 고려된 색채와 제품 특성에 맞는 일러스트 요소들의 효율적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경우 전국에 약 1,300여 개의 폐기물소각로가 운전되고 있고 하루에 20만톤의 폐기물이 소각 처리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약 900여개의 소각로에서 폐열 에너지를 회수하고 있고, 약 1,400 MW 규모의 발전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럽에서는 MSW 소각에너지를 회수하여 일차에너지로 이용하는 양은 2007년도에 6.1 Mtoe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년도에 비해 약 6.3% (361.9 ktoe)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2년 기준으로 국내 폐기물 발생량의 약 6.0 %는 소각으로 처리하고 있다. 2012년 기준 운영되고 있는 생활 및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은 총 552개소(시설용량 32,130 ton/day)이며, 환경 및 에너지 수급 측면에서 WTE 기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지만 관련 기술수준 측면에서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66~72%, 기술격차는 6~7년 정도가 존재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소각시설 발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 회수능력 강화와 관련하여 급수예열 장치와 저공기비연소의 활용 및 증기의 효율적 이용과 관련하여 저온촉매탈질을 활용하여 발전효율 향상효과를 분석하였다. 급수예열장치 출구배기가스 온도를 300, 260, 230, 210, 190℃까지 저온화 함에 따라 기준 배기가스 온도인 250℃의 결과와 비교하면, 250℃ 이상에서는 보일러 효율이 약 5%가 감소하였으며, 250℃ 이하로 낮추어 보일러 효율을 산정한 결과 저위발열량 2,300 kcal/kg, 출구온도 190℃에서 약 6% 보일러 효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소 공기를 기존의 평균값 1.8에서 1.0까지 감소시키는 경우 저위발열량 값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보일러 효율의 경우 최대 6.2%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전효율의 경우 최대 1.6%까지 증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질을 위해 저온촉매를 적용한 경우 저위발열량 2300 kcal/kg, 촉매탑 입구온도 200℃에서 180℃까지 10℃ 간격으로 변화시킨 결과, 최소 0.19%에서 최대 0.79% 발전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