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

        41.
        1998.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icrofiltration and Ultrafiltration were used to treat effluent of secondary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Sequencing Batch Reactor). The cross-flow hollow fiber, UF 500,000(NMWC) and MF 0.65μ membrane were selected as suitable membrane. Short term and long term fouling effect were measured as a factor of flux decrease and the fouling removal effect of mixing air bubble in the penetrant was studied. The removal of anionic sulfactants before and after formation of micelle with several kinds of oil were checked. The test results show that removal of TOC was 70~80%, TN 28% and TP 16%. The decrease of flux due to fouling were 85%(UF) and 90%(MF) after running of 100hrs. The removal of anionic sulfactants were 60~70% notwithstanding micelle or not.
        4,000원
        42.
        1998.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several serious problems in treating shipboard wastewater due to spe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hip, such as confined space, rolling and pitching, change of temperature and so on. It was suggested that Sequence Batch Reator (SBR) process might be suitable for overcoming above problems in terms of small size, high capacity of treating wastewater and full automation. In this study the SBR process was used for the secondary treatment of shipboard wastewater.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DOC, nitrogen, phosphorus and surfactants(MBAS) were studied and the effects of various C/N ration on the efficiency of treatment were investgat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vinced that the SBR process would be able to be used as a suitable process for removing organic matters and nitrogen in reuse system of shipboard wastewater.
        4,000원
        43.
        199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in the industries such as an iron mill and chemical plants, these are enlarged by the use of the piping. This piping was encountered the stress corrosion cracking(SCC) because of stress by water pressure and residual stress of welding etc. under industrial water. In this paper, the behaviour of stress corrosion cracking on the weld zone of steel pipe piping water(SPPW)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pre-heat before welding in natural seawater(specific resistance : 25Ω-cm). The main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stress corrosion cracking for SPPW and SB 41 is most ready to propagate in heat affected zone of weldment. 2) The SCC sensitivity of SPPW on weldment is more susceptible than that of SB 41. 3) The stress corrosion cracking growth of heat affected zone is delayed by the preheat and dry of base metal and electrode before welding.
        4,000원
        44.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화수의 조리용수로써 기능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을 관찰하였다. 1. 자화수의 pH의 변화는 수도수, 생수 공히 자화수가 약간 알칼리성을 띄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도수에서는 pH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생수에서는 증가하였다. 2. 건조식품을 불림에 있어 자화수의 경우 수도수를 사용한 경우보다 수화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화수에 침수한 버섯의 경우 초기부터 수분 흡수율이 약간 높았으며 90분 이후부터는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콩은 하루밤 방치후 자화수에 침수한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흡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3. 표면장력의 변화는 자화수의 표면장력이 수도수에 비해 작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염장식품을 수침한 경우 자화수에서 특히 초기침수 5분 이내에 염장물로부터의 염분 유출량이 유의적으로 많았다.
        4,000원
        46.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수돗물을 용수로 사용한 결구상추(Lactuca sativa var. capitata)의 수경육묘시 배양액의 pH에 대한 NH4H2PO4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배양액의 pH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시작배양액과 추가배양액의 조성을 달리하여 공급하였다. 배양액의 pH는 추가배양액의 공급시 급격한 하락을 나타낸 후에 회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양액의 pH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EC는 반대로 감소하는 일중변화를 보였다. 1, 2차 실험에서 pH는 추가배양액 공급 이후에 NH4H2PO4 0.25me/l 처리구에서 7정도를 유지하였으나 NH4H2PO4 3me/l과 6me/l 처리구에서는 6.4-6.5정도를 유지하였다. 3차 실험에서 NH4H2PO4 0.25me/l 처리구의 pH는 6.7에서 7.4 까지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NH4H2PO4 3me/l과 6me/l 처리구에서는 6-6.5에서 5-5.5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배양액의 pH를 안정시키기 위하여는 배양액에 존재하는 NH4H2PO4의 전체 양을 1me/sl과 7me/6l사이로 설정하거나, 농도를 기준으로 0.25 me/l와 3 me/l 사이로 하는 것이 적정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47.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장에서 가축음용수 빛 세척수로 사용하는 목장용수에 대한 위생화학척 상태률 계절척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강훤도 및 충청도에 소재한 유우목장 58 곳에서 채취한 목장용수에 대하여 pH, 총경도,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염소이온, 황산이온, 불소, 철, 납, 카드융, 아연, 망간, 동 및 크롬올 봄과 여름 2 회 조사하였다. 충남지역과 강원지역 목장용수의 pH 는각각 6.49:t 0.09, 6.70 :t 0.06 이었으며, 총경도 9O.2l:t 7.07, 64.53:t 6.38 mg/l, KMn04 소비량 4.13:t 0.62, 4.34 :t 0.26 mg/l , 질산성질소 6.51:t 0.55, 3.6l:t 0.58 mg/l , 염소이온 20.51 :t 1.99, 5.41 :t 1.36 mg/l 그리고 황산이온 6.61 :t 1.02, 7.28:t 1.30 m g/l이었으며, 암모니아성 질소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검사한 중금속 불소, 철, 납, 카드륨, 아연, 망간, 동 및 크롬은 검출되지 않았거나 극미량만 검출되었다. 검사항목간의 관계를 비교하면 총갱도, 철산성질소, 염소이용 및 황산이 옹은 검사항목간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검사항목 중 충남과 강훤 목장용수간 지역켜 차이률 나타낸 항목은 총갱도, 질산성질소 및 염소이온이였으며, 봄과 여름에 차이를 나타낸 항목은 질산성질소 뿐이었다.
        4,000원
        48.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in the industries such as an iron mill and chemical plants, there is enlarged by the use of the piping. Sepecially, the piping connected with a fluid, if it is increase the speed of running fluid, ought to generate cavitation phenomenon with unbalanced pressure. So, the cavitation phenomenon cause serious damage of the piping, because it generate erosion and corrosion in the piping. In this study, the steel pipe piping water (SPPW) and SPPW on weldment were tested by using of cavitation-erosion test apparatus with nozzle and were investigated under the marine environment of liquid. (specific resistance : 25 Omega. cm) The main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total weight loss and weight loss rate of affected zone of weldment by corrosion-erosion in the sea water are more increased than that of base metal. 2) The electrode potential by corrosion-erosion in the sea water becomes less noble than that of base metal, and current density is more increased. 3) As time goes by, the total weight loss and weight loss rate by cavitation erosion-corrosion in air-liquid 2 phase flow become more increased then those in only liquid solution. but these values turn to be decreased.
        4,000원
        49.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dustrial Complex in Uls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in the nation. It includes ship building, automobile production, petroleum industry, non-metalic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However, water for drinking and industry use has been and will be short seriously. Thus available drinking water sources were searched. By rebuilding the two existing dams 20m higher than the present levels, $500,000m^3/day$(for 200days) of water sources may be produced. Additional volume of $13,000m^3/day$(for 200days) can be obtained by a number of small dam construction in the vincity area. Underground water of about $50,000m^3/day$ may also be available. The total of $680,000m^3/day$ could be produced in Ulsan area, which is enough for the population of 1,200,000 in Ulsan area even after year 2011. This newly searched volume of water may be free from pollution. Raising the dam levels may also prevent Ulsan city from chronic flooding problems. Additional advantage is that as much as the newly developed water resources can be supplied to the industrial complexes.
        4,000원
        52.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慶北)의 낙동강수계(洛東江水系)와 동해안수계농촌(東海岸水系農村) 17개(個) 지점(地点)을 기준(基準)하여 농업용수원(農業用水源)의 수질환경(水質環境)을 조사검토(調査檢討)하여 장래(將來)의 방재대책(防災對策)에 참고하고져 조사분석(調査分析)을 실시(實施)한 바 농업용수원(農業用水源)을 기준(基準)할 때 수온상태(水溫狀態)는 수질(水質)을 저해(沮害)시킬 큰 요인(要因)이나 문제점(問題点)이 없으며 PH는 6.5~7.8의 절위에서 기준치(基準値)에 저촉되지 않으며 염도의 기준(基準)이 되는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도 에 이르는 지점도 있으나 농업용수의 수질저해지점에는 미치지 못하며 BOD의 경우는 기준치 10ppm에 육박(肉迫)하는 지점(地点)이 있어 다소(多少)의 위험위협을 받고 있다. 그리고 DO의 경우는 위험기준치에 미달(未達)하고 있다. 그리고 중금속(重金屬)에 속하는 Cu, Pb, Cd 등도 아직은 위험기준치에는 미달(未達)이나 장차에는 주위의 산업(産業)과 도시발달(都市發達)에 따르는 특별(特別)한 조치가 없는 한(限) 위험조건에 이를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3.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제사용수(製絲用水)에 대(對)한 몇가지 화학약제(化學藥劑)의 처리(處理)가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성(溶解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량(溶解量) 조절(調節)에 참고자료(參考資料)가 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공시(供試) 약제(藥劑) 중(中)에서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촉진력(溶解促進力)이 가장 큰 약제(藥劑)는 Sodium Hydroxide(NaOH)였으며, Potassium Hydroxide(KOH) > Sodium Silicate() > Sodium Bicarbonate()의 순(順)으로 용해추진력(溶解促進力)이 작았다. 공시(供試) 약제(藥劑) 중(中)에서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억제력(溶解抑制力)이 가장 큰 약제(藥劑)는 Form Aldehyde(HGHO)였으며, Ammonium Alum() > Acetic Acid() > Hydrochloric Acid(HCl)의 순(順)으로 용해억제력(溶解抑制力)이 작았다. 공시(供試) 약제(藥劑) 중(中)에서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억제력(溶解抑制力)이 클 것으로 기대(期待)했던 Hydrochloric Acid(HCl)은 이상(以上)의 고온(高溫)에서는 오히려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鎔解)를 크게 촉진(促進)함을 알 수 있었다.
        4,200원
        55.
        202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wangju Stream is a major tributary of the Yeongsan River. To maintai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unctions in the stream, the flow is secured by natural water from the Mudeung Mountain as well as waters discharged from Lake Juam and the Gwangju sewage treatment plants. A substantia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into the upper reaches of Gwangju Stream from Lake Juam. To examine the ecological effects of the water input from Lake Juam on the Gwangju Stream, a field survey of phytoplankton community species and an evaluation of water properties was conducted at five stations, from station GJ1 before the inflow to station GJ5 in the lower region. Nutrient levels decreased in the vicinity of the Lake Juam inflow, suggesting that this water inflow can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eutrophication in the stream.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as mainly composed of Bacillariophyceae, Chlorophyceae, and Cyanophyceae, and the community structure was similar to that of the other study sites located near the water inflow regions. The inflow of water from Lake Juam can affect water quality an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over a limited area, reducingeutrophication and increasing water flow in the Gwangju Stream.
        56.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apacity of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to 13 districts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necessary water supply for the arable land of Gunwi-gun and examining the capacity of supplying water to reservoirs, streams, pumping stations, collection sites, and groundwater wells in Gunwi-gun. As a result, among the 13 districts the second district was found to be short of water by 1.2×106 tons/year. In general, local governments establish drought measures by selecting drought disaster risk zones. While selecting drought-risk areas, some water-poor areas that do not have water sources should be selected, even if the entire area has a sufficient water supply. The water-supply evaluation at the regional level was insufficient for locating areas without water sources, but most areas with water sources, such as streams, reservoirs, and pumping stations, were found to have no shortage of water. To locate water shortage areas without water sources, GIS analysis conducted a field survey of areas with a distance of 4 or less than that of water sources analyzed by GIS analysis. Sixty-nine sites in 13 districts were selected for the on-site survey and six areas of water shortage were identified in areas other than the second district.
        57.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have been emerged all the way through society, the potential risks specifically on agricultural water and facilities are recently getting concerned. Evaluating vulnerability of agriculture to climate change on is a time-tested strategy. While a number of researches on the adaption and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were performed in various aspects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ion, the vulnerability of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 and infrastructure has not been investigated yet.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find the major indicators able to presume the vulnerability, and finally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based on the specialist questionnaire survey and its analyses. The lists of indicators for major parts of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uch as, water use, flood control, reservoir related issues, and pumping and drainage systems are initialized referring to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The primary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Delphi to complement the list and methods and the main survey was then conducted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to quantitatively prioritize the indicators. The results derived in this study would be directly adopted in weighting importance of indicators to investigate the indicator-based vulnerability analysis to climate change in agricultural water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58.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용수공급시스템은 용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사용자의 수요량을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평년보다 적은 유입량으로 인해 정상공급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강수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가뭄 상황이 언제나 용수공급 실패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용수공급에 대한 안전도를 산정할 때 실질적인 용수 부족 사상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수안전도 평가 지표로 주로 사용되는 신뢰도와 취약도를 이용하여 결합 가뭄관리지수(JDMI)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래 용수공급 위험도를 산정하였다. 미래에 대한 분석을 위해 RCP 4.5 및 8.5 시나리오에 대하여 GCM으로부터 생산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적용하고 미래 기간을 21세기 전기, 중기, 및 후기로 구분하였다. JDMI를 기반으로 낙동강 유역의 용수공급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RCP 4.5 시나리오에서 RCP 8.5 시나리오보다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 석되었다. 용수공급 취약지역은 RCP 4.5에서는 남강댐(W18)으로 나타났으며, RCP 8.5에서는 형산강(W23)과 낙동강남해(W33) 유역으로 분석되었다.
        59.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내에서는 기후변화가 용수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사례가 많지 않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래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미래 다양한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한 수자원 계획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미래 다양한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고 각 시나리오 경로에 대한 물 수급 전망을 통해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용수공급의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 공급 취약지역을 선정하여 제시하였으며 지역별, 용도별 물 부족 시나리오를 전망하였다. 또한 용수공급시설물의 최적연계 운영을 통해 용수공급 능력 증대 효과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낙동강 유역에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용수공급의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이를 완화 또는 해소하기 위해서 보다 다양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60.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수관망시스템의 운영목적은 탄력성을 높여 각종 비정상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정상상황에 따른 단수구역 발생에 대한 사후대책 대비를 통한 탄력성 향상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수계전환에 따른 비상공급 수원 확보이며, 비상관로를 통하여 인접 배수블록으로부터 단수된 구역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성공적인 비상연계 운영을 위해서는, 수리학적 해석을 통하여 시공간적인 측면에서의 공급성능을 평가해야 한다. 비상연계 시, 공간적인 범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관경, 위치 및 관저고와 같은 비상관로에 해당하는 제원이며, 시간적인 범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연계배수지의 용량과 정수장에 공급 가능한 추가수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A 시의 상수관망에 대하여 배수지 1지에 문제가 발생하여 타 배수지들로부터 비상연계를 받는 시나리오에 대하여 모의를 진행하였다. 배수지의 저류량 및 유입량에 대한 모의를 위하여 Advanced-Pressure Driven Analysis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수리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급범위기준지표 및 공급시간기준지표를 산정하여 연계공급성능에 대한 다각도적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에 비상연계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실제 체감하는 공급성능을 시공간적인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설계제원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가 가능하였다. 이는 비상연계 성능향상을 위한 구조적 대책 및 비구조적 대책 수립에 대한 의사결정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