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1

        181.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돼지고기 등심의 표면에 Lcatococcus lactis subsp lactis ATCC l1454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의 처리구는 4℃ 저장 1일 이후 대조구의 TBA가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color L^*과 b^*가는 저장 동안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a^*가는 4℃ 저장 1일과 6일 이후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 (P<0.05)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 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육즙유출율은 4℃ 저장 4일 이후부터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4,000원
        182.
        200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hree-dimens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 is proposed to quantitatively predict the dispersion phenomena of oil droplet onto the surface of the water. This technique is able to get the dispersion rate of an oil droplet three-dimensionally just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over time. The obtained dispersion rate obtained through this technique is informative to the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among the gravity, surface tensions between oil, water, and air. This technique is based upon the three-dimensional PIV(Particle Imaging Velocimetry) technique and its system mainly consists of a three CCD(Charge Coupled Device) cameras, an image grabber, and a host computer in which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is adopted for the acquisition of dispersion rate oil an oil droplet.
        4,000원
        183.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增水時계류수질은 강우시에 발생하는 토양 표층의 유출과 지하수 유출에 의해 수질이 많은 영향을 받는다(松浦陽次郞, 1993). 增水時의 pH는 평균 6.78로 평수시의 7.31보다 낮게 조사되었으며, 특히 정점 4의 경우 pH 변화 폭이 4.32에서 7.24로 수질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나타났다. 강우에 대한 수질 응답특성에서 Type 1의 경향을 나타내는 이온성분은 DOC, SiO2, Type 2의 경향을 나타내는 이온성분은 NO3-N, K+으로 나타났다. 시간에 따른 이온의 농도 변화는 강우강도 및 강우지속시간에 의해서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강우일수 289일 동안 유출량은 Ca2+은 17.89 ton, Mg2+은 1.23 ton, Na+은 6.84 ton, SO4 2-은 6.81 ton, SiO2 는 4.59 ton, DOC는 2.16 ton, K+은 1.65 ton, Cl-은 1.28 ton, NO3-N은 1.00 ton이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일수 76일 동안의 유출량은 Ca2+은 1.44 ton, Na+은 0.25 ton, SO4 2-은 0.24 ton, K+은 0.11 ton, Cl-은 0.12 ton, NO3-N은 0.02 ton, Mg2+은 0.08 ton, DOC는 0.05 ton, SiO2는 0.02 ton유출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增水時와 비강우시를 고려하여 연간 유출부하량으로 산정하면, Ca2+은 23.8 ton/yr, Na+은 7.0 ton/yr, SO4 2-은 2.6 ton/yr, K+은 2.4 ton/yr, DOC는 2.19 ton/yr, Cl-은 1.9 ton/yr, Mg2+은 1.7 ton/yr, NO3-N은 1.6 ton/yr이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增水기간 동안 유출부하량은 연간 유출부하량의 약 20% 이상의 기여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8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8년 9월 30일부터 10월 7일에 걸쳐서 강원도 동강 유역인 정선군 정선읍 귤암리, 정선읍 가수리, 신동읍 운치리, 신동읍 고성리, 신동읍 덕천리 등 5개 지역에서 투망으로 포획한 담수어 11종, 178마리를 대상으로 인공 소화액법을 이용하여 Metagonimus 속의 피낭유충에 의한 감염률을 조사하였다. 감염률은 퉁가리 (Liobagrus andersoni) 91.7% (l1/12),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 75.0%
        4,000원
        185.
        1999.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edict the oil spill dispersion phenomena in the ocean, the oil spill response model, which can be used for strategic purpose on the oil spill site, based on Lagrangian particle-tracking method was formulated and applied to the neighboring area with Pusan port where the oil spill incident occurred when the tanker ship No.1 Youil struck on a small rock near the Namhyungjeto on September 21, 1995. The real-time tidal currents to be required as input data of the oil spill model were obtained by the two-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and the tide prediction model. Evaluation of tidal currents using observation data was successful. For wind data, other input data of oil spill model, observed data on the spot were used. To verify the oil spill model, the oil spill modelling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field data obtained from the spill site. Compared the modelling results with the observation data, there exist some discrepancies but the general pattern of modelling results was similar to that of field observation. The modelling results on 7 days after spill occurred showed that the 40% of spilled oil is in floating, 36% in evaporated, 23% at shore, and 1% in out of boundar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weighting curves of effective components to the dispersion of oil, the winds make a 37% of contribution to the dispersion of oil, turbulent diffusion 39.5%, and tidal currents 23.5%, respectively. Provided the more accurate wind data are supported, more favorable results might be obtained.
        4,000원
        187.
        1997.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some approximate theoretical solutions about oil spreading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ational and viscous forces have been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conservation. The theoretical model which derived newly is in agreement with Toi's one derived from a different hypothesis, and shown to predict well the spreading distance of oil front at an initial step of outflow, but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spreading distance after longer time
        4,000원
        188.
        1997.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edict the oil-spill dispersion in marine waters, the oil-spill dispersion model based on Lagrangian particle-tracking method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Kwangyang and Jinju Bay. The tidal current movements to be required as input data of the oil-spill dispersion model were obtained by a two-dimensional numerical tidal model. Evaluation of tidal current movements using mean tide was successful. Modelling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field data obtained at spill site. There were some descrepancies between modeling results and field data. However, the general pattern of modelling results was similar to that of field data. Provided the real-time tidal currents and more accurate wind data are supported, more favorable results can be obtained.
        4,200원
        189.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정태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해외직접투자를 발생시키는 국가적, 산업적, 기업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치중하였다. 반면에 이러한 특성들이 변화함에 따라 해외직접투자의 유출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즉 동태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사실 미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더닝이 횡단면분석(Cross-section Analysis) 결과 제시한 가설-한 나라의 경제발전단계에 따라 해외직접투자의 순유출(Net Outward Foreign Driect Investment)은 일정한 패턴을 보이며 변화한다-에 대해 한국을 대상으로 시계열자료(Time-series data)를 가지고 실증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해외직접투자 순유출의 변화가 산업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해외직접투자 순유출은 경제발전에 따라 대체적으로 J-커브의 형태를 가지고 변화하며. 이는 소유의 우위와 입지적 우위의 변화를 가지고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노동집약적이고 저급기술의 산업에서 먼저 해외직접투자 순유출이 흑자를 보이기 시작하나, 자본집약적이고 고급 기술의 산업에서는 입지적 우위가 오히려 강화되어 순유출의 적자폭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6,300원
        190.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91.
        198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ults investigated backwater phenomena at Geumho river basin to get a basic data for Daegu basin area development plan are as the follows. 1. It is a A=0.35 L 1.848 (r = 0.97),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n area and river length at Geumho river. 2. Dividing the rainfall of Geumho river basin as two parts, a first half rainfall and a second half rainfall, the amount of a first half rainfall appeared 57.5% comparison with total rainfall. 3. The maximum flood discharge appeared 12 hrs. continuous rainfall rather than 24 hrs. continuous rainfall. 4. Results investigated backwater phenomena from Geumho II bridge to chungchun appeared the rising water level of 69 cm, 55 cm, 44 cm, at section III in the starting point water level of 1.8 m, 2.4 m, 4.0 m respectively. 5. Results investigated backwater phenomena by the flood water level appeared a similar form. There was a average rising water level of 30 cm at section III. At the results of this computation, it was confirmed that section III was affected the highest backwater phenomena among the observed river reaches in Geumho river. In addition, this paper should be given a assistance to decide a economic and safe section in construction of bank of river and estuary barrage.
        4,600원
        192.
        202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il water enters the atmosphere via evapotranspiration, where it transforms into atmospheric water vapor and plays important role in the surface-atmosphere energy exchange. Soil conditions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effective rainfall, and initial soil moisture conditions are important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effective rainfall in a watershed. To examine the sensitivity of the initial saturation to hydrologic outflow, a two-dimensional distributed FLO-2D hydrologic model was applied to a small watershed. The initial saturation was set to 0.3, 0.5, and 0.7 and the obtained results were compared. The Green-ampt model was chosen to calculate the penetration loss. Depending on the initial soil moisture, the peak flow rate varied by up to 60%, and the total water volume in the watershed by approximately 40%.
        193.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termination of soil parameters is important in predicting the simulated surface runoff using either a distributed or a lumped rainfall-runoff model. Soil characteristics can be collected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and represented as a digital map. There is no universal agreement with respect to the determination of a representative parameter from a gridded digital map. Two representative methods, i.e., arithmetic and predominant, are introduced and applied to both FLO-2D and HEC-HMS to improve the model’s accuracy. Both methods are implemented in the Yongdam catchment,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former seems to be more accurate than the latter in the test site. This is attributed to the high conductivity of the dominant soil class, which is A type.
        194.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termination of soil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in the simulation of rainfall runoff using a distributed FLO-2D model in catchment analysis. Digital maps acquired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have been widely used in modern hydrology. However, the determination of a representative parameter with spatial scaling mismatch is difficult. In this investigation, the FLO-2D rainfall-runoff model is utilized in the Yongdam catchment to test sensitivity based on three different methods (mosaic, arithmetic, and predominant) that describe soil surface characteristics in real system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saic method is costly, but provides a reasonably realistic description and exhibits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methods in terms of both the amount and time to peak flow.
        19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fety, Durability, and Us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affecting among, there are crack and leakage the main damage is crack and leakage. Especially, Leakage is accompanied by Efflorescence, and provoke steel corrosion, exfoliation. This leakage is leaked to the exterior of the concrete surface in the shape of line or face, the method of repair varies with the shape of leakage. Accordingly, this paper will introduce case analysis of the shape of the water leakage to water leakage site in the lining structure of the NATM tunnel for utilize investigation method and basic data for the method of repair.(leakage, Efflorescence)
        196.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 변화로 인한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도시의 내수침수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이중배수체계 모형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이중배수체계 모형은 지표면의 흐름과 관거의 흐름의 현상을 보다 정확히 표현하기 위하여 표면유출과 관거 유출을 각각의 관련 방정식과 매개변수들을 통해 해석하며, 이를 시각별로 연동하여 동시에 시뮬레이션하는 모형으로 이중배수체계 모형의 침수해석 결과는 도시계획 및 침수예방을 위한 계획 수립시 중요한 자료로 사용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유역과 도시유역이 혼재되어 있는 복합유역에 이중배수체계를 접목하여 해석이 가능한 COBRA 모형을 실제 유역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파악해 보고 다른 이중배수체계 모형인 XP-SWMM, UFAM과 비교하여 결과의 적합성을 판단해 보았다. 동일한 대상유역에 대해 3가지 형태의 이중배수체계 모형의 침수해석 결과 및 침수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우수관망의 용량 부족으로 발생하는 내수침수 특징은 XP-SWMM이 비교적 잘 모의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UFAM은 도로의 빗물받이를 고려하는 특징에 따라 타 모형에 비해 가장 낮은 침수해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COBRA는 침수면적과 침수면적의 비율, 최대침수심이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는 일반적인 결과와 토양조건에 따라 유효우량을 세밀하게 분류하여 모의하는 모형 특성 및 지표 저류에 의한 침수양상이 나타나는 현실성을 고려할 때 모형의 안정성 측면에서 양호하다고 판단되었다.
        197.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수재해 문제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방안인 저영향개발(Low-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에 관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LID 기법은 도시 내의 우수유출수를 저감시켜 다양한 수재해 문제를 친환경적으로 제어하고, 도시 개발 이전의 물순환 체계로 회복시키는 기술이다. 하지만 LID 기법에 관한 정량적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류형 LID 기술인 식생화분(Planter Box)의 Curve Number (CN)값을 산정하여, 물순환(침투, 유출, 월류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Planter Box의 물순환 분석에 관한 강우강도 시나리오(60.4 mm/hr, 83.1 mm/hr, 97.4 mm/hr, 108.2 mm/hr)는 부산시 확률강우강도표(2010)를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건물화분3 (BPB-3)과 거리화분3(SPB-3)에서 우수저류율이 각각 43.5%∼52.9%, 33.4%∼39.0%로 나타났다. 또한 BPB-3에서 CN값은 평균 83이 산출되었고, Horton 침투능 곡선식 적용에 따른 우수유출효과는 17%∼96%로 나타났다.
        198.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홍수예보모형은 집중형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여 유역의 유출을 계산하고 하도 및 저수지 추적모형 등을 활용하여 하천의 수위를 예측한다. 집중형 모형은 유역을 동질의 배수구역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유역내의 다양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되는 강우자료도 지점강우를 활용하기 때문에 공간적인 분포를 자세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홍수예보모형에 분포형 모형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RM모형을 한국 홍수예보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모형의 다양한 해상도에 따른 유역유출의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최적의 해상도를 결정하고자 한다. 모형의 격자가 너무 조밀한 경우 계산시간이 과다하게 되어 홍 수예보모형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너무 성길 경우에도 분포형 모형을 적용하여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지 않게 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유역유출 예측의 정확성을 만족시키고 홍수예보에 적합한 계산속도가 나올 수 있는 최적 해상도를 제시하였다. 유출량 예측의 정 확도는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coefficient (NSE) 값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최적해상도 산정 결과는 분포형 유 역유출모형을 홍수예보모형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199.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과 PART 방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과 전국 하천을 대상으로 기저유출지표를 산정하고, 도시화에 따른 기저유출 영 향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연평균 기저유출은 총유량 대비 약 40-44%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계절별로는 12월과 1월 겨울철에 9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국 317개소 관측 유량에 대해 기저유출을 분석한 결과 기저유출이 전국하천 유량에 기여하는 비율은 연평균 약 4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20% 미만~80% 이상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기저유출지표가 적은 지역에서는 주변 생태계 보전을 위해 지하수 이용과 개발을 제한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한편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동일 기상조건에서 1975년과 2000년도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기저유출 감소가 하천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도시화율 증가에 의해 하천유지유량의 경우 미달일수가 19일~24일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NPS) is irregular in the amount of generated and runoff. About 70% of the water pollution sources in Korea are NPS. Most of the rural areas are small towns with less than 50 families. This is where sewerage supply is poor. This is where the domestic swage of the house flows directly into the small strea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mount and concentration of domestic swage. And investigated NPS for public officials. We have suggested an improvement plan here. Local government officials lack the concept of NPS. Rural residents also do not know about NPS. Therefore, we proposed NPS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linked to public administration. This is an extension of the national budget and interest. The domestic swage is discharged at about 272 liters per day in a house. We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small facilities. If the capacity remains, it is suggested to link to cattle shed, pigsty and so on. The BOD, COD, TN, TP, and SS concentrations were all high. This suggested a reduction in concentration in combination with natural water. Finally, NPS facilities were proposed to be put into rural areas. And it was determined that continuous monitoring was necess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pected to be applied to NP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