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77

        54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청색광 차단 콘택트렌즈 제조에 필요한 benzotriazole을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콘 택트렌즈의 광학적, 물리적 성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청색광 차단 화합물인 benzotriazole을 합성 후 HEMA, EGDMA, AIBN을 공중합하여 청색광 차단 콘 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광투과율, 청색광 차단율, 함수율을 측 정하였다. 결과 : 제조한 청색광 차단 콘택트렌즈는 대조군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 비해 우수한 청색광과 자외선 차단 성능을 나타냈으며, benzotriazole의 농도가 높을수록 청색광과 자외선 차단 성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함수율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제조한 청색광 차단 콘택트렌즈는 기존의 콘택트렌즈가 가지는 물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자외선 차단성 능이 뛰어나고 청색광을 줄일 수 있는 콘택트렌즈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4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p to date cosmetic OEM/OD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industry receives attention as a future growth engine due to steady growth. However, because of limited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bility, many companies have employed commercial management platforms specialized for large-sized companies; thus, overall system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s low. Especially,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system introduced originally in 1970s is employed to calculate the requirement of the parts. However, dynamic nature of production lead time usually results in incorrect requirements. In addition, its algorithm does not consider the capability of the production resources. Also, because the commercial MRP system calculates all subcomponent for fixed period, the more goods have subcomponent, the slower calculation is. Therefore, conventional MRP system cannot respond complicated situation in time. In this study, we will suggest a new method that can respond to complicated situations resulting from short lead time and urgent production order in Korean cosmetic market. In particular, a distributed MRP system is proposed, that consists of multi-functional and operational modul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BOM (bill of material). The distributed MRP system divides components (i.e. products and parts) into several fields and decrease the problem size; thus, we can respond to dynamically changed data any time. Through this solution, we can order components quickly, adjust schedules and planned quantity, and manage stocks reasonably. In addition, a prototype of the distributed MRP syst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in which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ever data is associated with an excel spreadsheet via MSsql. System user interface is implemented by a VBA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tool. According to a case study, response rate for delivery and planning achievement rate were enhanced about 20%, and inventory turnover was also decreased. Consequently, the proposed system improves overall profit.
        4,000원
        544.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easibility of infrared assisted freeze drying (IRAFD) was evaluated for shelf stable sea cucumber to improve the traditional drying methods such as freeze drying (FD), vacuum drying (VD) and hot air drying (AD, 60, 80, 100oC). Infrared (IR) radiant energy was provided to accelerate the drying rate of freeze drying (FD). IRAFD had the most rapid drying rate among IRAFD, FD and VD. IRAFD showed drying time of 13.7 h followed by VD (18.7 h) and FD (24.3 h). In the final moisture content of sea cucumber, it decreased down to 3.25% at IRAFD. However, FD and VD could not reduce down the moisture content of sea cucumber below 7%. Quality attributes of AD sea cucumber were not acceptable with very low restoration rate and excessive hardness. For example, AD 100 had very low weight restoration rate of 23% and hardness of 22 N. IRAFD showed quite high restoration rates (weight: 50%, width: 82%, length: 91%) and acceptable hardness of 3.1 N. IRAFD consumed the minimal electrical energy of 120 kJ as compared to 209 kJ of FD. This study showed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IRAFD to produce the shelf stable dried sea cucumber with microbial safety.
        4,000원
        545.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timize the rice starch and rice protein content ratio for the replacement of fish paste in eomuk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ased on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rice starch content (X1: 10, 20, 30%) and rice protein content (X2: 1, 3, 5%) were examined, along with the viscosity (Y1), color (Y2: L, Y3: a, Y4: b),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dough (Y5: Color, Y6: Flavor, Y7: Off flavor, Y8: Taste, Y9: Hardness, Y10: Cohesiveness, Y11: Springiness, Y12: Chewiness, Y13: Overall acceptance), with the results being set as dependent variables. The p value of Y1, Y2, Y5, Y7, Y9, Y10, Y11, Y12, and Y13 showed a level of <0.05 excluding Y6 and Y8. R2 value was high at 0.80-0.95 so that these rice starch and rice prote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in terms of the quality and sensory preference of eomuk; therefore, the optimal conditions of X1 and X2 were 19.99% and 2.91%, respectively. Under these optimal conditions, the predicted values of acceptance were Y5 (5.44), Y7 (5.36), Y9 (5.22), Y10 (5.46), and Y13 (6.11). These results will be the basis for building a method for obtaining a rice material. Also, they are expected to promote rice consump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using rice material.
        4,000원
        546.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과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학력별 노동 간 임금격차가 심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 제조업 노동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학력별 임금격차를 바탕으로 인적자본론에 근 거하여 저학력노동시장과 고학력노동시장으로 분절하고 학력별 노동수요가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를 실증분석하였다. 먼저 저학력노동과 고학력노동으로 나누어 제조업의 학력별 임금격차를 설명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저 학력노동, 고학력노동과 물적자본을 생산요소로 하고 외생변수로 중립적 기술진보와 세계화를 포함한 다 요소 Cobb-Douglas 생산함수를 설정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비용함수를 구하고 학력별 노동수요함수를 유도하여 통계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추정결과는 첫째 저학력노동(고졸이하)과 고학력노동(대졸 이상) 간에는 보완적 관계가, 물적자본과 고학력노동(대졸이상) 간에는 대체적인 관계가 성립하였다. 둘째 제조업 생산량은 저학력노동 수요에 양 (+)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고학력노동 수요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셋째 세계화는 고학력노동 수요를 증가시키고 저학력노동 수요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립적 기술진보는 고학력수요를 증가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저학력노동 수요에 거의 미치지 못했다. 이런 결론을 바탕으로 정책적 제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침체 때 생산량이 줄어들면 이에 따라 저학력노동 수요가 감소하고 실업이 발생한다. 이런 상황에 대응하여 저학력노동 고용촉진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투자가 감소하면 자본수요가 줄어들어 자본가격이 하락한다. 고학력노동의 상대가격이 상승하여 고학력노동 수요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보완관계인 저학력노동 수요도 감소하게 되므로 투자촉진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세계화가 진전될수록 저학력노동의 수요가 감소하므로 저학력노동 고용증 진정책이 필요하다.
        5,400원
        547.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홈 관련 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 대한 문헌검토(literature review)를 통해 스마트홈 관련 산업을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외생화하였다. 그리고 2018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이들 산업이 유발하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 및 취업효과와 산업간 연쇄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홈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각 산업 영역에서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보였으며 스마트홈 산업 내부적으로는 제조업의 서비스업 생산 견인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 다. 또한 4차 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는 산업답게 기술집약적인 산업과의 연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카, 핀테크 등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부문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스마트홈 제조업은 후방파급효과가 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최종 수요적 산업인 반면 스마트홈 서비스업은 전방파급효과가 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중간재 산업으로서 타 산업으로의 공급 기능이 높은 산업임을 알 수 있었다.
        7,000원
        548.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가정간편식 시장은 2011년 이후 급격히 성장하였으며, 2021년에는 7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레토르트와 냉동식품을 기반으로 형성된 가정간편식은 다양한 기술 발전에 따라 진공포장식품, 무균포장식 품, 진공동결건조식품 등 여러 형태의 제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진공동결건조식품은 식품 내 수분을 동결시 킨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승화의 원리로 수분을 제거한 식품으로 열에 민감한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시키는 장 점이 있다. 또한 식품 고유의 향미 손실이 적고 복원성이 우수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가공 기술이다. 한편 2000 년대 죽 전문점이 등장하면서 다양화되기 시작한 죽은 가정간편식 시장 발전에 따라 통조림이나 레토르트, 건조 죽 등으로 개발되어 활발히 소비되고 있다. 가정간편식 죽 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곡물인 쌀은 품종에 따라 영양성분 및 호화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최종 죽 제품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 간편식 죽 제조에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고자 여러 쌀 품종 중 진수미와 삼광미의 이화학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품종의 일반성분, 색도, 수분흡수율, 수분결합력, 팽윤력, 그리고 용해도를 측정한 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 분 분석 결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 (L), 적색도(a), 그리고 황색도(b) 모두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1). 수분흡수 율 측정 결과, 삼광미가 20.14%, 진수미가 18.42%의 값을 나타냈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분결합력 측정 결 과, 진수미가 170.86%, 삼광미가 164.45%로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팽윤력 측정 결과, 팽윤력은 진수미가 1.37%, 삼광미가 1.46%로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용해 도 측정 결과, 진수미가 6.97%, 삼광미가 6.30%로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p<0.05).
        549.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아미노산 스포츠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음료 베이스로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복합버섯 균사 체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은 베타글루칸 다량 함유하여 면역증강작용과 같 은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다수의 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3종의 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매우 높은 활성을 보여 스포츠 음료나 건강 음료의 재료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3종의 버섯 균사체를 배양한 후 80℃, 60min 가열 추출하여 아미노산 음료 베이스로 사용하였고, 아르기닌을 포함한 필수 아미노산과 레몬, 자몽, 다크체리 농축액을 혼합하여 각각 3, 5, 7% 로 첨가하여 스포츠 음료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개발 스포츠 음료의 고형분 함량은 농도에 비례해서 약 3.0~7.2brix로 측정되었고, pH도 3.94~4.37범위였다. 이들 스포츠 음료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페놀 함량은 레몬·자몽(LG)첨가 음료가 약 726.74~798.87mg/L로 높게 측정되었고, 체리(C)첨가 음료는 585.03~794.73mg/L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LG7이 71.57%로 체리 첨가 음료보다 가장 높게 측 정되었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한 결과, C7이 53.35mg/L로 높았으나, 다른 시료들도 유의적으로 높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과일농축액의 종류와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 개발된 스포츠 음료는 생리활성이 높게 규명된 재료를 사용하였고, 필수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으로 스포츠 활동을 한 후 단백질 보충용 음료로써의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