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및 공동체의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의 2018년도 자료 중 고등학생 3,410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및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자아 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았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청소년활동 만족도와 참여정도에 영향을 받아 청소년활동 만족도가 높고 청소년활동 참여정도가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높게 나타나청소년활동 만족도 및 참여정도는 청소년 주관적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정책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고에서는 지석묘 축조라는 매장 의례를 공유하며 사회를 구성하고 있었던 보성강·탐진강 유역 사람들의 행위와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 변동의 역동성을 살펴보았다. 보성강·탐진강 유역의 지석묘 문화는 형식과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공시적·통시적으로 동질성을 지니며 전개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두 유역의 지석묘 축조 공동체는 수세기 동안 공존하며 문화 를 형성하였던 주체였으며, 동일한 사회 변화 과정을 거쳤던 집단이었다. 하지만 미시적 차원에서는 각기 다른 양상으로 변화하였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지석묘 군집 유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지석묘군은 배치와 구성을 기준으로, 열상과 비열상의 군집에 위석식지석묘들이 축조된 Ⅰ유형과 열상의 군집, 위석식지석묘만으로 구성된 Ⅱ유형, 비열상 군집과 위석식지석묘들이 군집을 이루는 Ⅲ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Ⅰ유형은 열상의 지석묘 배치로 대변되는 전통적 사회 질서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정치 권력의 등장을 차별화하는 한편, 매장 의례 공간을 지속적으로 점유함으로써 공동체의 통합을 시도하였던 사회 구조의 재편 과정으로 해석된다. Ⅱ유형과 Ⅲ유형에 나타난 공간 구조는 전통과 질서를 유지하려는 유력 개인 또는 공동체의 의지와 기념물 축조를 통해 공동체성을 강화하려는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처럼 지석묘 축조 공간은 전통적 사회 구조와 조화를 유지하는 한편, 주도권을 전환하거나 정체성을 새롭게 하려는 사회적 행위가 투영된 장소로 볼 수 있다. 즉, 지석묘군은 사회 구조/행위 간의 변증법적 관계가 상호 순환되는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Ⅰ유형에서 보이는 사회 변화의 역동성은 자원 확보와 정보 접근에 유리한 공간적 우위가 작 용한 결과로 보인다. 국지적 차원의 가시권과 네트워크 분석 결과, Ⅰ유형은 주변 공동체와의 상호작 용이 유리한 지점에 위치하고 근접중심성도 높았다. 뿐만 아니라, 지역적 차원에서 네트워크 조직을 통제하고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공간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Ⅰ유형 지석묘 축조집단은 이러한 공간적 우위를 배경으로 외래품의 입수와 정보 접근에 권한을 행사하며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던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SW·AI 인재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SW·AI 인재 확보를 위해 전 세계는 SW·AI 교육에 많은 예산과 시간을 들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도 2015년부터 교육과정을 개편하면서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 SW 교육 내용을 반영하였다. SW중심대학과 AI대학원 교육지원 사업을 통하여 고등 교육기관에도 대규모 예산을 투자하여 SW·AI 인재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SW·AI 교육의 양과 질이 모두 부족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의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서 AI 교육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이 SW·AI 사전 경험 차이라는 관점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대상으로 SW·AI 경험별 재미, 어려움, 만족도, 기대 정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 SW·AI 경험이 AI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SW·AI 교육을 균등하게 받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교육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SW·AI 교육이 될 수 있도록 SW·AI 교육을 필수 교과로 전환하여 수업 시수 확대 등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산강유역 청동기시대 분묘는 지석묘로 대표되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그 외 청동기시대 분묘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지상에 노출되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지석묘의 표지적 특성에 따른 것으로 다른 형태의 분묘는 지하에 위치하여 발굴조사를 통해서만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인지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영산강유역 지석묘는 전기부터 축조되며, 주로 석곽형 구조를 보이지만 최근 석관묘와 유사한 석관형 구조가 많이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영산강유역에서 지석묘 하부구조로 석관형 구조가 축조되기 시작한 것은 송국리문화가 유입되는 시기와 맞물린다. 영산강유역은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여러 지역으로부터 다양한 문화가 유입되는데 중기에는 금강ㆍ 만경강유역의 송국리문화가 호남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영산강유역도 송국리문화의 중심분포권에 포함된다. 분묘 또한 송국리형묘제인 석관묘, 석개토광묘, 옹관묘가 축조되기 시작하지만 지석묘에 비해 활발하게 축조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영산강유역 청동기시대 중기의 문화상은 주거지는 송국리문화, 분묘는 지석묘문화를 특징으로 한다. 지석묘의 경우 상징성이 강한 上石은 큰 변화없이 유지되면서 하부구조는 송국리문화의 영향으로 石棺이 적극적으로 채용되기 시작한다. 영산강유역은 지석묘라는 전통 묘제를 기반으로 상당한 결속력을 가졌던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강한 유대감을 바탕으로 영산강유역 지석묘사회라는 독자적 문화권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통은 점토대토기문화가 유입된 이후까지도 한동안 지속되는데 이후 철기문화가 유입되면서 전통적 지석묘사회는 쇠퇴하고 옹관묘라는 새로운 매장관습을 받아 들여 영산강유역만의 독특한 옹관고분사회로 발전하는 배경이 된다.
본 연구는 국제코칭연맹(ICF,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에서 제시한 8가지 코칭 핵심 역량 중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역량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코칭 실행에서 코치가 갖추어야 하는 적극적 경청 역량을 명료하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으로 경청하기 위해서 코치는 언어와 비언어로 표현된 고객의 생각과 감정, 신념과 가치관, 정체성, 욕구, 목적, 목표, 관심, 시각, 상황, 경험 등 시스템 맥락을 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감적으로 경청하며 적극적으로 반응하여야 한다. 둘째, 적극적 경청은 패러다임과 관련이 있다. 나 중심 패러다임은 코치가 중심이 되는 코칭으로 이끄는 반면, 상대방 중심 패러다임은 상대방이 주인이 되는 코칭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코칭 실행에서 상대방 중심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ICF에서 정의하는 ‘적극적으로 경청한다’는 역량의 핵심요소와 실행지침의 개념을 분석하고 코칭에서의 적용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ICF 핵심 역량 중 적극적으로 경청하는 역량의 특성을 밝히고, 정의와 실행지침이 코칭 실행에서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하는지 방안을 제시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미래교육을 위한 배움은 변화를 수용하고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쉽게 배울 수 있는 열린 배움이어 야 한다. 그림책은 0세부터 100세까지 누구나 읽을 수 있는 열린 배움이다. 또한, 시각적 이미지의 영향력이 커지는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쓰임새 있는 평생의 배움 매체다. 그러나 그림책의 인식은 아직도 어린이에게 교훈을 주는 어린이용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지배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교육을 위한 그림책의 배움학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작가 사노 요코의 그림책을 배움학 관련 선행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제안하고 있는 의미생성력, 실천력, 개조력, 의식소통의 내 가지 배움구성요인으로 분석하였다. 그림책의 배움학적 의미는 첫째, 사노의 그림책 속 주인공들은 자신만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의미를 인정받거나 지켜내기 위한 배움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사노의 그림책은 배움의 구성요인들이 유기적으로 얽혀있는 손 쉽고 쓰임새 높은 배움의 인문학이다. 셋째, 사노의 그림책은 그 자체가 타자의 삶살이로서 상생의 의식소통 배움이 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university students. Toward this end, the study includ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270 students from national universities in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variables of cul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In particular, the greatest correlation was exhibited between soci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variables. Second, social capital appeare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implies that students can increase their academic achievement by increasing their level of social capital, which is slightly more fluid than cultural capital in an embodied state, which is acquired while being naturally exposed to such a culture since childhood.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정서적 소진 및 정신건강 예방 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SSO모델을 근거로 역할 스트레스와 정서적 소진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대전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자료 중 14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역할스트레스(Stress)→정서적 소진(Strain)→정신건강(Outcome)의 인과관계모형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했으며 변수 간 관련성에 있어서도 역할스트레스가 정서적 소진을 통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과부하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서적 소진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역할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enhancing beauty practices and feminism, and secondly, to analyze public images of contemporary women using this paradigm. Through the lens of this relationship, we present a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evolution of public image trends among girl group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Refund Sisters, a South Korean supergroup currently drawing mainstream attention as female icons. The scope of analysis includes girl groups dating from the 1990’s to the year 2020 and photos of the Refund Sisters. Our results indicate that firstly, free sexual expression is evident based on active use of sexuality; images contain bold demonstrations of females desire, expressions previously considered taboo. Secondly, we note deviations from more standardized female images, unique adornment of outward appearance, and rejection of normative female images through freer forms of self-presentation. Lastly, there is greater cultural and racial diversity, rejection of modern race and gender binaries, and increased representation of queer identiti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enhancing beauty practices and feminism is sometimes considered paradoxical, with some arguing that beautifying one’s outward appearance is a compulsory strategy and that it should be rejected in order to resist aesthetic press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on the brand interest and behaviors among Korean and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and whether this effect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A survey was conducted by having participants complete questionnaires administered by a research firm. For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EFA, CFA, SEM, the metric invariance test, and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relationship marketing positively affected both brand interest and consumer behavior. Although service marketing positively affected brand interes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behavior. In other words, brand interest positively affected consumer behavior through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no difference existed between Korean and Chinese active consumers in terms of how relationship marketing affected their brand interest, but a difference existed in how it affected their behavior. Service marketing had a greater influence on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brand interest than on Korean active senior consumers. However no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how service marketing affected their behaviors. Finally, brand interest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Korean active senior consumers’ behavior through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but not on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In conclusion,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should be used to enhance the brand interest among Korean active senior consumers, and business activities should be planned by building relationships with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to affect their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erging trends in fashion films and the impact of COVID-19 through analysis of Prada films produced before and after the initial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We selected 40 cases occurring prior to the pandemic, from June to December 2019, and 21 cases occurring since the outbreak, from June to December 2020. To identify relevant trends, we conduct a literature review and examine a range of case studies. First, travel restrictions and confronting activities currently inhibit production. Through our case study analysis, we identify nineteen cases in between before and after COVID-19. Secondly, Prada can be seen to mainly produce episodes and promotional films. Additionally, it develops content showcasing brand values in environmental, cultural, creative, and sport-related fields; intended audiences extend beyond the realm of fashion. Thirdly, a new film category began to develop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namely, narrative films utilizing virtual interactions. According to our analysis results, we expect film production that is increasingly facilitated by virtual communic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nd online platforms to continue even after the resolution of COVID-19. New film categories will emerge, and we predict that the gap between the number of cases before and after COVID-19 will narrow.
코로나19 이후 중국경제의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부동산 리스크이다. 중국의 중소도시는 신도시 개발 붐과 함께 팔리지 않는 주택재고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중국 사회에서는 유령도시라 부른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유령도시인 간쑤성의 란저우신구를 통해 유령도시의 현황을 파악하고 유령 도시 해소를 위한 지방정부의 정책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결과, 주택 재 고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구유입을 위한 장책의 보완과 거주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청일전쟁 후 국방건설에서 뚜렷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서양을 모델로 배우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일본을 새로운 모델로 삼으려는 노력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짧은 기간 동안에 일본의 제도를 참고해 군사 기구를 재정비하거나, 일본에서 새로운 군 함이나 무기를 구입하거나, 일본인 군사 교습을 초빙해 중국의 군사학교에 파견한 일 등이 그것이다. 청국 관신(官臣)들은 일본 측 요청으로 일본군 군사훈련을 관람했 을 뿐만 아니라 병기공장과 군사학교를 참관하면서 학제, 설비, 교과 내용 등을 파악 하였다. 그들이 방문한 군사와 교육 관련 기관단체의 소개와 설명이 동유일기(東遊日 記)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따라서 동유일기는 청국인의 일본 시찰 뿐만 아니라 일본유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본문에서는 우선 군사 시찰(육군, 해군) 현황을 간단히 살펴보고, 군사 유학(육군, 해군)을 중심으로 정리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