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공사의 발파공법의 특성상 여굴 발생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터널 여굴 관련 설계기준에 의하면 공동구 바닥부의 여 굴처리는 채움 10 cm로 되어 있으나 설계 여굴량 이상의 깊이를 모두 콘크리트로 채우게 되면 공사비가 크게 증가한다. 철도터널은 항구적인 콘크리트 궤도를 적용 중에 있다. 그러나 철도터널에서 바닥 여굴이 발생할 경우 압축강도 18 MPa의 콘크리트 채움 시공(T=100 mm)을 하고 있고, 상부에 150 mm ~ 237 mm의 보조도상 콘크리트층, 240 mm 콘크리트 궤도(TCL층)를 시공하는 등의 레일 하부와 터널 암반 사이에 약 600 mm 두께의 콘크리트로 시공하고 있어 경제성이 매우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터널단면과 변경터널단면에 대해 각각 여굴 깊이에 따라 콘크리트 균열 수치해석 및 콘크리트 균열 위험도 분석, 콘크리트 균열 안정성 확보를 위한 터널 바닥콘크리트 소요 두께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유라시아의 지역 내 인프라 연결과 협력에 관하여 많은 국가들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일대일로 사업 을 제시했으며, 60여 개국 이상이 사업에 참여하면서 중국은 유라시아 물류 인프라 개발에서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 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방법론을 통해 주요 철도역에 대한 네트워크를 분석했다. 유라시아 대륙의 대표적 철도노선인 TAR, TEN-T, TRACECA, GMS 경로를 통해 65개 국가, 994개 철도역에 대한 네트워크를 구성했으며, SNA의 측면에서 주요 철도역에 대한 특 징을 제시하고, 중국과 전체 유라시아 네트워크를 비교했다. 유라시아 및 중국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에서 각각 상위 30개 역을 제시했으며, 연결성 측면에서 태국 방콕, 조지아의 트빌리시, 아제르바이젠의 바쿠, 중국의 쿤밍, 루마니아의 부쿠레슈 티 등이, 매개성 측면에서 아제르바이젠의 바쿠, 알야트, 중국의 바오지, 투르판, 우즈베키스탄의 카르시, 터키의 카스 등이 높은 순위를 보 였다. 또한, 중국 네트워크에서는 쿤밍, 난닝, 거쥬역의 연결성과 바오지, 쿤밍, 란저우역 등의 매개성이 높게 도출되었다. 중국에서 추진하 는 일대일로 사업은 유라시아 전체의 인프라 연결 확충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지만, 중국과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인프라 개발에 높은 비 중이 예상되며, 이런 관점에서 국제 물류 거점에 대한 연구는 중국 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병행해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In the case of a railway bridge where the ratio of live load to fixed load is relatively larg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dominate the bridge life is the fatigue phenomenon that occurs due to long-term accumulation by live load. Therefore, evaluating and constantly maintaining the fatigue life of cables in cable-supported bridges is an important item in ensuring the safety of bridges over their lifetime.
In the case of a railway bridge where the ratio of live load to fixed load is relatively larg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dominate the bridge life is the fatigue phenomenon that occurs due to long-term accumulation by live load. Therefore, evaluating and constantly maintaining the fatigue life of cables in cable-supported bridges is an important item in ensuring the safety of bridges over their lifetime.
The light rail transits, in theses days, are planed to be introduced in Korea. However, there are more and more problems regarding the noise and vibration from the trackway. In order to reduced the vibration and noise, various method have been applied. Among those methods, it is that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is to apply the floating mat underneath the slab track. In this stud, a numerical modeling to calculate the effect of the floating mat is to be used as well as the performance of the floating track.
In the case of railway bridges through the downtown section is required for noise reduction performance is excellent bridge type. According to this request, the bridge of the noise barrier installation is not required and low vibration is under development. This railway bridge is corrugated steel plates composite lower route bridge. Because the bridge cross-section wraps a train, noise is reduced. In this study, Using a commercial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the dynamic stability evaluation is performed.
In this study, the method of estimating impact coefficient is studied by dynamic load test using the results of inspection for railway bridge that have few errors that may occur in case of running of trains because trains move on the railway bridge.
High speed railway bridges should be strictly maintained due to its social importance.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to execute loading test for precision safety diagnosis. A numerical experiment with a numerical model which is updated for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an existing bridge can be useful for high speed railway bridge maintenance. Moreover, more efficient maintenance can be possible if only ambient vibration is needed for numerical model updating process. In this study, a numerical model updating process is introduced in which only ambient vibration is enough to execute the process. Also, the usability of updated numerical model is verified by comparing measured and analyzed acceleration.
It analyzed the construction cost of reinforcement in the railway bridge abutment, changing friction angle which is important factor in the railway bridge abutment design. In this study, As the friction angle was increasing, the member force that acts on bridge abutment footing decreases. The standard of main reinforcement size used in railway bridge decreased by depending on friction angle. 1. 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ropriety of impact factor in railway design code about truss bridge with dynamic loading test. This study also analyzes and compares impact factor and railway design code. A impact factor of all members of the truss is lowered by revising railway design code in 2013.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a reasonable standard for impact factor is required, because current impact factor which is specified in railway design code could not properly reflect dynamic response of specific type and member.
구조 형식이나 공법의 선정, 유지보수 시기, 보수방법의 결정 등의 의사 결정에서 수명주기비용(life cycle cost, LCC)의 평가가 중요 하다. 철도 궤도구조의 경우 초기시공비 뿐 아니라 유지보수비가 총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특히 자갈궤도일수록 그 비율은 더욱 높으 므로 수명주기비용 평가의 필요성이 더욱 높다. 이 연구에서는 궤도 구조 형식, 연간 통행량, 축중, 열차 속도, 곡선 비율, 구조물(교량, 터널) 비 율 등 다양한 설계변수를 고려할 수 있는 LCC 산정 모델을 개발하고, 각 비용의 산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으며 구축된 모델과 자료 를 바탕으로 주요 설계변수에 따른 고속철도 자갈궤도와 콘크리트궤도 LCC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궤도 LCC 분석에 있어서의 고 려해야 할 주요 변수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자갈궤도는 교체 및 운영 비용의 비중이 콘크리트궤도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연간 통행량과 자갈 탬핑 주기가 자갈궤도의 LCC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콘크리트궤도는 초기 시공비의 비중이 현저히 높았고, 연 간 통행량이나 열차속도, 축중 등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Railway bridges through the downtown region is an excellent bridge typ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is required. According to this request, the bridge of the noise barrier installation is not required and low vibration is under development. This railway bridge is PSC U-Type lower route railway bridge with sound absorbing system. Because the bridge cross-section wraps a train and web contains the sound-absorbing system, noise is reduc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f PSC U-Type lower route railway bridge with sound absorbing system using general noise analysis program.
2015년도 개통을 위하여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 건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노선은 차세대 고속열차의 HEMU-430X가 세계 최초로 주행하게 된다. 한편, 인근에 위치한 석회석 광산이 지속적인 발파작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더욱이 향후 연결통로 개설을 통하여 이 노선의 하부를 관통할 예정이다. 이 경우에 광산 발파로 인한 고속철도의 안정성과 열차주행으로 인한 광산 안정성 모두 검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광산 발파진동계측을 통하여 진동추정식을 작성하였으며, 광산발파로 인한 철도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계측결과 분석에 의한 계측관리기준으로 0.5 kine(cm/sec)을 설정하여, 광산 발파진동을 제어하고자 하였으며, 발파진동의 제어를 통하여 고속열차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산의 발파패턴을 제안하였다. 또한, 고속열차 주행에 따른 진동이 광산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여 광산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Generally, Seismic design has not been applied for the existing('now-using' means) railway tunnel. therefore, In this case study, We introduce a case of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for tunnels. It is evaluated by comparing capacity with demand for tunnel linings.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도시철도 자갈도상을 콘크리트 도상으로 교체함에 따라 증가되는 소음진동을 저감하는 방안으로 흡음판을 기존 운행 중인 터널 내부에 부착하는 방안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잇다. 기존의 설계에 반영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유지관리, 안전, 화재 등 여러가지 간섭현상이 주요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국내외 설계기준과 시도된 방안들의 문제점과 시공 및 유지관리를 고려한 요구조건을 비교 검토하여 현실성있는 설치방안을 제한하고자 한다.
사막의 모래는 바람의 영향으로 인한 비산 및 퇴적작용으로 사구(모래언덕)를 형성하거나, 이동시켜 사막 지형을 변화시킨다. 특히 사막에 철도궤도 부설시 이러한 사막모래의 비산으로 인한 퇴적은 철도유지보수에 지장을 주어 철도운행 및 안전에 심대한 악영향을 미치며,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모래의 비산 및 퇴적작용에 대한 예측을 이용한 적절한 예방대책 수립을 통하여 최소화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형 및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바람으로 인한 사막모래의 비산 및 퇴적작용을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고찰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지형에 따른 풍향 및 풍속의 예측 기법과 이에 따른 모래의 비산 및 퇴적 예측 기법, 모래 입자의 크기 및 성질에 따른 특성 변화 예측 기법들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기법의 적용 방법은 수치 예제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레일의 간격을 유지하고 레일에서 전달되는 열차하중을 도상으로 분포하는 역할을 위해 사용되는 철도침목으로는 목침목이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 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콘크리트 등 점차 새로운 재료로 대체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장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목침목의 현황과 전망을 분석하고 대체재로 부상하고 있는 콘크리트, 플라스틱 등 다른 재료에 기반한 침목들의 장단점과 연구 개발 현황 및 미래 침목 시장을 예측하였다. 특히 침목과 관련한 세계시장 동향과 지역적 특수성을 감안한 각 권역별 특성을 기반으로 국내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을 예측하였으며,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합성침목과 관련하여 국내 침목기술의 현황도 분석하였다.
최근 철도에서 주거지역, 상가와 같은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도로변에 방음벽을 설치하는 것과 같이 외부에 전파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대책이 적용되고 있다. 반면, 역사 플랫폼에서 열차 정차 및 통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공해는 탑승을 위해 대기 중인 승객들에게 그대로 전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대기 중인 승객들에게 다소 불쾌감과 거부감을 줄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상역사에서 플랫폼에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흡음형, 간섭형, 공명형과 같은 여러 방음벽에 사용하고 있는 구조들을 플랫폼 단부에 설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구조해석 검토를 수행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각 경우의 플랫폼에 대한 소음해석은 VIRTUAL LAB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