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4

        82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phases and the directions of the electronic textbook for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bove all, the conception of electronic textbook based on electronic book is defined. Second, the electronic and traditional printed textbook is compared. Third, the types of electronic textbook are classified, and the practical process of developing CD-ROM titles in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is presented.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re are six phases in the development phases of the electronic textbook: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experiment - evaluation - revise - application. Furthermore, the directions of the electronic textbook are proposed in terms of the design of learning contents, functional components, and technical components systematically. Particularly, 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in detail.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the electronic textbook.
        5,700원
        82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n attempt to practice Jungian ways into a great poem of Yeats’s, “Among School Children,” over which home and foreign academic societies concerned have been under much controversy till now. But it is very regrettable that I have no belief if the views issued from some noted scholars in the societies have been plausible or appropriate. In the sense, as suggested by the title, the encounter between Great psychologist C. G. Jung and Great poet W. B. Yeat is very significant in that they both had pursued the same ultimate subject as a supreme state of humanity respectively represented as archetype of ‘Self’ and ‘Unity of Being.’ For Jungian ways applied to the poem, first symbols, images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lurking in it can be useful as the interpretative clues. These representations can function as faithful agents helping us to reach the gate of the poetic truth, urging us to mobilize Jungian esoteric terms corresponded to several kinds of psychological situations people must go through. ‘Great Mother,’ maternal archetype, who stands for earth and womb and takes two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and destruction, possessing opposite qualities of Witch Kali and Virgin Mary, exercises serious effect upon a male child as an earthly hero. Some ideal aim or mission that the hero strives to grasp is just equivalent to hurriedly return to the womb as his biological origin, namely secular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entrophy’ meaning the second principle of thermodynamics; does mean the hero’s life whatever else? It can be associated with the biblical situation, Pieta, the holy picture describing Mary’s lamenting in bitter grief with embracing his dead son, Jesus Christ. In fact, the hero is determined to death resulting from energetic emission of burning libido, which can be embellished with either establishment of duty or sacrifice to community. Thus, ‘Great mother’ longing for the runaway baby from her womb, in turn, is expecting his death to suffice emptiness of womb and heal her chronic complex, hysteria. In conclusion, in the poem, we can find that the destiny that after “children” in the “school” go through a initial step of ‘individuation,’ the perfect state which further can be indivisible, they, absurd beings, are cast into the tough world with each secular mission is just to aid the scheme of ‘Great Mother.’ “school” is a temple teaching “dance” and “children” in it dancers learning “dance.” Accordingly, the enigmatic relation of “dancer” and “dance” in the eighth stanza would be unraveled: The former can come under an archetypal pattern and the latter can correspond to its practitioner. Thus, “dance,” playing a role of ‘complex’ as compelling force and driving us to imitate it, tires us, dancers, finally to death, as an erotic dancer Salome’s dance murdered a spiritual dancer John the Baptist. After all, we can never get to the core of “dance” only to hang around its brink, which Yeats should know. As usual, getting captivated by “dance,” we continually shout hoarse to others: Shall we dance?
        6,000원
        823.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21종의 과학 교과서와 지도서에 나타난 섭입경계에서의 마그마 형성 관련 내용에 대한 본문 진술과 제시된 그림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간 마그마의 정의에 일관성이 없었으며,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마그마의 생성기원에 관한 과학적 개념 진술이 정확하지 않거나 기재되지 않았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들은 본문 내용과 일치하지 않았으며, 판구조론과 섭입경계에서의 화성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형성에 부족하고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마그마의 생성기작(형성과정), 기원물질, 생성위치와 관련된 것들로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발표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섭입경계에서 분출되는 대부분의 중성마그마가 쐐기맨틀의 부분용융에 의해 형성된다는 사실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4,000원
        82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교습식의 위생안전성관리에 대한 학부모의 지식, 태도 및 행동 수준과 이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1개 도지역에서 직영급식을 실시하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어머니를 무작위로 추출하였으며, 미리 개발된 설문지에 의하여 2001년 4월부터 5월 사이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응답자의 자기기입식으로 수행하였으며 응답자 301명의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점수에서 전반적으로 행동 수준(평균 2.89점)은 지식 수준(평균 4.48점)이나 태도 수준(평균 4.34점)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또 5개 범주(식품안전성관리, 종사자개인위생관리, 시설·설비·기구위생관리, 폐기물관리 및 기록유지관리)에서도 모두 그러한 경향을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응답자의 학교급식의 위생안전성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육 수준이 비교적 많이 제시되었으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용인으로는 학교급식활동 참여 여부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Pearson 상관분석 결과, 응답자의 지식과 태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r=0.61404, p<0.01). 이러한 결과는 응답자의 지식과 태도는 양호한 수준이나 지식과 행동 및 태도와 행동 사이에는 큰 격차가 있음을 제시한다. 학부모의 학교급식의 위생안전성관리에 대한 행동 수준을 향상시키고 또한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학교급식참여 프로그램을 강화 및 개발할 필요가 있다.
        4,200원
        82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화산 수업에서 학생들이 유의미 학습을 통해 성취도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수업 전략의 한 방법으로 개념도 활용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개 초등학교 6학년 2개반 학생 80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전통적인 수업방법으로 수업을 한 통제집단과 개념도를 수업에 활용한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개념검사지를 통한 학생들의 화산 개념의 성취도 분석 및 개념도 수업 전략의 활동에 따른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집단과 개념도를 수업에 이용한 집단 사이의 성취도 평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이 효과적임을 보였다. 둘째, 수업 후 중 · 하위그룹간의 개념성취 수준에 있어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 · 하, 상 · 중위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개념도 수업이 상위그룹보다는 중 · 하위 그룹에게 보다 큰 효과가 있었다. 셋째, 개념도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관계, 위계, 연관, 예의 범주에 있어서 교재 내용의 개념을 구조화하는데 학생들이 능숙해짐을 보였다.
        4,200원
        828.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서울 지역 소재 3개 초등학교 103명의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구성주의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후 학생들이 가지는 개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적 구성주의 교수학습모형의 개념원도 활용 수업 전후 학생들의 개념 변화를 지필고사로 평가, 조사하였다. 103명을 대상으로 개념원도를 도입한 수업을 1개월 동안 실시한 전후 지필고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념원도를 적용한 수업은 유의미하게 학생들의 개념을 신장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개념원도를 적용한 사회적 구성주의 교수-학습모형은 진단평가, 형성평가에 도입할 가치가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4,000원
        831.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과서에 사용된 비유 현황 조사와 이를 바탕으로 한 판구조론 수업에서 비유물 제시자의 차이가 개념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인식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업 후, 학생들의 인식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 시내에 소재하는 단일 남자 고등학교에서 임의 군집 표집한 6개 학급의 구성원으로서 총인원은210명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교육과정 10학년 과학 교과서의 '판구조론'에 사용된 비유는 총11종의 교과서에서 25회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비유 사용 수업을 위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학습 환경을 고려한 적합한 비유물의 개발이 이루어져한다. 둘째, 개념 전달의 과정이 비교적 복잡한 비유물은 학생에 의한 비유물 보다 교사에 의해 체계적으로 제시되는 비유물의 효과가 높게 나타난다. 셋째, 지구의 변동 단원 비유 사용 수업을 위해서 체계적인비유 사용 전략과 학생들에게 비교적 친숙한 비유물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비유물을 직접 만들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오개념을 발견하고, 학생들의 개념이해도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해야할 것이다.
        4,000원
        832.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utilizing concept maps in a rock-related unit. To do this, two groups composed of 73 sixth grade students engaged in this study. One group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utilizing concept maps in the unit, the other (control group) took part in traditional instruction in the same un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fter seventeen sessions: First, the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t indicates that utilizing concept maps as an instructional method is effective. Second, in the examin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s attitudes toward concept maps, the students showed more affirmative responses on cognitive items than on affective items. Third, the students showed that they have difficulty in the method and the procedure of drawing up the concept maps. It indicates that the method and the procedure are sufficiently learned before instruction begins.
        4,000원
        833.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문 소설 작품을 제재로 교수 학습 모형을 모색함으로써 지나치게 언어적 접근에 치우쳐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잃게 하고 문학 작품 본래의 교수 학습 목표에서 멀어지는 한문과 교수 학습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한문학 교재 중 한문 소설의 수업 모형을 구안하기 위하여 먼저 교수 학습의 제재가 되는 「허생전」과 「양반전」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차시별 교수 학습 계획을 제사하고 교수 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이는 한문과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한문과에서의 문학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이다. 지금까지 문학으로보다는 어학교재로 접근하기 쉬웠던 소설 교재를 문학작품으로 접근하려는 것이다. 이는 앞으로 한문과 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학습 효과를 높이며,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력을 기르는 데는 물론 한문과에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에는 교재를 연구하고 분석하여 수업 현장에 맞게 재구성하며 학습 자료를 준비하는 교사의 노력은 물론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활발한 학습 활동이 전제되어야 한다. 옛 것의 답습이 아닌 새로운 해석을 통해서 고전을 접근할 때, 한문 교육의 설자리가 넓어지고 갈 길이 밝아질 것이다.
        6,900원
        83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부분의 식중독은 단체 급식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위생상태와 연관되어 식중독을 야기 시키는 병인 물질 중 포도상 구균은 많은 부분을 차지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부경남지역의 5개 초등학교 급식시설에서 총 98개의 샘플 중 A급식소의 식수, D급식소의 손, E급식소의 냉장고와 앞치마에서 4개의 포도상 구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1개의 메티실린 저항성 혈장응고 효소 음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e Resistant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aureus: MRCNS땃 깨의 메치실린 민감성 혈장응고효소 양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e sensitive Coagulase 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CPS)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포도상 구균은 내열성 내독소로서, 이 중 가장 문제가 되는 내독소 B(enterotoxin B)를 검색하기 위한 PCR을 실시한 결과, A장소의 식수, D장소의 손, E 장소의 냉장고와 앞치마에서 분리된 균주로부터 477b의 생성물을 갖는 sob gene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생제 민감성 실험에서는 ampicillin과 penicillin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저항성을 가졌으며, 특히 A 식수에서 분리된 균주는 옥사실린 저항성(oxacilline resistant)균주로 나타나 MRSA(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균주로 확인되었다.
        4,000원
        837.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ccomodations for the disabled children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Suwon and to give helpful information to the parents and teacher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dependence of disabled children at school. We measured the ramps, toilets, doorways and other accomodations in 64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checklists. The checklists of these facilities were based on the legal requirements of "The Act for the Benefit of the Disabled, Elderly and Pregnant Women".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test. None of the investigated schools satisfied all the legal requirements of the facilities. Fifteen elementary schools had adequate accomodations for the disabled children which allowed them to move independently from the entrance of the school to their classrooms located on the first floor. Only eight of fifteen schools had elevators to access their classrooms upstairs. The schoo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construction dates; before and after April 11th 1998, when "The Act for the Benefit of the Disabled, Elderly and Pregnant Women" took effec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oilets, the width of the toilet entrance, and the slope of the ramps between the two groups (p<.05). We suggest that the accomodations for the disabled children need to be established on a systematic and on-going basis in the future. Th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should be more aware of the legal requirements for appropriate accomodations for the disabled children.
        5,800원
        838.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질조사는 제7차 지구과학교육과정에서 지구과학을 배우는 학생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시간, 거리,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실제로 학생들이 야외지질조사를 나가서 학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제주도 송악산과 지삿개 일대를 선정하여 가상야외지질조사의 웹 컨텐츠와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한다. 개발된 웹 컨텐츠는 주 메뉴, 부메뉴, 내용의 3 부분으로 구분하여 학습자가 쉽게 인식하도록 구성하였다. 기존웹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영상과 탐구 학습지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였고 웹 컨텐츠는 실제 야외지질조사에서 얻을 수 있는 내용을 체험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4,000원
        839.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urveyed dietitians' perception on application of festival foods in the school foodservice in Busan area.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44 dietitians working in elementary(143 individuals), middle(50 ind.), and high schools(51 ind.). The mean scores of dietitians' perception for the succession of the festival foods are 4.57/5.00 at Seolnal, 4.28/5.00 at Jeongwoldaeboreum, 4.12/5.00 at Dongji, 4.02/5.00 at Chuseok, 3.91/5.00 at Sambok, 3.27/5.00 at Dano, 3.00/5.00 at Chopail, 2.67/5.00 at Samjitnal, and 2.65/5.00 at YuDu. The dietitians have frequently practice the Sambok foods to the school foodservice menu, followed by the foods for Dongji, Jeongwoldaeboreum, Seolnal, and Chuseok. About two third of dietitians(72.2%) answered that it is needed to provide festival foods as the school foodservice menu for festive days. However, the survey indicate that putting festival foods on the school foodservice is hampered by the facts that foods do not appeal to the students' taste and it is difficult to cook the foods by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Mean scores of dietitians' acquaintance with about the origins and contents of festive days are Dongji(3.67/5.00), Seolnal(3.63/5.00), Sambok(3.60/5.00), Jeongwaldaeboreum(3.58/5.00), Chuseok(3.39/5.00) and Dano(3.23/5.00). When the dietitians provided lunch for the students, 80.1% of them occasional give the information on the festival foods to the studen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hand down festival foods that the dietitians develope the recipe for foods applicable in school foodservice and e government adopt a policy and education programs.
        4,300원
        840.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consists in promoting seafood consumption by increasing its intake opportunities for children through analysis of seafood using frequency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For that purpose, randomly sampled out from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county were 155 dietitians and 5th grade 3581 children, on whom a mail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ir seafood using frequency, and preference, and lunch menu by season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seafood using frequency of the respondents represented the highest value in one or two times a week, while obstacles in seafood use presented high values in the safety of food by 71.6% and children preference by 68.4%. The seafood intake frequency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ree or four times a week by 34.5% and the places of seafood intake indicat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home by 43.5% and then school lunch and dining out. The dietitians responded that children for the most part had not a preference for seafood, whereas the children pointed out average by 46.2%. As for reasons for avoidance of seafood, the dietitians expressed the highest response in it depends cooking methods by 45.8%, while the children because of its peculiar taste and smell by 42.1%. Their required improvement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the taste improvement by 51.8%. The children most preference for seafood that dietitians thought included fried Alaska pollack and shrimp cutlet, while dislikes braised mackerels and seasoned cold jelly fish. Cooking methods frequently used were represented in order of soup, hot soup, and stew, and the children's preferred cooking method was from fried food.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ntion to increase seafood using frequency is needed to at the time of planning the menus so that more seafood-providing opportunities can be given. The development of cooking methods is urgently needed that can change the taste or the smell of seafood, and concurrently with this conveniences be taken into account in eating such as elimination of bones, etc. as early as the states of purchase or checking of seafood. The reflection of the preferred cooking methods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atisfaction with the seafood as well as to the reduction of food remnants. The recommendation of intake of low preference but nutritionally good seafood is required to be expanded in nutrition education.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