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9

        241.
        200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극궤도 기상위성인 NOAA/AVHRR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의 지면 피복을 분류하였다. 일주기 기상위성자료로부터 구름이 없는 상태의 지면상태 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10일 간격 최대치 합성법 자료를 작성하였으며 27개의 10일주기 식생지수 자료들(겨울철 12, 1, 2월 자료 9개 제외)로부터 4개의 식생 계절성 자료를 작성하였다. 또한 위성자료로부터 분석한 연 최고 및 연평균 지면온도, 그리고 지형고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지면 피복에 대한 특성 자료 수집이 어렵기 때문에 여기서는 2단계 무감독 분류법을 이용하였다. 즉, 초기 입력자료는 신경망 기법의 일종인 SOFM을 이용하여 군집화한 다음 결정나무를 이용하여 각 군집을 분류하였다. 최종 분류 결과는 식생지수의 시계열과 지상 자료로 검증한 결과 대도시, 농지, 낙엽수림 및 상록수림 등 우리 나라의 지면 피복을 개략적으로 잘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42.
        2001.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lanned experiments of Korea Sounding Rocket-III (KSR-III), we have constructed a model of MUV dayglow in the mid-latitude. The model computes relative intensities of individual emission lines in the Vegard-Kaplan and 2PG band systems of N2 in the wavelength range of 2500-3500 Å. In addition to the emission lines, solar scattered continuum was computed by an extended LOWTRAN7 code, in which we have included solar scattering in altitudes higher than 100 km by using MSIS90 thermosphere model. Ratios among vibrational bands of VK and 2PG system, were computed from the observed MUV dayglow spectra of Cleary et al. (1995). The model provides MUV dayglow intensitiy profiles with a wavelength resolution of 3.13 Å as a function of altitude. The computed intensity profiles have been utilized in designing the KSR-III airglow photometers.
        4,000원
        24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생대 백악기 함평분지의 고퇴적환경과 지질연대를 지화학, 암상 분포, 퇴적암석학 그리고 고식물학 측면에서 재고찰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는 함평분지가 하성과 호성층으로 구성된 구조적으로 활동적인 분지였음을 시사한다. 이 분지에서는 주변 지형과 관련되어 분명한 환경 변화를 시사하는 산성응회암류, 흑색 셰일/사암상, 적색층, 응회암질 역암을 포함하는 중성응회암류 등 4가지 암상이 인지되었다. 구조적 운동에 수반하여 일어난 화산활동이 이들 퇴적층을 형성시킨 퇴적물을 주로 제공하였을 것이다. 이들 퇴적층들은 인접한 해남분지와 잘 대비된다. 그리고 화산성 기원의 퇴적물들은 유천층군에 해당하는 능주층의 경우와 유사하다. 분지 내에서 흑색 셰일의 광역적인 분포는 혐기성 환경 하에서 퇴적이 이루어졌음을 지시한다. 이들 암층에 있어서의 유기탄소의 함량(0.81%에서 1.75%)은 석유근원 셰일의 평균치 정도로 나타났다. 식물화석은 흑색셰일과 사암에서 산출된다. Platanoid류 잎 화석의 산출은 이들 퇴적층이 Oishi의 피자식물 계열 지층에 해당하며 시대상 Aptian/Albian 또는 보다 신기 지층임을 시사한다.
        4,300원
        244.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화성군 남양지역과 안산시 탄도지역에 분포하는 두 퇴적분지는 백악기(80-90Ma) 퇴적분지로서 10개의 암상과 5개의 상조합으로 구분된다. 상조합 I은 괴상 역암상, 정상점이층리 역암상, 역점이층리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적선상지에서 암설류와 판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I는 괴상 이암상, 괴상 사암상, 엽층리 사암상, 괴상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적선상지와 망상평원 환경에서 판류와 부유 퇴적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II은 괴상 이암상, 엽층리 이암상, 괴상 사암상과 호층을 이루는 하도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범람원에서 홍수시에 부유 퇴적과 하도 메꿈작용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V는 괴상 역암상, 정상점이층리 역암상, 괴상 사암상, 정상점이층리 사암상, 엽층리 사암상, 호층을 이루는 이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상지 삼각주에서 암설류와 저탁류에 의해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V는 괴상 이암상, 엽층리 이암상, 엽층리 사암상, 호층을 이루는 괴상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수에서 부유 퇴적과 저밀도 저탁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남양분지에서 상조합 I은 분지의 동쪽과 남쪽 부분에 분포하며, 상조합 II는 남북의 대상 분포를 이루며 분지의 중앙부에 분포하고, 상조합 III은 분지의 서쪽부분에 분포한다. 탄도분지에서 상조합 II는 분지 동쪽 중앙부와 북서쪽에 분포하고, 상조합 IV는 분지 남서부에 그리고 상조합 V는 분지 중앙부에 분포한다. 상조합 대비는 남양분지에서 상조합 I과 II는 층서적으로 하부에 그리고 상조합 III은 상부에 분포하고, 탄도분지에서 상조합 II와 IV는 하부에 그리고 IV와 V는 상부에 분포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암상분포 양상은 남양분지는 처음에는 충적선상지와 충적선상지평원/망상평원이 교호하다가 범람원으로 발전하였으며, 탄도분지는 처음에는 선상지 삼각주와 충적평원/망상평원이 교호하며 발달했다가 나중에는 호수환경에서 발전한것으로 해석된다.
        5,500원
        245.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동남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관찰된 약진 또는 중진의 자료를 이영하여 이 지역의 Q값과 지진원의 특성인 모서리 주파수 (fc), 응력강하량(Δ\delta) 및 모멘크규모 (Mw)를 산정하였다. 가속도 스펙트럼의 경사와 관련된 x의 통계학적 분포로부터 추정한 Q의 95% 신뢰범위는 1656~2454 이다. 1998년 1월 18일 울산 앞바다 지진과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지진원 요소를 구한 결과 fc 는 각각 4.22Hz , 2.94Hz, Δ\delta는 각각 106.8 bar, 106.2 bar, Mw는 각각 3.9, 4.0으로 추정되었다. 제한된 자료수로 인하여 이들의 통계학적 성질을 충분히 규명하지는 못하였지만 다른 연구자들의 기존결과와 유사한 값을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진동 모사에 직접 이용이 가능하며, 이 지역에 위치한 원자력 발전소 내진 안전성 검토에도 이용될 수 있다.
        4,000원
        24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 생물지리학에서 평형설(equilibrium theory)은 섬의 면적과 본토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이입율과 절멸율의 작용에 의해 섬에 분포하고 있는 종 수가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한반도 부속도서에서 여러 생태학적인 요인들인 섬의 면적, 격리정도, 위도 및 섬의 최고 고도로 표시한 서식지 다양성과 나비의 종 수에 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71개의 섬에서 기록된 나비의 종 수와 이들 요인들 사이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4,000원
        24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동남부는 신생대 동안 동아시아 광역 지구조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복합 지구조운동을 겪었다. 취성변형요소들을 이용하여 복원한 고응력장은 ( I ) 북서-남동 횡인장, ( II ) 북서-남동 횡압축 ( III ) 북동-남서 순수인장 내지 방사상인장, ( IV ) 북북동-남남서 횡압축, ( V ) 동서 내지 동북동-서남서 횡압축의 순서이다. ( I )은 24-16 Ma사이 동해의 당겨열림형 확장의 결과로써 연구지역 제3기 분지들의 확장을 주도하였다. 지구조 사건 ( II )는 15 Ma경 필리핀해판의 이주보닌 아크 혹은 고대륙 쿠로시오와 일본 남서부의 충돌에 의한 압축력의 결과로써, 연구지역 제3기 분지들의 확장을 종결시켰으며 분지일원의 지괴들을 융기시켰다. 이 사건은 10 Ma까지 지속되었다. (III)은 10 Ma경에 이르러 필리핀해판의 활동이 소강상태에 들어감으로서 ( II )에 의해 발생한 지각융기의 후 지구조적 응력사건으로 해석된다. (IV)는 6 Ma경 필리핀해판이 북쪽으로 이동을 재개한 결과로서, 대한해협과 일본 남서부의 배후에 동서 방향의 압축구조를 만들었으며 연구지역의 지괴들을 다시 융기시켰다. ( V )는 5-3.5 Ma사이에 필리핀판의 북상에 의한 남북 압축력이 약해지고 태평양판의 섭입과 인도판의 충돌에 의한 동서 압축력의 영향이 점진적으로 증가한 결과로서, 한반도 동해안에 남북 방향의 압축구조를 만들었으며 한반도 동남부의 지괴들을 서쪽으로 충상시켰다. 이 응력장은 현재까지도 계속되어 오늘날 동서 방향의 제4기 충상단층들과 지진을 발생시키고 있다.
        5,500원
        248.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지진활동을 공간 통계학 방법을 이용하여 지진발생의 무작위성에 대한 검정과 집중도의 추정을 수행하였다. 무작위성에 대한 통계적 검정은 검정통계량을 이용한 방법과 경험분포를 이용한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역사지진과 계기지진의 두 대상자료에 대하여 적용한 결과, 두 자료 모두 무작위적이지 않고 군집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비모수 밀도함수 추정방법을 이용한 진앙지 분포의 집중도는 역사지진의 경우 한반도 중부, 충남, 전북, 경북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계기지진의 경우에는 황해도-충남 해안-경북 내륙을 연결하는 "L"자 형태의 집중도를 보인다.
        4,000원
        249.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의 지진동 감쇄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활용가능한 계기 지진 자료로부터 지진원 및 지반 매질의 특성을 추정하고 그 값을 입력 요소로써 사용하였다 확률진동이론에 의하여 최대 지반가속도 및 의사 속도 응답스펙트럼을 모사하여 이로부터 최대지반 가속도 및 의사 속도 응답스펙트럼에 대한 감쇄식을 지역규모 및 진원거리의 함수로 개발하였다
        4,000원
        250.
        1998.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04년 Herz에 의해 한반도에서 보고된 밤나방과 종들을 재정리하고, 수정한 학명의 종목록을 보고한다. 또한 그에 의해 오동정으로 발표되었던 종들에 대해 설명과 함께 재동정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일부 종의 모식표본 정리와 함께 종에 대한 Lectotype을 설정하였다. 두 종, striata Herz 와coreana Herz을 각각 Coryta grisea Leech와 Apopestes indica Moore의 synonym으로 정리하고, 몇몇 주요 종에 대해 성충으 사진과 수컷생식기를 도해하였다.
        5,200원
        251.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동해 남부 대륙붕에 분포하는 탄산질-쇄설성분 혼합 퇴적물에서 성분별 입도분석을 실시하여, 퇴적 환경 및 퇴적기작을 해석하였다. 쇄설성분은 평균입도가 중립사와 세립사 범위였으며, 분급이 양호한 단빈도 입도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들 쇄설 퇴적물은 해수면이 낮았던 지난 빙하기동안 해빈 퇴적환경에서 집적되었으며, 전형적인 잔류퇴적물로 해석된다. 패각류가 우세한 탄산질 성분은 거의 파쇄된 상태이며, 표면이 심하게 풍화되었다. 이들 패각도 빙하기동안 천해환경에서 서식하였던 잔류기원 패각편으로 해석된다. 한편 입도특성은 쇄설성 성분에 비하여 다소 조립하며, 분급도는 불량하였다. 이들 패각편 탄산질 성분은 집적된 이후 지속적인 파쇄 및 분급작용에 의해 입도분포의 특징이 조절된 것으로 해석된다.
        4,000원
        252.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와 그 접경지역에 분포하는 Harpalina아족 30종에 대해 그들의 분포, 분류학적 소고, 그리고 모시표본에 대한 정보등을 정리하였다. 이들 재료들은 과거 러시아인 Schmidt 씨(1950년), Borchsenius씨(1950년)등에 의해 한반도 전역에서 채집, 러시아과학원 동물연구소(St. Petersburg)와 생물토양연구소(Vladivostocle)에 보관된 것들과 북한인 주동열씨에 의해 북한에서 채집된 표본들이었다. 그들 중 5종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미기록종이었다.
        4,500원
        253.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웨덴 스톡홀름의 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된 표본을 재점검하여 F. Bryk (1948)에 의해 한국에서 기록된 대부분 종들의 모식표본을 점겸한 결과를 보고한다. Bryk에 의해 제안된 각종, 아종, 개별형의 학명올 알파벳순으로 전체 목록화하고 그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모식표본에 대한 제정보를 정리하였으며, 확인된 정확한 종명을 제시하였다. Bryk는 한국산 밤나방에 대해 5속,20종,75아종,5형(from) 등을 기재, 발표하였는데, 그중 9종만 현재 유효한 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다른 대부분의 명칭은 분류학적 위치를 바꾸어야 한다. 새로운 이명과 분류학적 변경은 아래와 같다. Euxoa intracta kurilintracta Bryk, 1948은 Euxoa sibirica (Boisduval, 1832)의 syn. n. Euxoa oberthuri nominata Bryk, 1948은 Euxoa subconspicua (Staudinger, 1881)의 syn. n. Diarsia exusta nolimetangere Bryk, 1948은 Sineugraphe bipartita Graeser, [1889] 1888의 syn. Gelastocera ochroleucana f. designata Bryk, 1948은 Gelastocera exusta Butler, 1877의 syn. n. Moma kolthoffi Bryk, 1948 stat. n., comb. n Moma fuluicollis (Lattin, 1949)은 Moma kolthoffi Bryk, 1948의 syn. n. Moma ludifera azugensis Bryk, 1948은 Trichosea ludifica (Unnaeus, 1758)의 syn. n. Acronicta alni korealni Bryk, 1948은 Acronicta alni (Unnaeus, 1758)의 syn. n. Hydrillodes obscurans Bryk, 1948은 Hydrillodes morosa (Butler, 1879)의 syn.n. Mythimna turca matsumuriana Bryk, 1948은 Mythimna turca (Unnaeus, 1758)의 syn. n. Mythimna monticola Sugi, 1981, stat. ress., bona species Cosmia fuluago korecosmia Bryk, 1948은 Xanthia icteritia (Hufnagel, 1766)의 syn. n. Euplexia koreaplexia Bryk, 1948, stat. ress., bona species Euplexia uinacea Sugi, 1982은 Euplexia koreaplexia Bryk, 1948의 syn. n. Oligia arcta tegulalis Bryk, 1948은 Eucarta fasciata (Butler, 1878)의 syn. n. D Dadaica differentiata Bryk, 1948은 Athetis albisignata (Oberthiir, 1879)의 syn. n. Virgo uernalis Bryk, 1948은 Virgo datanidia (Butler, 1885)의 syn. n. Zanelognatha triplex koreognatha Bryk, 1948은 Zanelognatha leechi (South, 1879)의 syn. n. 또한 Poole(1989)의 “Catalogue of the World Noctiuidae"에 대해 몇가지를 정정하였다.
        6,400원
        254.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reviously unreported sedimentary complex has recently been discovered in the northern part of Choˇnsu Bay. It overlies both unconformably the Precambrian low-grade metamorphosed sedimentary sequence(Taean Formation) and the Jurassic biotite granite. The sedimentary complex is proposed to be designated as Choˇnsuman Formation. The Formation is composed of conglomerate, tuff, basalt, tuffbreccia, and shale. It is distributed in the northwest and northeast coasts of Choˇnsu Bay and in the Chukdo. Age of the Formation seems to be of late Mesozoic. The Choˇnsu sedimatary basin is considered to be originated by block faulting presumably during the Cretaceous, as suggested by the development of N-S trending structural lineation in the study area and its vicinity. The Chonsuman Formation seems to be formed by sedimantation in close association with block faulting and volcanic activities nearby. Sedimentation is thought to be developed from west to east in the basin.
        4,500원
        255.
        199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has been a tremendous expansion in the use of paleomagnetic methods to detect and measure the relative movement of different tectonic units on both a global and subcontinental scale, and consequently the fifth earth science curriculum which starts from 1990 emphasizes more on paleomagnetism than that of the previous. And earth science teachers will, therefore, need materials to teach the students paleomagnetism or plate tectonics. This paper was written to fulfill such a requirement by offering earth science teachers the basic principles and methods of paleomagnetism and paleomagnetic data of Korea.
        4,000원
        256.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cold-air outbreaks, one occurs in cold winter(1985-86) and the other in warm winter(1986-87) over Korea, are studied to represent maps of means, standard deviations maps and one-point correlation maps based on 1000mb and 500mb height fluctuations with different time scales during the cold-surge events. The filters are designed to isolate fluctuations with long time scales(periods longer than 70 days), intermediate time scales(10-70 day periods), short time scales(periods shorter than 10 days). The height fluctuations with long time scales are very similar to the climatological distributions of the wintertime geopotential height. In case of the intermediate time scales, the fluctuation fields reveal the long-wave patterns composed of 3-4 troughs and ridges around the midlatitude belt, in which trough along the East Asia coast and ridge over the Central Siberia and North Pacific are prominent and nearly stationary during the coldJsurge events. For short time scales, the dominent patterns consist of very short wave trains(wavelength 3000-4000㎞) which propagate sortheastward with a phase speed of 8-10 lat./days from the Barents Sea, through Northeast Siberia, toward Korea. The surface temperature fluctuations with small amplitude during the cold-surge events are coincident with this short wave trains passing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4,300원
        257.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flection of the vertical and the geoid heigh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were computed from gravity anomalies by the application of the Fourier and Bessel-Fourier series. The deflection of the vertical computed from free-air anomaly has highest values of 7∼8$quot; around the central part of the Taebaek and Sobaek Mountains. The general direction appears to be nearly perpendicular to the NNE-SSW direction of the general tectonic structure of the peninsular. The geoid height increases to the south-east direction and the difference on the peninsular is about 3 m. The undulation of the Bouguer geoid appears to be correlated with the crustal thickness, having highest values on the eastern and southern coasts. The geoid height computed by using the geopotential coefficients up to the 16th order obtained from the spherical harmonic analysis of the satellite data shows similar trend of increase but much higher value than that of free-air geoid.
        4,000원
        258.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strumental earthquakes data during 1905∼1982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nnual average frequency is 5.7 events and the return period for all events is 0.18 year. In the pattern of annual frequency, the recent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has tended to increase since 1975. Most earthquaked occurred in the southern and western part of the peninsula, and along the major geologic structure lines such as faults, fault lineaments and fold belts, especially in the NE-SW strike structure lines. Many earthquakes occurred at places where the Bouguer gravity anomaly is positive, especially in the high anomaly gradient considered as rock boundary. Over half (51.4%) of all events in land occurred in the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which are granti-gneiss and crystalline schist system. And a tentative seismic zoning map is presented.
        4,600원
        260.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mproved the water-based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in Atmospheric Research Aircraft NARA and investigated the condensation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Pump and set point information were changed to improve the instrument used by aircraft for observation. Ground-based observational result showed that the error between two instruments, which are water-based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and butanol-based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was 4.7%. Aerial observational result revealed that the number concentration before improvement indicate large variation with unstable condition, whereas the number concentration after improvement indicate a reasonable variation. After improvement, the number concentration was 706±499 particle/㎤ in the West Sea and 257±80 particle/㎤ in Gangwon-do, and these are similar to the concentration range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Notably,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use aerial observation with water-based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to investigate condensation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