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의 비정상 상태 흐름을 해석하기 위하여 파속조절법을 이용하여 관망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특성선법을 이용한 실제 상수관망에서의 부정류 해석시 다양한 경계조건의 존재로 인해 해석과정이 매우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선법 해석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게 경계조건을 처리할 수 있는 기법을 도입하였고 외부 유출 유량을 직접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유도된 방정식을 이용하여 수격해석 모형을 개발하였으
Biogenic amine 류에는 catecholamine, indoleamine 그리고 histamine이 있으며, 동물의 다양한 생리 현상과 행동양식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중 indoleamine 류인 세로토닌(serotonin혹은 5-hydroxytryptamine, 5-HT)의 경우 최근 들어 그 수용체 아형의 유전자 규명과 발현 조절, 중추신경계 및 표적 기관에서의 역할, 특히 항우울 효과와 같이 행동 및 심리적인 영향 등에 대해
방해석 결정 성장시 나타나는 미량금속 양이온의 분배현상을 표면침전 및 연속 결정 성장과정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A, B, C 유형의 순수한 방해석이 각각 3가지 다른 초기 농도 즉 0.02, 0.2, 0.4M의 CaCl2.2H2O로부터 형성되었으며 이들의 표면 형태는 합성용액의 조성과 성장 속도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B 유형이 표면형태가 좀더 복잡하지만 A, B 유형은 대체로 단순한1014면을 가진 방해석과 유사한 표면형태를 보여준다. 이에 반해 C 유형에서는 0112면이 주로관찰되었다. 순수한 방해석 위에 (Ca, Me)CO3층의 대해 1014면 3 방향에 대한 전자현미분석 결과 금속이온의 특징적인 분배현상을 알수 있었다. Mn2+ /과 Co2+ 는 0112 에 수직으로 반면 Sr2+ /는 1014에 수직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분배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합성 방해석 표면 형태에 따른 금속 이온들의 분배 친화도를 Mn2+ 이 C 유형〉B 유형 〉A 유형 그리고 Co2+ 은 B 유형 〉A 유형 〉C 유형이다. 이들중 Sr2+는 특히 1014면이 잘발달된 A유형에 더 많은 친화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Hyang-Soo Kim. 2000. Rule Precursor and Phonological Change in Direction: An analysis of syneresis and metathesis of h in Greek, Sanskrit and Germanic. Studies en Modern Grammar 22, 159-172. In this paper phonolog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ransfer of h a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raditional laws in Indo-European languages: Grassmann`s Law, Bartholomae`s Law, and Grimm`s Law. It is shown that when properly interpreted in relation to a phonological process such as syneresis, the various examples of h-metathesis in Greek, Sanskrit, and Germanic reveal a change in direction of a phonological rule. It is argued that syneresis, which applies both in Sanskrit and Germanic albeit in different direction, serves as the precursor to the later rule of h-metathesis, which also exhibits the same phonological change in direction.
본 연구에서는 식생된 개수로에서의 난류 구조와 부유사 이동을 수치모의하였다. 난류폐합식으로는 난류모형을 사용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해 평균유속, 난류강도, 레이놀즈 응력, 난류에너지 생성 및 소멸의 분포를 계산하였으며,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식생에 의한 항력으로 인하여 평균유속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이에 따라 난류강도와 레이놀즈 응력의 분포 역시 약화되었다. 침수식생의 경우, 식생높이보다 높은 구간에서는 전단에 의한 난류에너지 생성이 지배
Oh, Myung-Ki. 2000. A Pragmatic Analysis of Metalinguistic Negation Phenomena. Studies in Modern Grammar 19, 171-190.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how that metalinguistic negation connected with denying the appropriateness of a means of expression does not operate upon the semantic content of the sentence, but upon the manner in which the sentence is expressed. We will prove,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well-known thirteen utterances, that this negation can indeed operate on any aspect of the utterances and on a conversational implicature as well. In order to understand the notion of metalinguistic negation, we`ll discuss the two distinctions that can be made regarding the use of negation, namely descriptive vs. metalinguistic negation and initiative vs. reactive negation, in the sense of Horn (1985, 1989) and Foolen (1991),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two distinctions regarding the two uses of `not`, we will argue that the material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metalinguistic negation is `mentioned` rather than `used`. And we`ll also argue that the metalinguistic negation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ar operators such as `three`/`four` and `some`/`all` is acting on a conversational implicature associated with the pragmatic aspects.
Kim, Seon-Jung. 1999. The Notion of Adjacency and Korean Phonological Phenomena. Studies in Modern Grammar 18, 91-109. In this paper I discuss adjacency and its role in Korean Phonology, focusing on umlaut and some related processes. In the previous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latalisation and umlaut has not been treated. However, blocking of umlaut before a palatal or palatalised consonant can be explained by the notion of adjacency. When the element I spreads to the preceding onset, it is not able to spread again to the preceding nucleus. But in the case that the preceding onset cannot accept the element I, then umlaut happens. Because of the notion of adjacency, umlaut does not take place when two consonants intervene the two vowels. However, when the two consonants turn to a single consonant through a phonological process such as aspiration and so-called place assimilation, umlaut takes plac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paper is Government Phonology, proposed by Kaye, Lowenstamm & Vergnau d (1985, 1990), Charette and Kaye (1994).
생쥐 초기 배아의 형태형성에 영향을 주는 세포질내 인자의 기원과 작용기작을 연구하기 위해 단백질 합성과 단백질 활성화 효소 (protein kinase)의 억제제를 처리한 배아의 세포질로 재조합된 배아에서 발생과 RNA합성, 단백질 인산화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합성 억제제인 cycloheximide (CHX)가 함유된 배양액에서 24시간 배양한 1-세포 배아의 제핵된 세포질을 두 개의 전핵을 모두 가진 절반의 1-세포 배아와 재조합한 P+P-CHX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