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hairy vetch instead of duck-releasing in a large scale of duck-releasing cultiv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ed; Cultivation of hairy vetch, a green manure crop, for the winter season seemed to be a possible natural fertilizer to supply crop mineral nutrients. Application of hairy vetch residues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was possible to assure better productivity of agricultural products. Introduction of hairy vetch into a large scale of duck-releasing cultivation reduced the pollution of agricultural water.
본 연구의 목적은 상해 후 신체적 재활을 마치고 스포츠 팀에 복귀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양식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재활 병원에서 신체적 재활이 완료되어 스포츠 현장으로 복귀하는 단체종목 남자선수 72명이다. 자료는 아이젱크 성격검사지와 스트레스 대처 검사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향성은 지원추구, 문제해결, 현실인정, 외면(부인)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병적 경향성은 문제해결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경증적 경향성은 지원추구, 문제해결, 현실인정, 외면(부인)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적용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Presently, aquatic plants are used for the water purification in inland wat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ater purification effect of aquatic plants, Oenanthe javanica and Typha angustat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utdoor flowing water was conducted for ten days. Water quality was measured in terms of water temperature, COD(chemical oxygen demand), SS(suspended solids), Total N, Total P.
The results of field experimentation showed that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the earliest in July and August 2003, and there were not any particular changes of monthly water temperature in inflow water and outflow water. As we look at the changes taken place in inflow water and outflow water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 period, the change of water quality in summer was salient, especially SS removal ratio showed distinguished change as 25%, when the pebble filter and aquatic were attached to it. The removal rate of COD, total N total P were 14.7%, 8% and 9%, respectively. In relating the length of water extension to the change in water quality, the water quality tended to get lower generally in proportion to hydraulic retention time.
본 연구에서는 우수유출저감시설 중 침투형 집수정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성남, 오산, 청주지역에 설치된 시범시설에서 실시간으로 현장계측을 수행하고 이들 자료를 분석하여 그 효과를 정량화하였다. 현장 강우자료와 수위 자료를 토대로 자 지점에 설치된 일반집수정과 침투집수정에서의 강우량에 따른 유출량을 비교하여 유출저감율과 첨두유량저감율을 총강우량, 평균10분강우강도, 최대10분강우강도에 따라서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각 지점의 현장자료를 통하여 침투집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