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13

        1282.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겨울철 오이 시설재배에서 태양열 시스템을 이용한 지중가온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지중 40 cm에 15 mm의 PPC파이프를 130 cm이랑 에 4열 매설한 후 지중 20 cm의 지온을 22~23℃로 설정한 후 1996년 11월 7일부터 1997년 1월 30일까지 일정한 온도로 유지, 관리하여 무가온구와 가온구의 지상부, 지하부 및 수량을 비교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중가온에 의한 지온확보는 가온구는 15~20 cm에서 22℃ 정도의 평균온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무가온구는 평균 17~18℃ 정도였다 2) 정식 30일 정도에서 초기생육은 가온구가 초장, 경경, 엽수, 엽면적 등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초장 27%, 엽수 51%, 엽면적은 150% 정도 증가하였다. 또 지상부 평균 증가율도 관행대비 가온구 증가율이 117% 정도였다. 3) 가온구의 지하부 뿌리의 생장성이 관행구에 비하여 평균 56% 정도 증가하였다 4) 과수의 수량면에서도 총과수가 무가온구 313개, 가온구 614개로 가온구가 196% 정도 증수되었다.
        4,000원
        1283.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양열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자동화 장치의 개발을 목표로 지중가온의 온도변화 특성을 실험.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월 13일의 1일 하우스 내기온이 주야간에 24℃의 차이가 있으며, 무가온시 지온변화는 지중 10 m 부근에서 6℃, 지중 20 cm 부근에서는 3℃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20시경에 내기온과 지온차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중 20 cm 부근의 온도변화는 내기온이 가장 낮은 오전 7시부터 약 3시간이 경과된 오전 10시에 최저가 되었다 3) 가온수의 온도를 40℃, 50℃, 60℃로 변화하였을 때 지중 10 cm의 최저은도는 약 20℃ 지중 20 cm의 최저온도는 약 23℃로 나타나 가온온도가 40℃ 이상일 경우 가온온도에 따른 지중 10~20 cm사이의 온도차는 매우 작았다. 4) 지중 15~20 cm의 지온이 20℃가 되기 위해서는 가온수의 온도를 4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여야한다. 5) 가온수의 온도가 40℃, 50℃, 60℃이고 파이프 매설 깊이가 12 m일 경우 유입구와 유출구의 1일 평균온도차는 40℃일 경우 3.5℃ 50℃일 경우 4.4℃, 60℃일 경우 5.4℃정도로 이 구간에서 온도변화식은 T = 0.09591T+2.5451(R2= 0.9966)로 거의 선형적으로 변화하였다. 6) 가온수 온도가 40℃의 경우 지중 15~20 cm, 50℃의 경우는 지중 13~19 cm, 60℃의 경우는 12~17 cm 부근이 경계영역으로 판단되었다. 7) 재배기간중 하우스 내기온을 11℃ 이상으로 유지하고, 가온수의 온도를 28℃로 순환 결과 지중 15 cm 이하에서 최저지온를 2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저온수공급에 의한 온도상승효과가 뚜렷이 나타났다. 8) 가온수의 온도를 28℃로 하여 지중가온 한 결과 지중 15~20 cm사이에 온도변화는 무가온구에 비하여 공히 4℃~7℃가 상승되었다.
        4,000원
        1291.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w toxic concentrated oil dispersant using n-Paraffin and Di(ethylene glycol)mono butylether mixed solvent was prepared, and tested by oil dispersant performance test method, and oil dispersant efficiency was measured using vertical shaking method to 3 kinds of Crude oil, Bunker oil and W/O emulsions with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by appling the prepared dispersant. Although toxicity test was performed with Flat fish and Rock fish by appling the mixed oils emulsified using prepared oil dispersant, couldn't find the toxicity to them. Concentrated oil dispersant prepared has a good dispersion efficiency of 97.2% after 0.5min settling time and 28.3% after 10min settling time to Bunker B oil with 10% water solution. Especially, the concentrated oil dispersant showing the low toxicity to Oryzias Latipes(24hr, TLm) was 54,000 ppm and to Brine Shrimp Artemia(24hr, TLm) was 51,000ppm, and also, it was completely biodegradated to 99.1% after 7~8days.
        4,000원
        1292.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on efficiency and disease of Holstein heifer grazed on mixed pasture desighed with association of tall fescue and white clover cultivar (3 treatments = TI : Tall fescue Fawn + White clover Regal + Or
        4,000원
        1294.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1295.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점탄성 감쇠기가 설치된 고층건물의 효율적인 동적 해석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점탄성 감소기가 건물의 진동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점타성 감쇠기가 설치된 건물의 동적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적절한 해석방법이 필요하다. 해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강막가정과 행렬의 응축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점탄성 감쇠가가 설치된 건물은 강막가정을 고려한 행렬의 응축기법을 쉽게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제안된 해석방법에 감쇠행렬의 새로운 응축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예제 건물의 해석을 통하여 해석방법의 정확한 효율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4,000원
        1297.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대형구조물에서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와 관련하여 구조물이 국부손상도를 추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부분구조추정(Substructural Identification) 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부분구조 추정법을 위한 모형식을 설정하기 위하여 운동방정식으로부터 부분구조에 대한 계측오차를 처리하기 위한 모형을 포함한 추계론적 자동회귀-이동평균(ARAMX) 모형식을 유도하였다. 추정된 모형식의 계수는 유도된 관계식을 이용하면, 구조손상 평가에 이용될 수 있는 강성행렬로 환산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유도된 부분구조 추정법의 가장 큰 장점은 매우 안정되고 정확도가 우수한 구조추정법인 ARMAX 모형식에 기반한 순차적 예측오차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방법에 비해 추정의 안정성 및 정확도가 뛰어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개발된 부분구조 추정법을 이용하여 구조 손상도 추정이 수행되었다. 손상도 추정을 위하여 앞서 순차적 예측오차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구조계 현상태의 강성행렬을 바탕으로, 최소지승법을 이용하여 구하는 간접법이 제시되었다. 제시된 방법들의 검증을 위하여 예제해석이 수행되었다. 트러스 및 연속교 모형 그리고 실험적 예제에 적용하여 구조의 강성행렬 및 감쇠행렬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손상도 추정방법이 검증되었다. 해석결과로부터, 개발된 방법이 효율적이고 정확도 및 안정성의 측면에서 우수한 성질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800원
        1298.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상복합건물의 강체거동을 보이는 연결층은 인접한 층에 비해 큰 질량과 강성차에 의해서 수치해석상의 문제점을 일으킨다. 강체거동을 보이는 구조물의 정적해석은 상부와 하부구조물을 별개의 구조물로 보고 2단계에 걸쳐서 근사적으로 수행될수 있지만, 동적해석은 구조물을 분리해서 행해질 수 없다. 이러한 주상복합건물의 동적해석을 위한 효율적인 모형화기법이 본 연구에서 제시된다. 자유도수를 줄여서 컴퓨터해석시간을 대폭 감소시키는 행렬의 응축기법과 연결층을 모형화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보요소에 강체가 연결된 요소를 도입한다. 제안된 모형화기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몇가지 구조해석을 한다.
        4,000원
        1300.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 vitro production of embryos with follicular oocytes in Korean Native cows, the recovery rates,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and the time required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oocytes by aspiration with or without slicing were evaluated comparatively. The ovaries were obtained from a local abattoir and placed in physiological saline at 25~28 and brought to the laboratory within 3 hrs. The oocytes were collected by aspiration of follicles(2~6mm) with or without slicing ovaries after aspiration, and classified into Grade I, Grade II, Denuded, Expanded oocytes by the morphology of cumulus cells attached and the homogeneity of cytoplasmic granules. Also the time required for each step of collecting and processing oocytes were measured. The cumulus cells were removed in some Grade I oocytes to measure their size and nuclear configuration before and after in vitro maturation. The Grade I oocytes were matured in vitro(IVM) for 24 hrs. in TGM-199 supplemented with 35g /ml FSH, 10g /ml LH, 1 g /ml at 39 under 5% C02 in air. They were fertilized in vitro(IVF) by epididymal spermatozoa treated with heparin for 24hrs. and then the zygotes were cocultured in vitro (IVC) with bovine oviductal epithelial cells for 10 day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oocytes recovered per ovary was averaged 6.6 by aspiration and 11.2 by slicing post aspiration, which summed to 17.8. The number of Grade I oocytes recovered per ovary was averaged 3.1 by aspiration and 3.6 by slicing, which summed to 6.7. The percentage of Grade I to total oocytes recovered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as 48.0 % in aspiration than 31.6% in slicing post aspiration. The time requlred for recovering a Grade I oocyte by aspiration and slicing was 1.1 and 2.5 min, respectively. The mean diameter of Grade I oocytes by aspiration and slicing was similar as 148.7 and 151.5m,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Metaphase II stage oocytes after IVM for 24 hours was significantly (P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