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feed conditions on growth, cast production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to the earthworm. The experiment was tested on cow manure(CM) mixed with rice hulls (RH) or rice straw(RS). The mixture ratios were designed as one time, two times and three times of cow manure volume, respectively. The CM and RH mixtures resulted better on growth rate, reproductive efficiency and wormcast production than those for CM and RS mixtures. Especially on three times of RH mixture showed the highest growth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other mixtures. Although both were between 20 and 34 on carbon and nitrogen ratio, the result inferred that the difference on the growth might have been caused by feeding conditions. On the mixtures of cow manure with rice hulls(CM+RH) was significantly higher on values on the conversion rate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to earthworm tissues than the mixtures of cow manure with rice straw(CM+RS). The most concerned point of the mixture of earthworm feed is that high contents of volatile solid and total carbon that increases in conversion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to earthworm tissues, and also causes the increase in growth rate and reproductive efficiency. The wormcas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plant growth medium or soil conditioner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nd it may be due to their high qualiti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 efficient transformation method for soybean [Glycine max (L.) Merr.] using meristematic tissues of germinating seeds has been established. The embryonic axes were excised from germinating seeds of Korean soybean cultivar, Iksannamulkong and 0.5-2 cm long segment containing meristematic tissues were prepared by cutting hypocotyl region. The explants were inoculated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LBA4404 harboring a binary vector with the bar gene as a selectable marker gene and a β-glucuronidase (GUSINT) reporter gene, and then co-cultured for 7 days on co-cultivation medium (CCM). The meristematic tissues were cultured on shoot induction medium (SIMP6) supplemented with 0.4 mg/l N6-benzylaminopurine (BAP) and 0.1 mg/l indolebutyric acid (IBA) in the presence of 6 mg/l L-phosphinotricin (PPT) for 2 weeks and the surviving explants were transferred to shoot elongation medium (SEMP6). Transformation was confirmed by Southern blot analysis and the transformation efficiencies ranged from 1.48 to 2.07%. The new modified transformation method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for obtaining several transgenic lines with SMV-CP gene.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could efficiently be used for the transformation of recalcitrant soybean cultivars.
이 연구는 선수의 경기력에 많은 영향을 주는 지도자의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에 대해 접근하여 개인과 상황별 상호작용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선수들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만족도를 더해 줌으로써 훌륭한 지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아마추어 골프 선수들이 인지하는 지도자의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골프지도방안에 관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인 지역에 소재한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 지도자에게 강습을 받으면서 아마추어 대회에 참가하고 있는 골프 선수 270명에게 지도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마추어 골프 선수의 배경변인인 핸디캡, 강습비용, 지도자의 자격 요인은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골프 지도자의 행동유형과 지도효율성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핸디캡, 강습비용, 지도자의 자격 요인을 공변인으로 적용시켜 분석한 결과, 지도효율성의 기능향상과 지도만족에는 훈련 및 지시행동과 사회적 지지행동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마추어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훈련 및 지시행동과 사회적 지지행동이 강한 지도자를 선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임의적으로 움직이고 미리 정해진 위치가 없는 보이드들의 효율적인 무리짓기 대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하나의 보이드에 대하여 근사적으로 kNN을 찾고 행위특성의 값을 계산함으로써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공간 분할 알고리즘을 개선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보이드들의 한 그룹에 대하여 평균 방향과 위치를 갖는 대표 보이드를 정의하여 사용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구현되었으며 기존의 알고리즘과 실험적으로 비교되었다. 실험적 비교 결과로부터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하여 초당 렌더링 프레임 수 관점에서 약 -5~130%까지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렌더링을 위해 물체를 구좌표계(sperical coordinate system) 상에서 표현하는 새로운 렌더링 알고리즘이 제안된다. 먼저 직교 좌표로 표현되어 있는 물체의 정점을 구좌표로 변환하고, 카메라의 가시 절두체(frustum) 영역 내의 정점을 판단하기 위해 삼각형의 무게중심, 색인(index), 메모리 접근(access) 맵 등의 자료구조를 구성한다. 제안된 방법은 카메라에 의해 보여지는 영역, 즉 렌더링되는 물체의 가시 영역에 해당하는 정점만으로 렌더링한다. 따라서 렌더링 파이프라인에서 고려되는 정점의 개수를 크게 줄여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수자원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 마련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제조업체에서 투입요소로 사용하고 있는 공업용수의 기술적 효율성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포락분석(DEA:Data Envelopment Analysis)기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의하면 공업용수의 기술적 효율성은 전 산업 평균이 0.407로 추정되어 모든 투입요소가 가변적인 경우의 연구 사례에 비하여 낮은 추정치를 보여준다. 이는 공업용수에 대한 비용이 다른 투입요소
최근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추세와 항만간의 경쟁 가속화로 인해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적 운영과 생산성 향상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YT를 이용한 이송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터미널의 경우 AGV(Automated Guided Vehicle)를 이용하고 있는 자동화터미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성 및 운용효율성 측면에서 불리한 것이 사실이다. 최근 10여 년간 이와 같은 YT운용의 비효율성을 보완하기 위해 YT Pooling Operation 도입과 같은 노력이 계속되어 왔으나 개별 YT의 위치인식기능부재로 인한 제약으로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YT Pooling Operation의 제약사항을 해결하는 새로운 개념의 YT Dynamic Operation 모델을 세안한다.
게임엔진은 게임제작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은 라이브러리나 모듈형태로 구현되어진다. 고비용이 발생되는 게임제작의 효율화를 위해 사용되어지는 게임엔진은 얼마나 효율적인 성능을 제고하는 가에 따라 게임개발의 여러 가지 요소에 맡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게임수행 중 빈번히 발생하는 메시지 관리기법은 처리속도 및 기능 그리고 시스템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게임엔진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게임엔진에 루아 스크립트를 사용한 효율적인 메시지관리기법을 제안하고, 이 기법을 적용한 오투 엔진을 자체 개발하여, 제안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성능분석을 통하여 효율성을 보였다.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was applied to operating parameters and removal efficiency data sets obtained from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lant during 1 year. Through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derived varimax rotation were selected each plant. Three components explained 96%, 87%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process, respectively. The components on A2O plant we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order:1) Shortening the SRT during high-flow period, 2) Keeping biomass high on winter 3) factor was related to DO. On DNR plant, we defined them as follows: factor 1, Prolonged the SRT during high-flow period; factor 2 was related to sludge return; factor 3, Influent BOD during low-DO period. This technique was believed to assist operators in identifying priorities to improve operation efficiency.
이산화염소수 발생 최적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생성원료인 농도(0.01-0.1%)와 gas 투입량(100-1,000 g/hr)에 따른 chlorite, chlorate, FAC 및 chlorine dioxide의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Chlorate, FAC 및 chloride dioxide 생성량은 및 투입량이 증가할 수록 생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염소수 최적 생성조건은 0.1% , 900 g/hr gas 농도였으며 발
본 연구에서는 벼멸구 저항성 개통 육성과정 중에 수행한 PS와 MAS system간의 선발 효율을 정확성, 소요시간, 소요비용 등의 요인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MAS system의 선발 효율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MAS system을 구축하고 실용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DNA marker를 이용하여 벼멸구 저항성 개체를 선발하고 MAS 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삼강/낙동’ 조합의 F2집단, RIL(F6), DH집단, 여교잡집단(BC6F5)을 대상으로 PS와 marker 검정을 병행하여 두 검정 방법 간에 각 잡종집단 및 세대별 저항성과 감수성 계통(개체)의 비율을 비교한 바 95%이상 일치하였다. MAS 체제와 PS간의 선발효율을 비교한 바 MAS는 PS에 비해 약 32%의 비용이 절감되었고, 검정에 소요되는 기간도 기존의 PS에서는 30일인데 비해 MAS에서는 7일로 크게 단축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MAS에 의한 벼멸구 저항성 계통 선발 체계를 확립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