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한국코치협회 소속 코치들을 중심으로 국내 코치 활동과 관련 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코치들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한국코치협회 소속 코치 63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을 진행하고,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총 61개의 문항 중 44개의 문항을 중심으 로 분석을 하였으며, 국내 코치들의 일반 활동 현황분석, 코칭 비용과 수입, 코치 의 코칭 역량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코치들은 경영 학과, 심리학, 코칭학을 전공한 석사 졸업자가 가장 많았고, 코치들의 활동 지역 은 주로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었다. 코칭 비용에 있어서는 회기당 현재 받는 코칭 비용과 받고 싶은 코칭 비용 수준이 서로 달랐으며, 코칭 경력, 소속, 직업 별, 코칭 비용과 수입, 코칭 시간에 있어서 코치 자격별 차이가 있었다. 전업 코 치로 활동하는데 가장 장애가 되는 요소는 고객이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했 다. 코칭 역량과 관련하여 코치의 전문성을 강조하였으며, 경청하기를 주요 기 술이라고 했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직업인으로서 코치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 을 제시했고, 코칭 관련 시사점, 한계점, 기대사항 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
최근 수십 년간 전 세계는 경제발전과 수송수단의 향상으로 다양한 외래종이 침입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외국산 농산물의 수입요구는 외 래종의 침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이렇게 침입한 외래종은 국내 생물상의 교란을 야기한다. 식물검역의 목적은 외래해충으로부터 국내 농업환경 및 생태계를 보호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병해충정보시스템에 기록된 자료를 통해 1996년부터 2020년까지 수입절화류 에서 발견한 해충 검출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 기간동안 총 69개국 159품목 147,160개에서 검출된 해충은 13,757건의 467종 (잠정규제해충 273 종, 관리해충 78종, 비검역해충 118종)이었다. 특히, 총채벌레목과 매미목 해충의 검출율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여 수입 절화류에서 가장 많 이 발견되는 해충분류군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선교신학회의 역사는 공식적으로 1991년에 준비모임 후 1992년에 창립되었다. 학회 연도 구성은 두 단계로, 1991-2000년까 지 태동과 준비기, 2001-2022년까지 도약과 안정 그리고 학회의 세계화 현장으로 정리된다. 외형적으로는 첫째, 학회 내실 있게 한 시기로, 회원증가, 논문발표, 회원들의 저술 활동 나아가 교재 개발이 있었다. 둘째, 연합활동으로는 국내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와 해외 선교단체들과 연대 학술대회, 특히 세계선교학회(IAMS)와의 교류이 다. 내형적으로는 「선교신학」 학술지 특집 발간으로 학회의 전문화, 등재학술지로 확대, 그리고 다양한 학술대회 등이 연 4회 이상 전문화와 특성화를 갖춰 개최되었다. 앞으로 한국선교신학회는 선교의 무수한 외형적 변화와 선교 본질의 내부적 단결과 단합으로 복음이라는 울타리 를 넘어 증거하며, 본질적 선교의 사명이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확증해 가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피로회복 간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중재의 근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제16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청소년 54,948명이다. 연구변수 간의 관계는 상관분석, 요인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피로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불안을 경유하여 피로회복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매개변인인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피로회복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또한 불안은 스마트폰 과의존과 피로회복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을 대상으로 피로회복 을 향상하기 위해 불안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 and 10-year risk for CHD predicted from Framingham risk score in Korean adul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0. Eight thousand subjects (3,382 men and 4,618 women) aged 30 years or older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10-year CHD risk (%). The sociodemographics, anthropometrics indices, blood profiles, and dietary intake were collected.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the mean adequacy ratio (MAR) decreased for both men and women as the disease risk increased. The high–risk group was below the MAR criteria, indicating that the overall quality of the meal was not good. The highest consumers of legumes (OR 0.56, 95% CI 0.37-0.84), fruits (OR 0.67, 95% CI 0.48-0.93), and fish (OR 0.60, 95% CI 0.42-0.87) had a 44%, 33%, and 40% lower 10-year CHD risk than lowest consumers in men, respectively. In women,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ood groups and disease risk. Therefore, improving lifestyle habits such as weight control, increased activity, and adequate food intake, especially legumes, fruits, and fish rich in antioxidant nutrients and bioactive substances, appears to have a potential association with preventing coronary heart disease in Korean adults.
Biofilms are complexly structured communities of microorganisms composed of surface-attached microorganisms, where their effects on the host have been controversia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biofilm-forming capacity of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LRH020 (DSM25568) by detecting genes known to promote biofilm formation. It was shown that the aggregation substance gene (asa 1) was presented in the LRH020 strai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henotypic activities of the gene asa1 via two methods: biofilm formation and autoaggregation activity. It was shown that the strain LRH020 had significantly less ability to form biofilm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strain Enterococcus faecalis ATCC 19433. Furthermore, LRH020 exhibited biofilm-forming activity comparable to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GG (LGG), widely used probiotics. The auto-aggregation activity of LRH020 was also within the safe range similar to that of LGG.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both biofilmforming and auto-aggregation activities of the LRH020 are comparable to one of the most studied probiotics strains, LG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