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0

        41.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주요 한국교회 내 탈북민 부서의 현황을 조사하고 선교적 교회론과 접촉 가설을 바탕으로 향후 탈북민 부서 사역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례연구로 총 일곱 개 교회의 탈북민 부서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탈북민 부서 사역의 쟁점으로는 탈북 민의 호칭과 탈북민의 정체성, 탈북민 부서의 예배 방식, 탈북민에 대한 재정 지원의 문제 등이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한국교회 내 탈북민 부서 사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교회의 탈북민 부서 사역은 교회 내에서 북한과 통일에 관심 있는 몇몇 사람들의 특수한 봉사 영역으로만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전체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과 긴밀히 연결되어야 함을 밝혔다. 또한 교회 내의 탈북민 부서 사역이 탈북민에 대한 이해와 접촉 경험을 늘리는 통로가 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외에도 탈북민 성도가 복음 으로 신앙을 가지게 될 때 궁극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사실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교회 내의 탈북민 부서가 탈북민 리더십을 세워가는 공간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7,700원
        42.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그동안 진행되어왔던 중등학교의 원격 수업이 한문 교과 의 수업에 던진 과제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한문 교과 수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안했다. 원격수업은 의사소통의 동시성 여부에 따라 ‘실시간 원격수업’, ‘비실시간 원격수업’으로 구분된다. 교육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격수업의 유형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과제 수행 중심 수업’, ‘기타’로 구분된다. 전국한문교사 오픈 카톡방인 ‘줄탁동시’에서 설문 조사(2021년 8월 7일, 216명)를 실시하였는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동안 대부분 원격 수업을 실시했고, 62%가 3학기 동안 원격 수업을 이어왔다. 주로 활용하는 원격 수업의 형태는 ‘실시간 쌍방향+콘텐츠 활용+과제 수행’의 혼합형이 33%, ‘실시간 쌍방향 중심 수업’이 28.4%를 차지해서 소통과 피드백이 용이하고, 교과 성격에 맞는 수업을 진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문 교사들이 느끼는 원격 수업의 어려움으로는 ‘학생의 학습 동기 부여 및 참여 유도’ 36.3%, ‘수업자료 제작 등 수업 준비 부담’ 28.8%, ‘학생과의 소통 및 피드백의 제공’ 14.0%, ‘콘텐츠 저작권 침해 우려’ 4.2%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체로 일반 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순위는 같았으나, 1번째와 2번째 순위의 어려움 정도가 다른 교과에 비하여 높았다. 다음으로 원격 수업 질을 높이기 위해 지원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교사가 재구성할 수 있는 자료 제작 공유 및 플랫폼 제공’ 32.5%, ‘콘텐츠 제작 및 자료 활용을 위한 저작권 제도 개선’ 19.9%로 나타났다. 다만, 한문 교사들은 ‘콘텐츠 제작 및 자료 활용을 위한 저작권 제도 개선’에 대한 요구도 19.9%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문과에서 원격 수업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콘텐츠와 이를 자유롭게 사용할 제도적 지원에 부족함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문 교과의 성공적 원격 수업 진행을 위한 주안점으로는 ‘실생활과 연계된 교과내용 재구성을 통한 한문 교과의 필요성과 위상 제고’, ‘온라인 도구를 이용해 학생들의 흥미유발과 참여도를 높이는 수업 유형 개발’, ‘올바른 가치관 형성 수업 및 인성 함양 수업’에 관심이 높았다. 한문 교사들의 설문을 바탕으로 한문 교과의 성공적 원격 수업 진행을 위한 제안으로는 우선 한문 교사의 협업 활성화 및 참여의 확대가 필요하고, 다음으로 한문 교사를 위한 다양한 연수 기회의 제공이 필요하며, 교육 당국이 다양한 한문 콘텐츠의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한문 교사들이 서로의 노하우와 기술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공간도 필요하다.
        5,700원
        45.
        2021.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educational transformation in the post pandemic era and address a new agenda for participants in both education and academia of Korean EFL. First of all, this article calls attention to rapid societal changes due to technology for the last few decades, particularly in facets of language use, knowledge building, and learning paradigm. Second, this study attempted to articulate unprecedented challenges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for adapting to educational reform in the digital society: 1) defining digital literacy from the second language (L2) perspective, 2) relocating English curriculum within digital learning ecology, and 3) achieving normalization of Korean school English curriculum. For successful transition, this paper finally suggests that a united voice is needed from participants and that new governance should be established in English education to connect educators,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to each other empowered by major academic associations such as KATE.
        5,400원
        46.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통일 문학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대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확인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통일과 북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정보와 관심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폈다. 충북지역 K대학 재학생 1~4학년 232명을 대상으로 2019년 6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16.8%가 통일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북한에 대하여 57.8%가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통일을 화제에 올리거나 관련 검색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연구자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남한 문학 교과서에 소개된 통일 주제의 소설작품은 4편이었다. 이렇게 볼 때, 우선 통일 교육을 위해서는 북한의 상황을 알리고 교류 확대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이를 통해 긍정적인 관심을 높이고 실천의 통로를 넓히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이를 위해 통일을 주제로 한 소설을 교과서에 적극적으로 실을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쇠찌르레기」와 「림진강」을 가지고 북한의 속살을 살피고 북한 소설의 양상과 교육적 활용을 고민하였다.
        5,500원
        47.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mergence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small satellite constellation in Low Earth orbit (LEO) to beam high-speed Internet to all parts of the world is a relatively new development in the use of outer space. States, international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private companies plan to deploy small satellites into Earth’s orbit because this effort is inexpensive and expandable, especially in the area of commercial activities. This movement will provide an essential tool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specially for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it could also bring legal challenges because there is now a lack of binding regulations regarding the increasing risks of orbital collision, the proliferation of space debris, the satellite network service, and the rational, efficient, and economical use of a radio frequency allocation and the harmful interference caused by small satellite constellations in LEO. These issues could have an impact on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space activities.
        4,900원
        50.
        202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ing an island has often proved a health benefit in deal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Indeed, after a year of the pandemic, virtually the only COVID-free countries are island states and territories. While both Australia and South Korea have fared well by global standards, their island provinces, Jeju and Tasmania done even better. The small island states of the South Pacific region leveraged their insularity by swiftly closing borders, tough quarantine, social distancing and public health measures when a pandemic was declared. Their marine moat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health security for these islands but at great cost to their fragile economies especially those with some dependence on tourism. Vaccines promise the opportunity to reopen borders to international commerce and traffic. However, the transition out of the pandemic will less swift and less secure than the initial dramatic first response. The apparent inevitability of COVID becoming an endemic disease will require ongoing public health measures as well as political decisions at the level of individual countries as when decide their pandemic measures can be relaxed. Travel bubbles are touted as a likely transitional stage for the global recovery but these have proved more aspirational than practical thus far. Post-COVID financial revitalisation will even more challenging for small island states. It is here that both Jeju and Tasmania can assist their national government in meeting the needs of the Pacific’s small island states. They have relevant island-adapted human and physical technologies that, if recognised and mobilised, could make appropriate niche recovery aid more effective.
        3,000원
        5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의 위상은 우리 스스로도 놀랄 정도로 높아져, 전 세계에서 주류 문화의 하나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전 세계적 한류 열풍의 태동은 중국에서 시작되었고, 중국의 거대한 문화 소비시장이 우리나라 문화 콘텐츠 성장에 밑거름이 된 것은 확실하다 하겠다. 그러나 전 세계적 신(新)한류 열 풍과는 달리 한류의 출발지인 중국에서의 우리나라 문화콘텐츠는 최근 배척되고 심지어 혐한의 분위기마저 강하게 감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중 간 문화산업 교류의 유형부터 검토하여, 그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점들이 있어 현재의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는지 정치·경제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개선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5,400원
        5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몽골 농업의 연구 현황과 과제를 파악하 는 것이다. 몽골의 농업 분야는 몽골 농촌에서는 문화 그 자체이며 농촌 가구 고용의 핵심 동력이다. 하지만, 몽골 농업 분야는 1990년대에 몽골이 자유시장 경제로 체제전환을 하면서 오히려 성장 동력을 잃고 있다. 특히 몽골 농업 연구에 관한 투자가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동안 농업 분야 종사자와 연구진 사의 간극은 더 커지고 있으며 농업 분야의 연구 투자가 이러한 격차를 좁히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몽골 농업의 성장 동력을 다시 회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4,000원
        5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왜 코칭학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였다. 국내에서 코칭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코칭을 좀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코칭에 대한 근본적 탐색 및 성찰이 필요하다. 이는 코칭학은 무엇인가에 대한 탐색적 질문으로 연결된다. 코칭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코칭학이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도록 코칭학을 명확히 하는 것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칭학의 과거, 현재 및 미래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논의하였다. 첫째, 코칭학의 현재까지의 성과는 무엇인가? 둘째, 코칭학의 미래를 위한 도전 과제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고찰을 하 였으며, 사회과학적 고찰과 사회문화적 고찰을 통하여 코칭학에 대한 기반을 분석하였다. 둘째, 코칭학에 대한 현재까지의 성과를 알아보고자 국내 코칭학, 코칭동향 및 코칭심리학 연구를 포함하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였고 현재까지의 코칭학 발전 관련하여 국내 코칭학 및 국외 코칭학에 대한 지 금까지의 현황과 관련한 의미를 분석하였다. 셋째, 미래의 코칭학을 위한 도전 과제로 융합을 통한 연계성 추구, 미래 변화의 불확실성에 준비, 개인 및 관계의 복잡성 해결을 위한 기본 및 혁신성 추구를 제시하였다.
        5,500원
        54.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ssue of dependency on foreign seafarers in Malaysia has been highlighted in the Malaysia Shipping Master Plan 2017–2022, whereby the number of foreign seafarers on Malaysian ships has been constantly high up to 17,000. A total of 6,000 Certificates of Recognition are issued by the Marine Department annually, which bring a great loss to both economy and career opportunities locally. A policy to reduce dependency on foreign seafarers has been implemented in 2018 as a goal to revitalize shipping for a stronger Malaysian economy. Conflicting priorities between shipping industries and local seafarers while trying to find the best solution to ensure that development efforts are not jeopardized have been a major challenge to the government of Malaysia. This article examines various issues and challenges in managing Malaysia’s dependency on foreign seafarers by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Key stakeholder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issues and challenges faced.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pressing needs to improve maritime governance in Malaysia, especially on system, educa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Fragmented governance arrangements and vague policies are affecting the formulation of effective solutions. It is also argued that an effective and clear management is crucial to reduce dependency on foreign seafarers, as only then can Malaysia’s shipping development efforts be enhanced.
        4,200원
        57.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루터의 종교개혁을 오늘날 COVID-19의 팬데믹 (pandemic)으로 인하여 전 세계가 공황에 빠져있는 상황을 염두하고 쓴 글이다. 연구자는 이전에 루터의 종교 개혁을 사회 정치 경제적인 상황에서 살펴보았던 것을, 여기서는 종교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에는 루터의 종교개혁의 성공의 요인에 대한 답을 개혁의 중심인 루터에게서만 살펴보았다면 이제는 좀 더 발전적으로 그 개혁을 가능케 하였던 일반 백성들의 관점에서, 즉 그들은 왜 루터의 종교개혁 에 동의하고 함께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COVID-19는 지금까지 어느 시대에 누구도 겪어보지 못한 전염병으로 전 세계를 불안과 공황 속에서 사람들을 허우적거리게 하고 있고, 우리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도 개신교회의 개혁을 위한 선한 영향력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서 연구자는 무엇보다도 한국 개신교회가 종교로서의 본질을 잃고, 또 잊은 채 다만 이 사회의 한 기관으로서 기능성을 인정받으려고 시도하며 왜곡되어가는 문제를 지적하고 이에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0,200원
        59.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les force automation tools can increasingly be used collaboratively across the company borders. We have focused on this topical issue by conducting a multiple-case study of industrial manufacturers and their distributors. The main contribution of the research is a model that distinguishes the drivers and challenges of the collaborative tool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