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감에서 떫은맛을 조절하는 AST에 연관된 지역에서 분자 표지들이 개발되었다. 이중에서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marker는 5R region에 인접한 지역에서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 SCAR마커는 분석 방법이 다소 복잡하고 해석이 어려워 많은 교배실생을 분석할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우리는 5R 지역의 sequences에 기반하여 high-resolution melting (HRM)-based 분자 표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HRM preimer set을 8개 품종의 단감 및 떫은감에 대해 적용한 결과 단감 품종에서는 직선을 나타낸 반면 떫은감 품종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곡선으로 나타나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HRM primer set은 분자 표지를 활용한 감 품종 육성 연구에 매우 효율적으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amma irradiation has been used in several ornamental plant species to obtain the desired genetic variability. Commercially, ornamental plants with a rich variety of flower colors and uniform shapes are prized and in high demand. Irradiation technology is widely utilized to generate a high number of mutations, which helps introduce new, improved variant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plant. The main purpose is to promote well-adjusted species by customizing some specific features to expand on the desired parameter. Exposure to an optimum dose of gamma irradiation is crucial to ensure the most beneficial mutation density. The effects of dose rates are species-dependent, thereby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inducing favorable attributes, such that they are either not clearly exhibited or are disoriented during the gradual physical development of the plants. To obtain high-quality species within a very limited period, gamma irradiation may present an alternative method to selective screening with its combined application of molecular-based analysis to contribute to mutational changes in plant physiology. Here we review current literature that focuses on the effect of appropriate doses of gamma irradiation and the morphological, functional, and molecular objectives of such irradiation in ornamental plants.
In this study,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Guidelines (CGG) and Corporate Governance Code (CGC) examined to identify how much the Code has evolved over time.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GG-2012 and CGC-2018 has also been conducted in the study to outline the latest changes. The study is exploratory and literature review-based in nature. Contemporary literatures were analyzed along with comparison of the CGG-2012 and CGC-2018 issued by the Bangladesh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BSEC). Data was collected from various secondary sources. The study points out that the BSEC has followed a six-year interval pattern in the further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of the corporate governance codes in Bangladesh. Also, it has been found out that in terms of the number of conditions in the code, the CGC-2018 is about 75 percent enhanced than CGG-2012. Previously, CGG-2012 was enhanced by more than 150 percent over the first guideline in 2006. CGC-2018 has introduced some crucial governance issues that were not present in the code before but there remain some areas that are yet to be addressed in the best-practices recommendations.
Stress can provoke various symptoms in human. It can affect our thoughts, emotion, and behavior. In general, it is necessary but dangerous if we do not control the level.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game to measure stress level of game-player and verify whether the score measured by the game correlates with stress level measured by self-reported surveys. A simple prototype of game to measure player’s stress level was developed based on Odd-one out experimental paradigm that allow to measure attenti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in stress people. 50 students and 50 office-workers played the game to measure stress level and the data was analyzed wit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ress score measured by the game and that measured by surveys (type-D and perceived stress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wo stress scores measured by computer game and the perceived stress scale but no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score measured by computer game and that measured by type-D. This indicate that the game developed based on attentional movement can measure in general stress level related to current concerns but not long-term temperature related to stress. Some limits and precautions of stress measurement with computer game such as reaction time or statistical assumption were discussed.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은 세계적으로 높아졌다.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는 매우 빠르며 이미 선진국의 전략적 발전 수단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하이테크 발전의 선두에 있으며 글로벌 경제 번영, 삶의 질 개선 등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과거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부분에 대한 법적 고민을 초래한다. 인격권은 일신전속성을 가지는 권리이다. 권리자는 자신의 인격적 이익에 대해 완전히 지배하는 권리를 향유하며, 인격의 독립을 유지 받고 보장받는 권리이다. 인격 존엄은 일반적인 인격 이익의 기본 내용이며, 동시에 가장 중요하고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그러나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인공지능에 의한 자연인의 성명·초상·프라이버시·개인정보 등 인격권 침해 상황을 초래한다. 중국은 최근 민법전 제정에서 인격권편을 별도의 장으로 마련하여 인격권 관련 내용을 규정하였다. 중국 민법전 인격권편은 인격권의 구체적 내용을 명확히 함으로써 인간의 존엄과 자유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였고, 인공지능에 의한 인격권 침해 발생 시 권리자 보호 를 위한 법적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공지능 발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인격권 침해 문제를 중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중국 민법전 규정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멸종위기 양서류 금개구리의 생물학적 특성 및 증식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난 발생 및 올챙이 초기 먹이 종류에 따른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육수조 내에서 자연산란한 금개구리의 수정란을 현미경 하에서 관 찰하였다. 수정란은 교질층에 둘러싸인 구형으로, 동물극과 식물극이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수온 27.0±1.0°C에서 수정 후 31시간 뒤에 부화하였으며, 수정 후 175시간 뒤에 아가미 뚜껑을 완성하였다. 개구 이후 단계부터 35일 간 먹이종류별 성장 및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식물성 사료와 테트라민 단독 공급군의 평균 증체율 (각각 5843.9%, 5736.3%), 평균 일일성장률 (각각 11.67%, 11.62%)이 다른 공급군들 (증체율: 641.8~4625.2%, 일일성장률: 5.72~11.01%)에 비해 가장 높았고 (P<0.05), 야채 공급군이 가장 낮았다 (P<0.05). 평균 사료 효율은 식물성 사료 공급군이 177.83%로 야채 공급군 10.29%에 비해 약 17배 높았다. 또한 식물성 사료와 테트라민 단독 공급군의 평균 생존율은 각각 97.5%, 100%로 가장 높았으며, 야채 공급군은 32.5%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금개구리의 성공적인 증식을 위한 올챙이 먹이는 식물성 사료 또는 테트라민을 단일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표고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전역에서 오랫동안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는 대중적 버섯으로 맛과 향이 독특하다. 또한 약리적인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표고는 원목재배와 톱밥재배에 의해 생산되며 원목재배 기 간은 4~5년인데 반해 톱밥재배는 6개월로 재배기간이 짧아 원목재배에서 톱밥재배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특히 산조 701호는 중고온성 품종으로 우리나라의 표고 톱밥 재배 대표적인 여름철 품종으로 재배임가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임가 소득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재배 품종 중에서 산조 701호의 육성내력과 다양한 실증시험, 국산품종 보급확대 등 우리나라 표고산업 발전에 기여한 성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애완곤충산업에 이용될 수 있는 곤충 종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전문가 의견조사인 델파이 (Delphi) 방법을 이용하여 4개의 대분류와 9개의 중분류로 구성된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계층분석과정(AHP)을 활용하여 애완곤충 종을 선발하기 위한 평가기준을 마련하였고, 적용 시험을 통해 점수의 체계화를 구축하였다.
The senior dog population (ages 7+) is increasing worldwide because of a larger interest in the health of companion dog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dog foods via fermentation to address the nutritional needs of senior dogs. The dog food ingredients were fermented with candidates of starter culture and then the fermentation efficiency was compared using pH and ammonia nitrogen for selection of optimum strains. The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with a moisture content of 60% and starter culture of 1.0×107 cfu/g at 3 7℃ for 24 h. And there were manufactured pre- and post-senior dog foods (treatments) including fermented rice, fermented pinto bean, and fermented soybean meal and it compared with non-fermented dog foods (control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and palatability. As results of this study, fermentation efficiency was higher when rice or wheat was inoculated with Lactobacillus brevis (ΔpH; -2.74 ~ -2.94) and meat and bone meal with Lactobacillus reuteri (ΔNH3-N conc.; 4.29 g/L). The ammonia nitrogen level, total volatile fatty acid content, in vitro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of L. brevis-fermented dog food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non-fermented dog food (p<0.05). Further, in case of palatability tests, fermented foods tended to have higher palatability compared to non-fermented foods, and no negative effect was observed in fermented fo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rmented food is suitable for senior dogs and could help to maintain adult dog health.
본 논문에서는 유연/인쇄 전자 기술을 활용해 고성능의 유기물 반도체 기반 트랜지스터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인공지능용 반도체 및 폴리모픽 전자회로에 응용하기 위해 공액구조 고분자 반도체 소재의 광파 어닐링 방법에 따른 특성 향상 효과를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열처리를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는 핫플레이트의 경우 반도체 소자 특성의 균일도 문제와 높은 온도 및 열-용량으로 인한 플라스틱 기판 사용의 제한, 긴 어닐링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 실제 산업에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광파를 활용한 효과적인 유기물 반도체 필름의 열처리 공정을 개발함으로써 Roll-to-Roll 방식의 고속/대면적 인쇄 공정에 적합한 열처리 방법과 반도체 층 전체의 높은 결정화도 유도를 통한 성능 향상과 소자 균일도 개선을 위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 and peer evaluations and learners’ involvement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criteria in higher education English literature classes. A total of 4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extracting five main criteria with 10 sub-standards to assess their group assignments and conduct self- and peer evaluation on their presentations. The results of the learners’ selfand peer assessments were compared with instructor’s assessments and their final grades using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 among the assessment criteria to find which factors affected learning outcome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ir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criteria positively, affected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the selection of subjects for the group presentations. Logicality of writing also affected the outcomes of final assessments. The study concluded that self- and peer assessments can be highly effective in learning processes when learners actively participate in setting the assessment criteria.
본 연구는 테마파크의 조성동향 및 테마선정 경향을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국내 테마파크 108개소를 대상으로 한 조사 분석에서 명백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테마파크의 조성동향 분석에서는 광역시 등 시 단위에서는 테마파크가 비교적 초창기에 만들어졌으나, 2000년 이후에는 조성되지 않는 반면 지역의 도 소재 테마파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늦은 시기에 테마파크가 조성된 지역은 전라도이며, 단위면적 대비 가장 많은 테마파크를 보유하는 지역은 제주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테마선정에 대한 경향분석에서는 1994년까지는 ‘놀이’가 테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2000년 이후에는 ‘놀이’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문화’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용방식에 대한 분석에서는 1994년까지는 ‘놀이기구 체험’이 주를 이루었으나, 2005년 이후부터는 ‘학습활동 체험’ 및 ‘교육’에 대한 비율이 크게 증가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테마선정시 지역자원의 활용 비율은 25%로 낮게 나타났으며 조성시기와의 연관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라도에서는 타시도와는 달리 지역자원 활용 비율이 61%로 월등하게 높았으며, 국가 및 지자체가 83%의 테마파크를 조성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자원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관리주체와의 관련성이 엿보이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