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4

        261.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유학자였던 海窓 宋基植(1878~1949)이 제작한 초학 한문교재『速修漢文訓蒙』에 대한 연구이다. 조선 유학의 대표적인 학자이자 조선의 유교개혁론을 부르짖었던 해창 송기식은 조선유교의 미래를 위해 서양교육에 맞설 만한 쉽고, 재미있고, 빠르게 배울 수 있는 새로운 한문교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것이 『速修漢文訓蒙』이란 교재이다. 이 교재는 일재의 감시 하에 조선의 곳곳에서 강의되기 시작했다. 이 교재는 일제강점기 아동들의 한자교육을 현실에 맞게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편찬한 교재이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 서구의 사상이 물밀 듯이 들어와 우리민족의 전통 유교문화를 붕괴시키면서 서구의 기독교사상이 확산되어 나가자 이에 대응하려는 다양한 유교적인 현실대응논리가 나타나고 있던 시기 서당의 아동들의 한문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아동교육 교재이다. 이 책은 일반적으로 한자교육의 기본서로서 널리 알려진 千字文의 형식을 개혁하여 당시 생활에 맞게 재구성한 것이다. 이 책은 더 나아가 천자문, 동몽선습 등을 비롯하여 유교경전 및 근사록 등 신유학의 교재에서 가려 뽑아 내용을 새롭게 구성하여 새로운 현실에 맞는 한자어를 선정하여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한문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학습단계를 설정하여 만든 우수한 교재이다. 이 책에는 서구의 사상에 맞서 성리학적 도통을 수호하고, 일제의 식민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조선독립의 의지가 함의되어 있었다.
        8,300원
        26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메리 F. 스크랜턴 선교사는 조선 말엽 개화와 개혁을 추구하는 시대의 요구를 이해하고 이를 선교에 접목시킨 선교사였다. 특히 그녀는 교육과 의료선교를 통해 사회 변혁을 꾀하고 가난하고 소외된 여성들에게 기독교교육을 통해 인권을 회복하고 여성의 가치를 고양시킨 여성교육의 선구자적 삶을 살았다. 스크랜턴은 기울어가는 조선의 운명을 바라보면서 조선의 여성들에게 조선인으로의 긍지와 자부심을 갖도록 했으며 조선의 미래를 당당하게 세워갈 수 있도록 교육을 통해 계몽시켰다. 그녀의 선교적 열정과 헌신, 그리고 용기는 어둠에 쌓여 있던 조선에 한줄기 빛이고 희망이었다. 또한 복음의 불모지 조선 땅에 개신교의 여명이 밝아오게 만드는 장본인이었다.
        8,300원
        270.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최초의 한인 선교사가 누구인가?’라는 주제를 다루는 연구이다. 흔히 감리교의 홍승하와 장로교의 이기풍을 최초의 한인 선교사라고 언급한다. 하지만 그들이 왜 최초의 선교사인가에 관한 연구는 아직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우선 감리교에서는 1997년 이전까지 국외에 있는 교포들만을 대상으로 사역을 해도 선교사로 인정하였다. 그러므로 1903년 하와이에 파송된 감리교의 홍승하는 최초의 한인 선교사가 맞다. 반면 장로교에서는 1907년에 파송을 받아 1908년에 제주도에 도착한 이기풍을 한동안 해외 선교사로 간주 하다가 1915년 이후부터는 그를 더는 선교사로 보지 않았다. 왜냐하면 장로교는 외국인을 위해 사역을 하는 목회자들만 선교사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제주도는 국외지역이 아니므로 이기풍을 해외 선교사로 간주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7,000원
        27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horticultural crop. This study reports a new pathogen of brown leaf spot disease in kiwifruit. Brown leaf spot symptoms were observed on the leaves of cv. Redvita in Jeju, South Korea. The leaf spot diseases appeared as extensive, angular, brown, yellow, white or fused color spots on the leaves. Fungi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Fusarium tricinctum (Corda) Sacc.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tests were conducted with mycelium and the conidia inoculation. The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the artificially developed symptoms, and identified as F. tricinctum as Koch’s postulates were confirme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brown leaf spot caused by F. tricinctum on kiwifruit.
        4,000원
        27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iological control i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grams in Korea. For this reason, effective and sustainable insect pest management is a priority for many growers. And the success of biological control depends upon the use of the economical methods such as a combination of proper natural enemies and plants (banker, habitat, trap, companion, etc.). For the last nine years, we have developed simple and reliable new habitat plants system with natural enemies, and named it『Natural Enemy in First Method』that we are introducing here. Our goal was to better understand the potential for effective use of beneficial insects and their habitat plants for the management of thrips, spider mites, and aphids in greenhouses. This approach is being developed to improve biological control in various crops in Korea.
        27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lenopsis geminata has been found in South Korea, suggesting a risk of its invasion has been increased by rapid climate change. This situation requires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to predict possibility of Solenopsis geminata introduction, but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it is very limit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ap for global distribution of Solenopsis geminata so that the map can be used for futur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Also, as the first step to assess Solenopsis geminata introduction, climatic similarity between its origin (Puerto Rico) and major cities in South Korea was compared. We used ArcMap (version 10.0) for creating the distribution map by obtaining current habitat from public database, and CLIMEX was used to compare climates based on CMI value. The result showed that climates were not similar as indicated by CMI less than 0.52, suggesting the risk of intial introduction is low under the current climatic condition.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climatic similarity did not consider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lenopsis geminata and climate change. Thus, the next study will be devoted to climatic suitability simultaneously considers meteorological data, distribution and biological information.
        27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유기농업의 실천을 위하여 국내 작부체계와 농업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현장적용 기법을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개념은‘Natural Enemy in First (NE가 먼저)’로 해충 발생시기의 예찰 없이 주 작물을 정식함과 동시에 천적과 선발한 보조식물을 혼합 적용해서 해충발생 이전에 천적을 포장에 먼저 정착시키는 생물적 방제기법이다. 미끌애꽃노린재 서식처로 Portulaca sp.를, 콜레마니진디벌 서식처로 옥수수를 선발하여 시설 토마토에서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 단독처리와 천적 서식처(Portulaca sp.) 혼합처리구에서 관행방제 처리구(약제처리)대비, 각각 82%, 73%의 총채벌레 밀도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진딧물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3줄기 당 평균 0.5마리 이하의 낮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28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iceratopyga, is a common and synanthropic genus of medical and forensic significance in eastern Asia which have includes only one species, Triceratopyga calliphoroides. In this study we are reporting the complete mitogenome of the only member of the genus Triceratopyga. The structure of the compete mitogenome is similar with the common ancester fly mitogenome. The size of the mitogenome is 16,529 bp. This is the longest mitogenome recorded from the family Calliphoridae. Although the size of mitogenome is longer than previous records, structure and gene positions are identical with ancestral insect gen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