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0

        26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서 다양한 작물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는 미국선녀벌레는 나무 표피에서 알 상태로 월동하고, 부화한 약충은 이동하여 주로 초본 식물을 가해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국선녀벌레 약충의 부화시기를 예측하기 위해 4지역(서울, 연천, 수원, 예산)에서 월동난이 있는 가지에서 부화하는 약충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부화 모델을 개발하였고, 각 조사 지역에 투명끈끈이트랩을 설치하여 떨어지는 약충의 수를 조사하여 그 경향을 분석하였다. 미국선녀벌레의 월동난 부화 모델은 약충의 부화시기를 잘 설명하였고(r2=0.98), 5월말에서 6월 초에 50%정도의 부화가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화한 약충의 지표면으로의 이동은 부화 직후 1령 시기에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들은 미국선녀벌레의 부화시기와 기주를 찾아 이동하는 시기를 바탕으로 한 방제 전략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6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수염잎벌아과의 미기록종인 살구나무테두리잎벌(신칭)을 확인하고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2016년 처음 국내에서 발견되어 살구나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보고되었고, 본 연구를 통해 최초로 종을 규명하고자 한다. 살구나무테두리잎벌의 생활사 및 생태사진과 기재 및 주요 형질 사진을 제공한다.
        3,000원
        26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납작벼룩좀벌속(신칭)의 두 미기록종을 포함한 납작벼룩좀벌아과(신칭)를 한국산으로 처음 보고한다: 큰납작벼룩좀벌(Metapelma beijingensis Yang)(신칭) 그리고 긴꼬리큰납작벼룩좀벌(Metapelma pacificum Nikol’skaya)(신칭). 또한, 긴꼬리큰납작벼룩좀벌의 수컷 개체가 처음으로 발견되어 보고한다. 한국산 큰납작벼룩좀벌속의 검색표, 진단 그리고 진단형질에 대한 사진을 제공한다.
        4,000원
        26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라인 게임의 인기와 이용자 수가 늘면서,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불법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부정행위자의 수도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기 FPS 게임인 배틀그라운드의 로그 데이터와 해당 게임의 퍼블리싱을 맡은 카카오게임즈가 공개한 부정행위자 정보를 수집하여, 부정행위자가 게임 상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다른 플레이어들과 어울리는지 확인하였다. 부정행위자는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배제되거나, 제재를 피하기 위해 소극적으로 활동할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 분석 결과, 부정행위자는 정상 이용자보다 더 활발하게 게임을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팀플레이 모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행위자는 정상 이용자보다 더 많은 친구를 가지고 있었다. 부정행위자가 일부러 다른 플레이어와의 불화와 갈등을 야기한다는 측면을 제시한 선행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부정행위자가 팀 내에서 정상 이용자에 비해 더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점 역시 발견하였다. 본 연구가 밝힌 온라인 게임 부정행위자의 특성은 부정행위 대응 방안 수립 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의 반사회적 행위자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6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번 연구를 통해 작은검정주머니나방속이 국내에서 처음 발견되어 보고한다. 작은검정주머니나방속 내 작은날개검정주머니나방에 대한 암컷 형태 특징, 채집지 정보 등을 포함한 이용가능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신속한 종 동정을 위한 DNA 바코드 정보를 작성하였다.
        4,000원
        267.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omestic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has been built on a large scale on the Jungbu Expressway, which opened in 1987. Since then, there have been few application due to cost and construction difficulty. Currently, most of the expressway concrete pavements have been applied with jointed plain concrete pavement, but the interest in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due to frequent premature failure in joints of JPCP. Accordingly,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has established design guidelines and details for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s for expressway in 2014, based on the design method applied to the Jungbu Expressway, but incorporating foreign useful design methods. In terms of construction, pilot constructions were performed on Pyeongtaek~Jecheon Expressway Construction. The new design guidelines were applied to some sections of the Sangju~Yeongdeok Expressway Construction Project in 2016.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analysis of transverse cracks for one year after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onstruction in Sangju~Yeongdeok Expressway. This route was constructed with pavement thickness, base layer and longitudinal reinforcement according to domestic design guidelines. However,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was arr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ction. After construction, the transverse crack spacing was surveyed and the crack gauges were installed at the crack position to measure the movement. This compares the crack spac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and observes continuous movement of the crack wid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ack spacing was more affected by the climat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an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The crack width showed periodic chang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ver 24 hours. However, due to seasonal changes, it showed a tendency of gradual increasing or decreasing in crack widths, and it was predicted that different measurement results will be shown depending on the time of crack width measurement. Generally, it is predicted that the crack spacing will be narrowed and the crack movement will tend to converge with the period after construction. This initial crack movement data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comparing whether these predictions are valid.
        26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helenchoides composticola is an economic pest in mushroom cultivation, with a potential to cause heavy losses in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Agaricus spp. Recently, A. composticola was intercepted on cultivated mushrooms in Korea and herein, this newly recorded species is morphologically and morphometrically characterized, and symptoms of mushroom damage are equally illustrated. The offset head, a prominent muscular median bulb, oval to round in shape, lateral field with three incisures, tapering truncate tail and average body length of 612.8μm, characterize females. Males are slightly smaller (561.2μm), characterized by well-developed paired spicules, ventrally curved tail, and conoid tail terminus posed with a terminal mucro.
        27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ineobius Ashmead, 1896 is a relatively small group in the family Eupelmidae. I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following characters: head with conspicuously lengthened maxillary palpus, mesotibia without apical groove, gaster with deeply emarginate syntergum and filiform ovipositor sheaths. Most species of Tineobius were recorded from Afrotropical, Australasian and Oriental region. However, in Palearctic region, only one species (Tineobius tamaricis Ribes & Fusu) is discovered from Spain by Fusu & Ribes (2017). In this study, the genus Tineobius is reported from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with two newly recorded species. Also, a key to South Korean species of Tienobius, diagnoses and photographs of the diagnostic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27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aphinae Ashmead, 1904 are the smallest subfamily in Pteromalidae and currently include 27 extant species of 6 genera. Up to date, only 2 species, Asaphes suspensus (Nees) and A. vulgaris Walker, have been recorded from South Korea. Among them A. vulgaris Walker is suspected of misidentified due to several reasons. Hyperimerus Girault, a small genus of the subfamily Asaphinae, consists of two world-wide species. It is close to Asaphes Walker but is separated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ntenna with one anelliform segment; scutellar frenum not distinct; petiole transverse. In this study, we report genus Hyperimerus based on Hyperimerus pusillus (Walker)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and Eastern Palearctic region. Also, a key to the genera of Asaphinae from South Korea, diagnosis, photographs of each species and taxonomic note of A. vulgaris Walker are provided.
        27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arpiphorus, a monotypic genus of subfamily Allantinae (Symphyta: Tenthredinidae), was established based on Tenthredo (Emphytus) lepida Klug. The genus is close to Hemibeleses Takeuchi bu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cell 1M in fore wing with a distinct petiole dorsally and cell M in hind wing closed. Harpiphorus is widely distributed in Europe, but has not yet been found in outside the continent. The larva of this genus is phytophagous attacking the oak species (Quercus trojana Webb and Q. robur L.). As a result of the present study, the genus Harpiphorus is reported based on H. lepidus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and the Eastern Palaearctic region. A diagnosis, figures of morphological features are provided.
        27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ybalomiinae is a small subfamily of the family Crambidae, reporting 18 genera, 122 species in the world. However, this subfamily of species are still included in subfamily Pyraustinae in Korea with two species: Trichophysetis cretacea (Butler, 1879) and T. rufoterminalis (Christoph, 1881). Recently, these species transferred to Cybalomiinae by Shaffer et al. (1996). However, it was not considered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the subfamily Cybalomiinae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with a newly recorded genus. Illustrations of adults, male and female genitalia, diagnosis, description are provided.
        27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report here the new species, Aphaenogaster koreana sp. nov. first fossil record of alate reproductive female (gyne) Aphaenogaster from Eastern Palaearctic region on the basis of forewing venation and other external morphologies. Single fossil specimen was discovered from the Duho Formation of the Middle Miocene (c.a 15 Ma), Pohang, Republic of Korea. For accurate identification, we selected extant Aphaenogaster species for reference and compared wing venations and body measurements to new species. Furthermore, we suggest previously recorded Aphaenogaster species from Miocene Grubstake Formation of Alaska (UAF-GS23, UAF-GS24) removed from the genus and remained in unplaced species in the Myrmicinae (incerta sedis). Because of similarity between genus Aphaenogaster and Paraphaenogaster which shares morphological similarities, we provide comparison between the new species and the other known gyne Aphaenogaster and Paraphaenogaster. Diagnostic characters for gynes of Aphaenogaster are also provided
        275.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rthotyline plant bug genus Ulmica is reported from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with one new species, Ulmica sp. sp. nov. Morphological diagnosis, the dorsal habitus and genitalia of both sexes are figured for new species. A key to the world Ulmica species is also provided to aid in their identification.
        27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raspedoxantha genus has been distributed in worldwide as 7 species in Afrotropical and 2 species in Oriental Regions. It is generally known that C. marginalis is preferred Asteraceae including Vernonia spp. for host plant. However, C. marginalis was first found in cut-flower of Phaenocoma prolifera, which was imported from South Africa, under the plant quarantine inspection in Korea. Therefore, we first report that P. prolifera as a new host plant for C. marginalis and provide information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barcoding sequences on male and female for identification.
        277.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명대 백화단편소설이 18세기에 최초로 영어로 번역된 이후 20세기 전반기까지 약 200년 동안 영어권 독자들에게 수용되어간 상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명대 백화단편소설은 서양인 선교사의 선교활동과 유럽의 제국주의적 확장정책이 시작될 무렵에 번역되기 시작하여, 19세기와 20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번역되어왔다. 본고에서는 번역본이 나온 시간적 순서에 따라 번역의 맥락과 특징 그리고 전유 양상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18세기에 나온 최초의 번역은 불역본을 통한 간접번역이었으며, 19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중국원전에서 직접 번역하기 시작했고 원문에 충실한 번역태도가 나타났다. 19세기까지 번역의 주체는 모두 서양인이었으며, 발표지면은 대부분 대중적인 신문잡지였고, 출판지역은 영국 런던, 오스트레일리아 세일, 일본 요코하마,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중국의 홍콩, 광동, 상해 등 글로벌 국제도시에 두루 걸쳐있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중국인 번역가가 비로소 출현하였고 앤솔로지 형식의 단행본이 많이 출간되었으며 번역가의 번역의도에 따라 명대 백화 단편소설은 충실하게 또는 자유롭게 번역되었다.
        4,800원
        27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확인된 Neophyllaphis podocarpi Takahashi, 1920를 기반으로 Neophyllaphidinae Takahashi, 1921 아과를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무시형과 유시형 처녀생식세대의 암컷 사진 및 유시형 산란모, 수컷 형태 정보를 수록하였다.
        4,000원
        279.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Kaochiaoja arthraxonis (Takahashi, 1921) 종을 기반으로 Kaochiaoja Tao, 1963 속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무시형 처녀생 식세대의 암컷 사진 형태 정보를 제시하였다.
        3,000원
        280.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조선족 1세대들이 몸소 체험하고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한 문화 적응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의 초점은 이주의 동기, 문화적응 양상, 문화적응 맥락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들은 중국에 현재 거주하고 있는 이민 1세대로 직접 중국에 이주한 사람들이다. 분석결과 조선족 1세대의 이주동기는 대부분이 생활고와 차이나 드림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리고 조선족 1세대들의 문화적응 유형은 분리양상에 가까웠다. 중요한 점은, 이들이 수동적 타자로서가 아니 라 적극적 주체로서 스스로 중국 사회와 거리를 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족 1세대들은 중국에 거주하면 서도 본인들은 뼛속까지 조선족이라는 의식이 강했으며, 조선족 집성촌을 만들어 중국 사회와 거리를 두었고, 조선어만 사용하였다. 이런 분리의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인으로는 높은 민족적 우월감, 높은 민족 교육, 임시 체류자, 이중차별, 경쟁의식, 언어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8,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