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4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ducks and fish trap for the control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paddy field and water canals. The smaller size of duck (700 g) preyed snails than the bigger one (1,300 g). The consumption of two ducks was bigger under plastic house. They preyed over 90% on the second days of release. The release time of ducks was more effective at seven days after inoculation of snails than simultaneous. Duck could suppress the density of snails at any time from month after inoculation. Four ducks per 30 ㎡ could control snails in an irrigation canals. The number of attracted golden apple snail per week was 216 in big fish trap (Φ 15 ㎝) with menthol paste which for a carp.
        4,000원
        42.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occurrence and damage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on water seeding area in Jeonnam province. The density of golden apple snail maintained high until October 2003, but quickly decreased from November. They overwintered only in a portion of the water canals but could not find in dried paddy field. They reproduced from May and June in the canal water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Feeding time of golden apple snail on rice seedlings was 235.2 seconds, feeding length of that was 8.4 ㎝. When golden apple snail fed rice seedlings, the stem remain only 2.5 ㎝ from areal part which could not recover. The more density of golden apple snail, the faster feeding rate. Density and number of eggs laid of golden apple snail after overwintering was higher on bank around of paddy field than on middle of that. The percent of shell size after over wintering was higher in small (below 25 ㎜) than big (over 36 ㎜). But in case of Boseong area, the size was reverse because the soil has soft mud. The survival rate of overwintering golden apple snail was lower than that of breeding. They did not move when the temperature changed rapidly, but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y start to move. They dead almost below -3℃. The damage of rice by golden apple snail in the direct water seeding was 20%. In machine transplanting, rice damaged only fore-end of leaf and recovered subsequently. When golden apple snail release in direct water seeding field, the percent of damage was 5.6% in immediately release plot. The later release, the lower damage.
        4,000원
        4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금개구리(Rana plancyi chosenica)유생의 성장에 효율적인 먹이를 개발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네가지 형의 먹이를 공급하고 그에 따른 성장을 비교한 것이다. 금개구리 유생에게 식물성 먹이를 공급한 군과 식물성과 동물성 배합 먹이를 공급한 실험군이 습지에서 수거한 유기물과 식물성 먹이 만을 공급한 대조군보다 더 빠른 성장을 보였다. 나아가, 식물성과 동물성 먹이를 혼합하여 공급한 먹이군이 순수하게 식물성 먹이 만을 공급한 실험군보
        4,000원
        46.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대노린재(P lewisi)의 실내 계대사육법을 확립하기 위해 먼저 실내에서의 생식행동을 구명하였다. 고온장일조건(, 16Lㆍ8D)의 사육실에서 사육하면서 교미행동과 다중교미가 산란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광대노린재 성충의 교미는 성충 일령별로 9일째부터 시작되어 17일 이후는 교미율이 증가(60% 이상)하여 성충 21일째 84.5%로 피크를 이루였다. 광대노린재의 교미행동과정은 탐색배회, 접근, 더듬이접촉, 올라타기, 복부말단접근, 교미(끝에 끝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컷은 교미행동 전 과정에서 능동적이었으며 또한 암컷에게 올라타기를 하기 전까지 마찰음을 내였으나 대부분의 암컷은 교미에 수동적이었다. 교미가 이루어지는 시간은 조명 후 1시간 내에 69% ,2시간 8% ,3시간 6% ,4시간 16% ,5시간 1%로 거의 4시간 내에는 교미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암컷의 재교미는 첫 교미 후7일 동안 20% 정도 이루어졌으나 수컷의 재교미율은 암컷보다 월등히 높았다. 한편 암컷은 1회 교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란된 알의 부화율이 감소하였으나 재교미를 함으로서 산란된 알의 부화율이 향상되었고 수컷은 교미횟수가 증가할수록 산란된 알의 부화율이 감소하였다.
        4,000원
        48.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대노련재의 계대사육법을 확립하기 위해 , 605% R.H., 16L.8D광주기조건 의 실내 사육환경하에서 대체먹이인 생땅콩을 급여하여 사육하면서 발육 특성과 기주 및 산란선 호성을 조사하였다. 광대노련재의 1세대 소요일수는 평균 48일이었다. 알은 유백색의 구형이고 1 난괴당 산란수는 14개가 대부분이었다. 알.약충의 발육기간을 조사한 결과 알기간은 8.20.4일 이었고 각 령별 약충기간은 1령 5.40.2일,2령 8.40.5일, 3령 6.40.4일,4령 7.40.3일,5령 12.60.8일이였다. 성충의 생존일수는 수컷이 평균 30.8일, 암컷은 35.4일 정도였다. 성충화율은 5 57.1%였는데 암수비융은 47: 53으로 수컷의 비율이 약간 높았다. 산란전기간은 평균 22.5일이었 고 펑균산란회수는 4.4회였다.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이 있을 경우에는 기주에 산란하지만 기주식 물을 제외시킨 경우에는 아크릴 사육상자, 철망보다는 인조잎에 더 많이 산란하였다. 광대노린재 성충의 기주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대상식물 18종 중 황벽나무, 산초나무, 산수유, 충층나무 등의 줄기 및 과실을 가장 잘 흡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주기(하루 중 빛의 길이)는 골든 햄스터의 생식을 조절하는 주된 요인이다. 광주기 정보는 멜라토닌을 통하여 생식 내분비계로 전달된다. 따라서 멜라토닌이 생식에 미치는 효과를 여러 광주기에 노출시킨 햄스터에서 조사하였다. 단주기(하루 중 12시간 이하의 조명)에 노출시킨 동물들과 저녁에 멜라토닌을 주사한 동물들의 정소 무게는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나, 장주기 (하루 중 12.5시간 이상의 조명)에 유지된 동물과 오전에 멜라토닌을 투여한 동물들의 정소 무게는
        4,000원
        52.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초기 극시 The Shadowy Waters에서 자연적인 세계와 초자연적인 세계사이에서 겪게 되는 인간의 갈등을 그린다. 전자는 현실의 세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빛의 이미지와 연결되어 나타나고 후자는 이상적인 세계를 대변하는 것으로 음영의 이미지와 연결되어 나타난다. 작가는 상상력과 풍요한 정신을 상징하는 이상적인 세계에 더 큰 가치를 두며 꿈, 그늘, 그림자의 이미지를 여기에 연결시킨다. 작 중인물들이 갖는 이 두 세계의 대한 태도도 마찬가지로 이상향에 대한 꿈을 허황한 것으로 여기고 현실에 안주하려는 부하 선원들과 영원한 세계를 끊임없이 동경하는 선장 Forgael로 나누어진다. Forgael은 결국 연인 Dectora를 통해 현실세계를 벗어나 정신적인 이상향의 세계로 여행하게 되는데, 필자는 이 과정 속에서 창조적이며 정신적인 음영의 세계와 현실적인 빛의 세계가 어떤 이미지로 대조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인연과 결속을 상징하는 그물, 밧줄, 머리카락의 이미지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한다.
        4,300원
        55.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생리․생태적 특성 및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의 집단패사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83년 국내에 도입되어 양식과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 왕우렁이의 종(species)은 연체동물문(Mollusca), 복족강(G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Ampulariidae과, Pomacea속에 속하는 Pomacea canaliculata Lamarck이다. 왕우렁이의 생리․생태적 특성조사 결과 왕우렁이 성체들이 국내에서 월동되고 있으나 왕우렁이 알로는 월동되지 못하고 있다. 수컷과 암컷의 비율은 1:1.99~2.33배로 암컷의 구성비가 높았다. 생장량은 1일에 87.7 mg이었으며, 껍질은 각고가 0.31 mm, 각경이 0.33 mm씩 자랐다. 왕우렁이의 생장은 먹이의 조건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매우 빠른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건조에 대한 저항성은 매우 강하여 3개월까지 생존율이 약 80%에 달하였다. 왕우렁이 서식에 따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다량의 서식 밀도에서는 약간의 영향을 줄 수는 있겠으나,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되는 밀도에서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벼 이앙초기에 투입되는 왕우렁이가 2~3일이내에 일시에 집단 패사되는 직접적인 원인은 미소생물인 패충류(참씨벌레)에 의하여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만 패충류 (참씨벌레)에 의하여 패사되는 비율은 밀도에 따라 2.86%와 5.71%로 매우 미미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은 벼 이앙시기가 빨라지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추운 저온의 날씨로 인하여 논의 흙속으로 들어가서 죽거나 일부는 새의 먹이가 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다량이 죽은 것으로 오해되었다.
        5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ublished article “Bitter melon extract does not alter photoperiodic effects on reproduction of male golden hamsters. Dev. Reprod. 2017; 21(2):215-221. https://doi.org/10.12717/DR.2017.21.2.215,” the corresponding author’s name is given incorrectly. The Editorial Office of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would like to correct the corresponding author’s name. The Editorial Office apologizes for any inconvenience that it may have caused.
        57.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MC)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treating diabetes. In addition, some reports were emerged, showing the antifertility activities of MC in mammal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thanolic MC extract on the reproductive activity of golden hamsters whose spermatogenetic capacity is controlled by their photoperiod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long photoperiod (LP) control, short photoperiod (SP) control, and LP animals treated with MC. The animals were orally ingested with low (0.03 g/kg) or high (0.15 g/kg) concentrations of the ethanolic extracts for 8 weeks on the daily basis. The control animals received the vehicle. The animals were then mated with age-matched females, experienced pregnancy. As results, the LP control animals showed active large testes but SP control animals displayed remarkably reduced testes. The animals treated with both concentrations of MC extracts demonstrated large testes, indicating fertile activity as animals in LP. LP control animals had litters as expected, but SP controls had no litters at all. MC extract showed the same results as LP animals in generating offspr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C extract does not change the photoperiodic influence on reproductive activity of male golden hamsters.
        58.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디바이스에서 동일하게 사용하고 싶은 편리함에 대한 요구는 디스플레이 종류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웹페이지 기술인 반응형 웹을 탄생시켰다. 유행의 속도가 빠른 한국은 IT기술의 사용 속도 면에서도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빠른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2010년 에단 마코트(Ethan Marcotte)에 의해 소개된 반응형 웹의 기 술은 이미 한국에서 상용화 되고 있다. 하지만 반응형 웹의 제작에 대한 표준화된 가이드나 개발 모델은 아직 미비하며, 제작 면에서도 표준화된 프로세스 보다는 제작자 개개인의 역량에 의존한 개발의 성격이 강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 응형 웹의 대표적 오픈 플랫폼인 부트스트랩(Bootstrap)의 사례를 기반으로 하여 반응형 웹의 그리드 시스템을 분석하고, 황금비율과 유동형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반응형 웹의 그리드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였다. 늘어나는 수요와 중요성에도 불구 하고 관련 연구와 프로세스 표준화 작업이 부족한 반응형 웹의 제작환경에서, 프레임워크인 부트스트랩의 그리드 시스템은 반응형 웹 제작의 프로세스 표준화 작업에 좋은 선행연구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서비스 중인 사이 트인 ‘클라우드 제트(Cloud Z)’에 대한 사례분석은, 부트스트랩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반응형 웹 사이트가 현장에서 고객의 요구사항과 어떻게 조율되는지 대한 실제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자료로 보여 진다.
        59.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적으로 해양산업이 국가산업으로 인식되며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해양산업 중 가장 각광 받는 분야는 해양레저 산업 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우수한 문화와 다양한 관광자원으로 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그 중 중국인 관광객인 유커 의 경우 2007년 106만명을 시작으로 2015년 598만명까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인천시는 골든하버라는 이름의 복합리조트 를 조성하기 위해 약 1조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했으며, 향후 해양관광단지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관 광객과 인천항만공사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해양관광단지의 성공요인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중국인 관광객 대상 퍼 지분석 결과, 서비스 친절도(0.823)가 가장 높은 순위의 중요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안전성(0.823)과 편의성(0.773), 다양한 관광상품 (0.755)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사 대상 설문으로 골든하버의 운영사인 인천항만공사 직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 고, 중요요인으로 다양한 관광상품(0.852), 접근성(0.850), 출입국심사(0.810), 편의성(0.793)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0.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ultivar of walnut (Juglans sinensis) was developed through selection from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The goal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the yielding of walnut and their fruit characteristics of walnut se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n Wild. Different varieties of walnut grown in Korea, were investigated in what concerns fruit weights, fruit length and their yielding. The walnut belongs to the family Juglandaceae.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ut crops grown in temperate regions. Walnuts, the seeds of J. sinensis are a highly nutritious food. They are also used as a traditional remedy for treating cough, stomach ache and cancer in Asia. The present investigations were undertaken during 2000-2009 in five walnut growing areas. In the present study a wide range of variation was observed in walnut characters from different locations. From these varieties, we have been regularly investigated the fruiting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average of Fruit Length (FL) and Width (FW), and Weight of Fruit (WF) and Individual Yields (IY), during 10 years to select good quality walnut tre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