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xtran(Mw.:500,000)용액의 한외여과에 있어서, 현재 나권형 모듈의 유로형성체로 사용되는 난류촉진물체를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난류촉진물체의 mesh가 증가할수록 막투과 flux가 향상되었으며, 난류영역에서는 층류영역에 비해 순환유속과 난류촉진물체의 사용에 따른 막투과 flux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난류촉진물체의 사용에 따른 막투과 flux 향상율은 사용한 membrane의 종류에 따라 층류영역의 경우 최대 112%, 난류영역의 경우 50%에 달하였다. 또한 난류촉진물체를 사용함으로써 한외여과막의 고분자 용질에 대한 배제 성능을 높일 수 있었으며, 이러한 flux 및 배제 성능 증가 등의 효과들은 높은 조작압력차와 낮은 순환유속(농도분극이 상대적으로 심한 영역)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그러나, 난류촉진물체의 mesh 수와 순환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한외여과 cell 내에서의 압력손실도 증가하였으며, 특히 난류영역에서는 그 영향이 매우 심하였으므로 실제 공정 설계시 순환유속과 압력차 및 난류촉진물체 형태에 따른 압력손실을 반드시 고려해 주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물질전달계수 예측을 위한 기존의 물질전달 상관관계식을 농도분극층에서의 고분자 물질의 물성변화를 고려하고 경계층 저항 모델에 근거하여 보정하였는 바, 기존의 관계식에 비해 오차를 줄일 수 있었으며, 이때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았다.Nsh}=0.151(NRe})0.199}(NSc})0.22}(NScm})0.197};(625
본 실험은 시설오이의 상품성 향상 및 생산성 증대를 위하여 주지형인 만능청장마디오이와 측지형인 사엽오이를 유인방법을 달리하여 재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인방법 개선을 위한 오이의 저절위 착과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만능청장마디오이의 경우는 3마디까지, 사엽오이의 경우는 4마디까지가 수량 및 상품성이 불량하여 적과재배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2. 오이의 유인방법 별 초기생육 및 과실의 개화시 자방중, 곡과도, 생장해석면에서 만능청장마디 오이는 횡유인, 종유인, 사면유인 순으로 좋았고 사엽오이는 횡유인, 사면유인, 종유인 순으로 좋게 나타났다. 3. 오이의 유인방법에 따라 초고별 상대조도와 적산엽면적지수로 본 작물의 수광태세는 만능청장 마디오이에서는 종유인과 횡유인이 사면유인보다 양호하였고 사엽오이는 횡유인, 종유인, 사면유인 순으로 나타났다. 4. 수량 및 품질은 만능청장마디오이와 사엽오이 모두에게 횡유인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1030 stud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for the food habit and weight control. Actual weights were also measured, on the spo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73.15 cm, 63.83 kg for male, and 160.52 cm, 52.73 kg for females. The prevalence of underweight, normal and overweight was 32.3, 61.7, 5.5%, respectively. 2. Food habit scores of obese females were lower than normal or underweight females. Male subjects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scores among three groups. 3. Female obese subjects have lower scores than the other groups on the balanced intake of five basic food groups and on the regular meal intakes. Male obese subjects have cholesterol-rich food and animal fat more frequently than normal and underweight males. Male underweight subjects have lower food habit scores on the balanced intake of five basic food groups. 4. Males want to gain weight slightly and females want to lose 4.65 kg weight. All females want to lose weights. Obese males and females want to lose 10 kg weights.
The sample of sub dwarfs are selected from LHS catalogue on the bases of the reduced proper motion diagram utilizing Chui criteria, and confirmed with the available photometric and/or kinematic data. Among them, 20 sub dwarfs have trigonometric parallaxes with accuracy better than 20 % . The colorabsolute magnitude relation is derived with them. By adopting this color-magnitude relation and V / V m method, we have derived the sub dwarf luminosity function over the absolute magnitude range of M v = 4.5 and 9.5. This halo luminosity function is consistent with that of Eggen(1987). By adopting the available mass-luminosity relations for halo stars, we have found that the halo IMF is steeper than disk IMFs of Scalo(1986) and Salpter(1955) in this small mass regio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centrated sulfate on the germination rate, growth rate and the productivity of weight of kudzu (Pueraria thwnbergiana Bentham). The germination rate of kudzu seed by one or two treatment retre
초 록 파밤나방은 기존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기 때문에 전남 진도의 파 집단 재배단지에서 합성 성훼로몬을 이용한 방제의 가능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파를 가해하는 해충중 우점종은 파밤나방과 파굴파리였으며, 두 종은 포장에 따라 경합을 이루어 우점종이 달랐다. 성훼로몬 트랩에 의한 방제효과는 초기에 피해가 많았던 포장은 처리 4주후에 피해엽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중간 정도의 포장은 2주후에는 약간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지만 4주후에는 같은 경향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초기피해가 낮은 포장은 계속 낮은 피해가 유지되었으며, 8주후에는 파 60주당 피해엽수가 무처리 포장에서 평균 33.2개의 반면 처리포장에서는 0.2~3개로 조절되었다. 또한 pheromone trap에 의한 웅성충의 유인량도 설치 초기에는 1.8~5.0마리로 적었으나, 2주후부터는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8주후에는 77.4마리로 초기에 비해 유인량이 28배 가량 많아졌다. 성훼로몬 트랩 유인량과 피해엽수와는 부의 상관관계(r=TEX-0.9572*/TEX)가 인정되었다. 또한 색광별 light trap의 유인량은 30일 동안 적색에 6마리, 백색에 11마리, 청색에는 전혀 유인되지 않은 반면 pheromone trap에는 1,041마리가 유인되었다.
초 록
멧누에는 실내에서의 대량사육이 곤란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부화에서부터 100%가까운 다습상태와 전후의 고온사육조건에서 간단히 사육할 수 있었다. 실내사육결과 전령경과일수는 15~25일의 범위이며 대부분의 유충은 17일 전후이었다. 용화비율은 약40%이며 용기간은 암수모두 13~25일 사이였다. 또한 암수모두 2개의 우화최고점을 가지며 수컷이 암컷에 비해 2~3일정도 빨리 우화하였다.
The tidal radii of globular clusters reflect the tidal field of the Galaxy. The mass distribution of the Galaxy thus may be obtained if the tidal fields of clusters are well known. Although large amounts of uncertainties in the determination of tidal radii have been obstacles in utilizing this method, analysis of tidal density could give independent check for the Galactic mass distribution. Recent theoretical modeling of dynamical evolution including steady Galactic tidal field shows that the observationally determined tidal radii could be systematically larger by about a factor of 1.5 compared to the theoretical values. From the analysis of entire sample of 148 globular clusters and 7 dwarf spheroidal systems compiled by Webbink (1985), we find that such reduction from observed values would make the tidal density (the mean density within the tidal radius) distribution consistent with the flat rotation curve of our Galaxy out to large distances if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clusters and dwarf spheroidals with respect to the Galactic center is isotropic.
들깨잎말명나방의 실내누대사육을 위해 누에 인공사료를 기본으로 하여 들깻잎분말을 30, 40, 50% 함유한 3종의 평판형사과(구, 구, 구)를 공시, 기주식물인 들깻잎으로 사육한 PL구를 대조로 비교사육시험한 결과, 인공사료육구가 생엽육구에 비해 번데기 및 성충수율이 높았으며 또한 번데기무게도 무거웠다. 특히 들깻잎분말 40%를 함유한 사료구의 사육성적이 비교적 우수하여 이에 의한 실내누대사육체계를 확립하였다.
인공사료에 의한 실내사육에서 부활율은 97.9%, 3령까지의 생존율은 83.3%였다. 3령유충에서의 용활율은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82.5%, 개체사육에서 48.5%, 집단사육에서 37.5%로서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가장 높았다. 유화율은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90.9%, 개체사육에서 85.2%, 집단사육에서 86.7%로 거의 비슷하였다. 톱밥을 이용한 집단 사육법은 개체사육법에 비하여 사육방법이 용이하고 인공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The initial mass functions (IMF) of 15 selected open clusters are investigated by making use of C-M diagrams and theoretical evolutionary tracks. Among 15 clusters 13 have peaks in their IMFs and it is thought to be not due to incomplete photometry but to intrinsic property. The mass where IMF peaks is about 2 M ⊙ and it is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peak in the IMF of nearby field stars. The mean slope of the IMF in the high mass part is 1.9 ± 0.6 with some variations among clusters. But there seems to be no correlation between the slope and physical parameters such as ages, diameters, and metal abundances.
We present recent data of absolute measurements of flux emmitted in the visible continua of some galactic Wolf-Rayet stars, carried out by means of a two-channel scanner built up cooperatively by the Observatoire de Lyon and the Laboratoire d'Astronomie Spatiale. Our measurements lead to the determination of stellar angular diameters which enable us to compute log L∗/L⊙ L∗/L⊙ and to locate the WR stars in the HR diagram: The WR stars are cooler than the zero age main sequence (ZAMS) and the WN7, WN8 types appear more luminous than other subclasses. The stellar wind terminal velocities, V∞ V∞ , deduced from the empirical relation of the effective temperatures by Underhil1(1983) and V∞ V∞ adopted from the work of Willis(1982) show about 2,000km/s. We derived the rate of mass loss for the program stars from the formula, ˙ M=ε(Teff)L/V∞⋅c M˙=ε(Teff)L/V∞⋅c by using the obtained effective temperatures, luminosities and V∞ V∞ in this work. Their values range from ˙ M=1.4×10−5 M˙=1.4×10−5 to ˙ M=5.8×10−5 ˙ M⊙/yr M˙=5.8×10−5M˙⊙/yr .
Luminosity profile of the late type spiral galaxy NGC 2403 was obtained using the PDS scan of the plate. Some physical parameters (scale length, total magnitude, central brightness, disk to bulge ratio and concentric indices) were calculated from the brightness distribution. Total mass and the mass to luminosity ratio were estimated from the fitting of various mass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