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영역 밖에 있는 우리 국민(넓은 의미의 재외국민)에 대한 국가의 보호‧지원과 관련된 헌법상 국가의 의무는 두 개의 중요한 축을 중심으로 논의될 수 있다. 첫째는 헌법 제2조 제2항에 근거한 재외국민보 호의무이고, 둘째는 국가의 외교적‧영사적 기본권보호의무이다. 먼저, 헌법 제2조 제2항의 재외국민보호의무의 보호대상은 본조항의 연혁적 해석 상 외국에 장기 거주하는 교민인 국민(좁은 의미의 재외국민)이다. 또한 그 보호내용은 ① 이들이 체류국에 있는 동안 국제법과 체류국의 법령에 의해 정당한 대우를 받도록 하는 외교적‧영사적 보호와 ② 외국에 생활의 근거지를 둔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민으로서 이들의 사회통합을 실현하고, 국내외 활동의 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베푸는 시혜적인 지원을 말한다. 다음으로, 헌법상 국가의 외교적‧영사적 기본권보호의무는 (국적 자가 영토고권이 미치지 않는 곳에 있다고 하더라도) 국적자의 기본권에 국가권력이 기속되어야 한다는 점에 근거하므로 그 보호대상은 (체류원 인이나 목적과 상관없이) 외국에 있는 모든 국민(넓은 의미의 재외국민) 이다. 또한 그 보호내용은, 국가의 영토고권이 미치지 않는 외국에서 발생한 국민의 기본권침해상황에서, 국가가 외교적‧영사적 수단을 통해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헌법상 재외국민보호의무의 보호내용 중에서 외교적‧영사적 보호의 내용은 국가의 외교적‧영사적 기본권보호의무의 내용과 중복되는 측면이 있으나, 후자는 좁은 의미의 재외국민의 보호·지원에 중점이 있는 전자와는 달리 넓은 의미의 재외 국민을 직접적인 보호대상으로 하고, 그 의무위반이 기본권적 보호법익의 침해를 야기하며, 이론적으로 그 보호의무에 상응하는 주관적 공권이 도출될 수 있다는 점 등에 있어 전자와 구별된다.
본 연구는 북한과 유사한 경제사회 조건을 지닌 아프리카 취약국가에서의 위기 전이 현상에 대한 분석을 북한에 실험적으로 적용해보는 것은, 북한에 대한 이해 증진에 있어 유의미할 수 있다는 시각에 기초 한다. 이러한 시각아래 2018년 8월부터 경제사회 위기가 표면화된 짐 바브웨 사례를 기술해보았다. 최근 모두 역의 경제 성장을 기록하고 있 는 짐바브웨와 북한은 낮은 경제자유도, 경제규모, 산업구조 및 무역 형태 등에서 유사성을 지닌다. 또한 양국 모두 경상수지 적자가 누적된 상황에서 각각 미국 및 미국과 유엔 제재 아래 있어 외환 확보 제약에 직면해있다. 2017년말 37년 무가베 독재 종언이후 표면화된 짐바브웨 상황은 정치변동, 물가상승, 외환시장 왜곡, 보건 위기, 사회인프라 붕 괴가 상호 악순환 고리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북한이 기본 경제 조건의 왜곡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 사태는 북한에서 짐바 브웨에서 나타난 경제사회 분야 악순환 고리 형성 및 작동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배드민턴계의 중심으로 성장 할 배드민턴 국가대표 후보선수단을 대상으로 정신력과 경쟁상태불안에 관하여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8년 아시아 주니어 배드민턴 선수권대회에 출전할 남자 16명, 여자 16명, 총 32명을 전수표집 하였다. 이 중 단식선수는 18명, 복식선수는 14명으로 구성되었다. 측정도구로는 정신력검사지와 경쟁상태불안검사지를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정신력과 경쟁상태불안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또한 유의한 상관이 있는 요인에 한해서 경쟁상태불안이 정신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인지적 불안과 주의조절, 시각화 및 심상조절 요인이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불안과 각성수준조절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태자신감은 자신감, 시각화 심상조절, 긍정적 에너지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목 구분에 따른 정신력과 경쟁상태불안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단식 선수, 복식 선수 모두 인지적불안과 주의조절, 시각화 및 심상조절이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태자신감은 시각화 및 심상조절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불안은 복식 선수 집단에서만 각성수준조절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odern Chinese copula, 是 shì, had not yet appeared in the oracle bone period. It began to emerge in Zuozhuan (左傳 ), and appeared only when expressing the judgment of complex topics. Based on the observation as such, this paper looks into the demonstrative of 是 shì, and examines its evolution before it becomes a copula. The task takes three steps: first, usages of 是 shì are investigated throughout various time periods; second,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containing 是 shì are explained according to how it is used; and last, a comparison is made of sentences containing 是 shì in excavated Chu manuscripts in order to determine their properties. What can be, in fact, expl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Chu bamboo literature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475-221 BC)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al sentence before the development of 是 shì into the copula. First, in the bamboo slips “Sande” from the fifth volumes of “Chu bamboo slips collected in Shanghai Museum”, the object prepositional phrase appears, indicating the transitional phase in which the 是 shì phrase in the first stage advances toward the second one. “Sande” is the literature of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and has a V writing section in which the object has been transposed and no '也' has appeared at the same time. Second, apart from the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stage is used as a subject, the situation in which the explanation part leads to NP/N fixation can be considered through the object transposition leading to the NP/N fixation of the topic part. Last, given that “邾公華鍾 (哉(載)公眉壽 ,邾邦是保 : Tsp, NP是 V)” is an article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t is estimated that 是 shì had been initially regarded as the object, and the phrase “TNP, NP+是+VP/V” was gradually used as a fixture through the process of the analogy and re-analysis. However, it is critical that this view be examined more closely, and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also needed.
목적 : 본 연구는 제주 해녀들을 대상으로 굴절검사와 안과검사를 수행하여 해녀들의 눈 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잠수작업이 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현재 지식잠수를 하고 있는 제주 해녀 33명(66안)에 대상으로 진행한 나안·교정시력검사, 타각적굴절 검사, 안압검사, 세극등현미경검사, 빛간섭단층촬영, 시야검사, 망막사진촬영, 빛간섭단층촬영 검사결과는 굴절상 태와 안과질환 병력을 조사하는데 사용되었다. 검사결과에 대한 빈도분석과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전체 연구 대상자의 굴절상태는 근시(43.9%)와 도난시(56.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과질환의 이환율은 군날개 6.1%, 백내장 90.9%, 녹내장 19.7%, 망막질환 33.3%로 나타났다. 이 중 백내장이 있는 사람의 61.7%가 백내장 수술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망막질환은 망막앞막(45.5%), 황반변성(27.3%), 당뇨병성 황반병증(18.2%),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9.1%) 순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해녀경력이 많을수록 백내장(Exp(B)=1.115)과 녹내장(Exp(B)=1.062)이 유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많을수록 백내 장(Exp(B)=1.220)이 유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녀경력이 많을수록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이 아 닐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Exp(B)=0.943).
결론 : 해녀들의 굴절상태, 난시 종류, 안압, 발병한 안과질환에 대해 기초 자료를 얻었으며, 이를 활용한 제주 해녀들의 눈 건강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과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포트하코트 시와 나이지리아 리버스주 오비오/아크박 지역의 인력과 기술력 부족이 농업 종합 기업 발전에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고, 또한 이외 어떠한 요인이 농업 종합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을 해보았다. 데이터는 두 지방 정부에서 300개의 농업기업에 대해 확보한 자료이다. 분석방법은 인구적 통계, 요인분석 및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다항로지스틱 분석결과 유의성이 5% 이내이며, 이는 인력과 기술력 부족이 농업 종합 기업 발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농업 종합 기업의 수익을 높이기 위해 기업 내부의 관리를 철저히 해야되고 내부 인원의 협작 및 기술능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또한 과학기술혁신을 통해 기업의 개혁을 촉진해야 한다.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종교의 자유가 헌법에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선교의 자유가 주어져 있지는 않다. 특히 외국인 신분의 선교사들 에게는 여러 가지 규제와 제약이 있어 선교활동에 한계가 있다. 이런 제한된 상황에서 30년 동안 베트남에서 사역하고 있는 장요나 선교사는 크게 두 가지 선교를 병행하고 있다. 하나는 병원 건립을 통해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선교를 하고 있고, 다른 하나는 무너진 교회를 찾아 재건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이 양쪽 기둥 사이에 현지인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교육이 조심스럽게 이루어지고 있고 고아원을 통한 어린이 사역도 진행 중이다. 안타까운 것은 주변에 협조자보다는 방해꾼들이 많아 베트남 공안에 잡혀가기도 하고 추방되기도 하며 시련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그를 핍박한 경찰이 기도요청을 하기도 하고 존경을 표하기도 하는 일도 있었다. 순교자 정신으로 선교에 매진하고 있는 그는 영혼구원이라는 분명한 목표를 갖고 현지 상황에 맞는 전략을 구상하여 베트남을 넘어 라오스, 캄보디아, 그리고 미얀마까지 선교활동을 확대하려고 준비 중이다.
We present numerical simulations of decaying hydrodynamic turbulence initially driven by solenoidal (divergence-free) and compressive (curl-free) drivings. Most previous numerical studies for decaying turbulence assume an isothermal equation of state (EOS). Here we use a polytropic EOS, P ∝ ργ, with polytropic exponent γ ranging from 0.7 to 5/3. We mainly aim at determining the effects of γ and driving schemes on the decay law of turbulence energy, E ∝ t-α. We additionally study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of gas density and skewness of the distribution in polytropic turbulence driven by compressive driving.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e find that even if γ does not strongly change the decay law, the driving schemes weakly change the relation; in our all simulations, turbulence decays with α ≈ 1, but compressive driving yields smaller α than solenoidal driving at the same sonic Mach number. Second, we calculate compressive and solenoidal velocity components separately and compare their decay rates in turbulence initially driven by compressive driving. We find that the former decays much faster so that it ends up having a smaller fraction than the latter. Third, the density PDF of compressively driven turbulence with γ > 1 deviates from log-normal distribution: it has a power-law tail at low density as in the case of solenoidally driven turbulence. However, as it decays, the density PDF becomes approximately log-normal. We discuss why decay rates of compressive and solenoidal velocity components are different in compressively driven turbulence and astrophysical implication of our findings.
이 논문은 항만국통제라는 유엔해양법협약상의 인류 보편적인 공익모델을 활용하여 정체된 남북협력관계를 푸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유엔해양법협 약 제218조, 제219조, 제220조에 따른 항만국통제를 활용하여 지역적 협력체를 체결한다면 한반도의 평화적 분위기 조성이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2017년 1월 Polar Code가 발효됨에 따라서 북극의 북극항로와 북서항로는 통항의 증가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항만국통제의 지역협력체는 본질적으로 해사안전과 환경보호를 목표를 위한 지역적 연계와 협력을 수반하며, 이러한 항만국통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논의와 지역에 대한 정보교환은 남북관계를 평화롭게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2004년 남북해운합의서와 지역적 협력체 양해각서의 비(非)법적 구속력 등은 남북한 양자에게도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유엔 및 미국 등의 북한제재법령과의 충돌가능성이 최대한 낮추게 된다.
따라서 남북한이 주도적으로『북극-동북아시아 항만국통제 지역적 양해각서』(Seoul-Pyongyang MOU)의 체결을 수행할 때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관계를 감소할 것이다. 새로운 항만국통제 지역협력체는 인명보호, 극지역 바다의 환경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는 바다의 영역에서 북한을 객관화된 국제사회로 초대하는 진입문이 될 수 있다.
The research model of panel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of the welding industry were reflected in the research model for systematic analysis of the effect of welding technology on the welding industry. As a result of the existing research, the domestic welding technology is seriously encroaching on the domestic welding industry betwee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There is no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on this aspect. In this study, the panel data analysis is used to indicate differences in explanatory power by numerical values of POLS model, fixed effect and random effect. And the prior studies on the current status of welding industry related to arc welding, special welding, multiple welding, welding and bonding technology are applied by the panel data analysis. Therefore, the problems of existing research are diagnosed while presenting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duced graphene oxide (rGO)/activated carbon (AC) composites are coated on the aluminum substrate using spray coating technique to fabricate nanocarbon-based supercapacitor. Polymer-based solid-state xanthan-gum/Na2SO4 electrolyte is also introduced to increase stability of the supercapacitor.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supercapacitor are evaluated using cyclic voltammetr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tests. The highest capacitance value of the rGO/AC composite-based supercapacitor is 120 F/g. The rGO/AC composite-based supercapacitor has also retained ~ 85% of its initial capacitance value after 3000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cycles.
We report potentiometric performances of ion-to-electron transducer based on reduced graphene oxide (RGO) for application of all-solid-state potassium ion sensors. A large surface area and pore structure of RGO are obtained by a hydrothermal self-assembly of graphene oxide. The extensive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RGO solid contact at the interface of ionselective membrane and gold electrode shows that the potassium ion-selective electrode based on RGO had a high sensitivity (53.34 mV/log[K+]), a low detection of limit (− 4.24 log[ K+], 0.06 mM) a good potential stability, and a high resistance to light and gas interferences. The potentiometric K+- sensor device was fabricated by combining of screen-printed electrodes and a printed circuit board. The K+- sensor device accurately measures the ion concentration of real samples of commercial sports drinks, coke and orange juice, and then transfers the collected data to a mobile application through a Bluetooth module. The screen-printed ion sensors based on RGO solid contact show a great potential for real-time monitoring and point-of-care devices in human health care, water-treatment process, and environmental and chemical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