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94

        2263.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시자극에 대한 시각적 주의집중 정도와 운동시표의 발현 위치가 단순 및 선택반응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스포츠에서의 운동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시각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6명과 3명의 남성 피험자는 각각 3개의 단순반응 과제와 1개의 선택반응 과제에 참가하였고, 각 과제는 1블록 120시행의 합계 22블록으로 구성되었다. 각 피험자는 의자에 걸터앉아 눈이 컴퓨터 모니터에서 40cm 떨어진 위치에, 안면고정대를 이용하여 얼굴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했다. 그리고 나서, 피험자가 버튼을 누르면, 주시점의 위치에 5∼7개의 주시자극이 300ms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제시된다. 주시자극이 제시된 후, 제시된 주시자극의 중심으로부터 8방향 (시계의 12시 방향을 0°로 해, 시계회전 방향으로 45°, 90°, 135°, 180°, 225°, 270°, 315°) 의 주변거리 1°, 2°, 3°, 4°, 5°의 위치에 무작위로 운동 시표가 제시된다. 피험자는 주시자극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다가, 시선의 중심 및 주변의 임의의 장소에서 나타나는 운동시표에 대해서, 가능한 한 빠르게 단순선택반응동작을 수행했다. 이 실험을 통해 얻어진 단순반응 시간에 대해서는 반복측정에 의한 3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선택반응 시간에 대해서는 반복측정에 의한 2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움직임 대상에 대해 주의를 많이 기울이며 운동시표에 대한 예측이 어려운 학습자는, 움직임이 예측되는 대상의 바로 위 3° 지점에 시선을 두는 것이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며 시각적 주의의 수준을 낮게 유지 할 수 있는 학습자는, 움직임 대상의 바로 위 1∼2° 지점에 시선을 두는 것으로 반응시간의 단축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2264.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decide the optimum planting time for Bupleurum falcatum L. which is grown widely in Korea, s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different regions such as mid-north area (Gangwon-do,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mid-south area (Jeollanam-do, Jeollabuk-do,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he mid-south area had the highest total saikosaponin contents of 1.001, which is the medicinal ingredients of Bupleurum falcatum L.,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Bupleurum falcatum L. regions. Also this area has the highest extract contents of 24.3%. Average dry root yields in mid-north area (Gangwon-do) were 450~460 kg/ha at planting time of March 20th to March 30th, 500 kg/ha at the time of March 30th to April 10th, and 470~480 kg/ha at the time of March 10th to March 20th in Chungcheongnam-do. The optimum planting time in the mid-south area (Jeollabuk-do) was March 10th to March 30th with the average dry root yield of 490~550 kg/ha. Average dry root yield in Euiseong, Gyeongsangbuk-do area was 470 kg/ha, and the optimum planting time was April 10th, which suggested that the yield increased as the planting time was delayed. At Jeju-do, the volcanic soil of farsouthern area, average dry root yield was 510 kg/ha at the time of March 10th, but the yield from non-volcanic soil was lower than from volcanic soil, which had a dry root yield of 470 kg/ha.
        2265.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 하천으로부터 홍수유출을 추정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들 중의 하나는 지체시간이다. 지체 시간은 집수형상디스크립터로 표현될 수 있는 유역의 형태적 특성의 영향아래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ussa(2003)에 의하여 제안된 등가타원의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개념을 유역 출구에 대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GIUH)의 지체시간 산정에 적용한다. 강우-유출 관측 자료에 대한 지체시간은 Nash(1957)가 제안한 적률법을
        2267.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mor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noxic(anaerobic)-Oxic-Anoxic-Oxic (AO)2 sequencing batch biofilm reactors (SBBRs) at the low TOC concentration. The operating time in anoxic (anaerobic) time to oxic time was 1:1.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aeration time distribution on the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removal. Three lab-scale reactors were fed with synthetic wastewater based on glucose as carbon source. During studies, the operation mode was fixed. The first aeration time to the second aeration time in SBBR-1 was 2:3, and those in SBBR-2 and SBBR-3 were 1:4 and 3:2, respectively. The organic removal efficiency didn't show large difference among three reactors of different aeration time distribution. However, from these study results, the optimum aeration time distribution in the first and the second aeration time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was shown as 3:2. The release of phosphorus was inhibited at the second non-aeration period because of the low TOC concentration and the nitrate produced by the nitrification at the first aeration period.
        2269.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비단조적으로 변동하는 시계열자료를 단조적으로 변화하는 구간으로 분할하여 경향성을 분석함으로써 자료의 시변동에 대한 동질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경향성 분석기법의 탐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를 검토하기 위한 기법으로서 시계열자료의 변동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으로 LOWESS smoothing을 적용하였고, 시계열자료의 경향성분석은 seasonal Kendall test를 적용하였다.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2270.
        200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질오염 사고를 판단하기위한 경보모형은 다중퍼셉트론과 다층신경망, 뉴로-퍼지 모형들로 구성되었으며, 개발된 기준축에 따른 안정, 주의, 경고 상태를 학습하였다. 수질예측 모형에 유출예측 모형을 연계하고 경보모형을 결합하여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시스템을 GUI로 구현하였다. GUI 화면은 초기화면, 자료 전처리 과정, 유량예측 과정, 수질예측 과정, 경보시스템의 순으로 진행된다. 수질오염 사고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시스템의 적용성을
        2271.
        200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평창강 수질자동측정망 실시간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시와 무강우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강우시에 측정된 TOC 자료는 무강우시 측정된 자료에 비해 평균값, 최대값,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강우시의 DO 자료는 무강우시에 측정된 자료보다 낮아 유량이 수질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경망 모형과 뉴로-퍼지 모형으로 수질예측 모형을 구성하고, 적용하였다. LMNN, MDNN, ANFIS 모형은 TOC 모의에서 DO 예측에서는 LMNN, MD
        2272.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속제련공학 및 환경과학 분야에 있어서 물질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적 조성이 중요한 요소이나, 입자 표면의 화학조성과 미분화된 입자들의 표면 반응성을 제어함과 동시에, 입자 계면에서 일어나는 중금속과 유기물질등의 반응은 제련공정과 환경오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수용액상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화학 물질과 광물입자 표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계면반응 과정의 이해는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자 표면 분석에는 ex-situ 법을 사용하는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분석 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는 분석대상시료의 크기가 보통 100 마이크론에서 1 cm 정도의 범위 안에 혼재-혼합되어있는 고체 입자들을 분석하기 때문에 채취 분석된 X-ray의 원래 발산한 입자표면을 분석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Time-of-Flight Secondary-Ion Mass Spectroscopy (TOF-SIMS)를 응용하여 황화광물의 부유선광 공정 중 생성된 미세한 유화광물입자(30~75 microns) 표면에 형성된 무기, 유기물의 반응 관찰을 통해 이들의 정성분석 및 상대적 정량분석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2273.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verwintering capacity, closely related to winter hardiness, of Chinese milk vetch planted with different sowing times and sowing practices wa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incorporation into cropping system in Korea. The tolerance to low temperature was evaluated with LT50 using leaf disc leaching method. Dry weight of CMV was reduced remarkably with delayed planting from Sep. 5 to Oct. 20. The differences in tolerance to freezing temperature were not conspicuous among CMV genotypes,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genotype (collections at different regions) were due to the plant architecture, mainly to the leaf angle. The crouching genotype collected at centr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which showed excellent freezing tolerant, has planophile leaves. The feature of internal constituents of CMV genotypes did not show any noticeabl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freezing tolerance which evaluated by leaf disc leaching experiment. To overcome the poor overwintering capacity, tolerant genotype should be developed by selection with considering the plant architecture. The reduction of CMV growth during overwintering period was ameliorated with furrow-sowing under late-sown condition, therefore, when the CMV is inevitably sown late after recommended time, the seeds should be sown on furrow to overcome the cold stress.
        2274.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수문시계열에서 나타나는 주기성 및 경향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Fourier Transform을 개선한 Wavelet Transform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및 적용성을 월강수량 및 연강수량 자료와 대표적인 기상인자인 남방진동지수(SOI)와 해수면온도(SST)를 대상으로 평가해 보았다. Fourier Transform은 시간적인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반면에 Wavelet Transform은 수문시계열이 갖는 시간적인 특성을
        2275.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터렉티브 리얼 타임 3D(Interactive real-time 3D)는 유저가 가상의 3차원 세계를 탐색하고 또한 몰입하는 폼의 컨텐츠를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다른 매체와는 다르게, 인터렉티브 리얼 타임 3D의 사용자(user)는, 디지털 3D의 구조에서의 작용과 반작용이 즉시 일어나는 "실시간"에서 진행되는 프로세스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276.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unique technique to extract the phase in time domain is proposed in order to measure the time parameters such as speed and depth by transmitting sound and electric waves. In the signal analysis processing, the phase of pulse signal can be transformed and digitalized with local data in real time without the effect of direct current bias and Nyquist limits. This method is sensitive to base frequency of pulse signal with high spacial resolution and is effective to compare two signals which have different forms. It is expected that the phase analysis technique will be applied to the measurement of the speed and depth accurately by ultrasonic pulse signal in water.
        2280.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49년간 (1954-2002년) 한반도 기상 관측소 자료로부터 한강과 낙동강 유역의 유역평균 월강수량 시계열의 변동에 대한 기후특성을 분석하였다. 비록 두 유역의 연강수량의 크기는 차이가 있으나 월별 변동 특성은 매우 유사하였다. 특히 4월 유역평균 강수량은 감소 경향이 뚜렷하였고, 8월 유역평균 강수량은 증가 경향이 매우 뚜렷하였다. 또한 1970년 중반에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변동에 변화가 나타났다. NINO3 지수와 한강과 낙동강 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