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94

        2481.
        198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종기가 땅콩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천엽반입을 위시한 10개 땅콩품종을 4월 15일 부터 15일 간격으로 7회 파종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각 품종의 개화까지 일수는 직선적인 감소를 보였는데 파종기의 지연에 의한 개화까지 일수의 단축정도는 Star와 Dixie Runner가 가장 낮았고 Soulheast Runner가 가장 높았다. 2. 표준 파종기에서의 각 품종의 조만성과 각 품종의 파종기 지연에 의한 개화까지 일수의 단축률 간에는 고도의 부의 유의상관(r=-0.86**)이 인정되었다. 3. 단일처리는 각 품종의 개화까지 일수의 단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단일하의 각 품종의 조만성은 4월 15일, 4월 30일, 5월 15일, 5월 30일 및 7월 14일 파종기 각 품종의 조만성과 고도의 유의상관이 각각 인정되었다. 4. 4월 30일 파종구에 비해 5월 15일 파종구에서 각 품종의 개화수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5월 15일 이후의 각 파종기간에는 개화수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5. 표준 파종기에서는 각 품종의 개화까지 일수와 개화수간에 부의 유의상관이 인정되었으나(λ =-0.72*) 그 외의 파종기에서는 개화까지의 일수와 개화수간에 유의상과이 인정되지 않았다.
        2482.
        198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ing time in winter rape (Brassica napus L.) by investigating the percent oil, 1, 000 seed weight, seed yield, dehiscent pod ratio and oil yield at 46, 50, 54, 58, 62, 66 and 70 days after flowering. Variation of all characters with days after flowering could be explained significantly by second degree polynomial equations. Percent oil and 1, 000 seed weight increased until 62 days after flowering and thereafter these traits decreased, while seed yield increased to 58 days after flowering and thereafter this trait decreased. This controversy was due to the drastic increase in dehiscent pods beyond 58 days after flowering which brought loss in seed yield. These results suggest that optimum harvesting time is 58 days after flowering and it should not be later than 60 days after flowering.
        2483.
        198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ㆍ일 원녹교잡에 의해 육성된 신품종들의 정곡수량과 외견상 품질면에서 최고수량을 얻을 수 있는 적정수확시기를 구명하여 미곡의 간접증산에 기여하고져 품종 수원26004와 밀양2003를 공시하고 출수후 25 일 이후 55 일까지의 기간에 곡립의 건물중, 수분함량, 만립성, 제현율, 도정율, 동할미율, 심복백미율, 청미율 및 수미율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곡립건물중은 수원 26004의 경우 출수후 30일 경, 밀양2003의 경우 출수후 35일 경에 최대에 이르렀고(생리적 성숙기), 그 후 출수후 55일까지 유의차가 없었다. 2. 곡립수분함량(Y, %)은 출수후 일수(X)와 수원26004의 경우 출수후 34일까지는 Y=68.245-1.33X, 그 이후는 Y=23.025-0.470X의 관계를 나타냈고, 밀양2003의 경우 출수후 25일 경까지는 Y=73.62-1.634X, 그 이후는 Y=33.59-0.570X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품종간에 출수기, 등숙기상 및 생리적 성숙기가 달랐으며 건조속도의 전환기가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생리적 성숙기의 곡립수분함량은 두 품종 모두 28%이었다. 3. 곡립의 탈립성은 인ㆍ일교잡품종 수원26004와 밀양2003, 일본형 품종 진흥 모두 출수후 35 일 경부터 50일까지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는 작았고, 품종간 차이가 컸으며. 탈립성 품종은 입당 90~100g, 비탈입성 품종은 입당 200~250g 정도의 탈립 저항성을 나타냈다. 4. 제현율 및 도정률은 두 품종 모두 출수후 35일부터 55일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동할미율과 수미율도 차이가 없었으나 청미율과 심복백미율은 생리적 성숙기부터 10일간 뚜렷이 감소하였다. 5. 이상의 수확기와 정곡수량 탈립성, 미질의 상관에서 나타난 수확적기는 생리적 성숙기 10일후 경이며, 이 시기의 곡립수분함량은 20% 정도이었다.9.0~46.9% 였고, 지방은 18.0~22.1%, 17.1~22.5% 및 16.7~23.6% 였다. 6. 종실의 평균 단백질함량은 5월 25일, 6월 10 및 6월 25일 파종이 각각 41.9, 42.7 및 43.1%로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약간 증가하였고 품종별로는 서천백묘, 백천, SS-74185 및 강림 등이 높고 수원8003, 수원8006 및 Hill이 낮았으며 나머지 품종은 중정도였다. 한편 지방함량은 각각 19.8, 19.3 및 19.2%로 파종기간 차가 작았고 품종별로는 수원8003, 수원8006, 동북대, 봉의 및 Williams 등이 높고 서천백일, 강림, 백천, 륙우003, 동산6001, 동산 7003 및 성안 등이 비교적 낮았고 기타 품종은 중정도였으며, 대체로 단백질함량이 높았던 품종들이 지방함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7. 단백질과 지방함량기간의 상관은 5월 25일 파종에서 고도의 부의 상관(r=-0.5914)이나 6월10일과 6월 25일 상관에서 각각 r=-0.3038과 -0.2975로 부의 상관경향만을 보여 파종기에 따란 상관의 정도가 약간 달랐다. 8. 10a당 종실수량은 6월10일 파종(100%)에 비해 5월 25일 파종에서 104%로 그 착 적었으나, 6월 25일 파종에서는 76%로 만파에 의한 감수정도가 컸다. 품종별 수량은 5월 25일 파종에서 동산7003, Hill 및 Williams, 6월 10일 파종에서 동산 6001, 동산 7003, Williams 및 Hill 등이 대비품종인 광교에 비해 유의증수하였고, 6월 25일 파종에서는 동산 7003만이 증수하였다. 조생종서천백묘, H-25)은 어느 파종기에서나 가장 낮은 수량이였다. 9. 만파(6월 25일 파종)에 의한 감수정도를 기준하여 내만식성정도를 분류하면 광교, 수원8003, 동산69호, 성안, H-25 및 Harosoy 등은 컸고 수원8006, 수원900
        2484.
        198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품종 '수원9호'의 만식재배시 적정수확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성숙후기로부터 주기적으로 sampling하여 수량발연항목들을 조사하고 삭수분함량, 개삭율 및 조직노화상태를 기록하였다. 아울러 작물건조제 Diquat을 살포하여 그의 효과와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개체당 종실수량과 종실수는 9월 18일 수확에 이미 최대에 달하있고, 이들은 그후 점차 감소하였으나 천입중은 9월 29일 수확기까지 증가하는 추세이였다. 2.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삭수분함량 감소하고 반면 개삭율은 증가하였다. 삭의 열개는 수분함량이 70% 이하로 떨어졌을 때 발생하였고 탈입에 따른 수량저하 급격히 증대되는 시기는 수분함량이 65% 이하이고 개삭률이 50 %이상인 때부터이었다. 3. 적정수확기는 종실수가 최대로 확보되고 삭수분함량이 70%이하로 떨어질 때부터이며 엽의 황화는 상위절까지 지전되고 50%삭이 황화되였을 때에 해당하였다. 4. 엽의 탈락이후의 천입중의 증가는 삭의 storage pool로서의 기능으로 보여지며 삭조직중의 약 5%가량이 종실중 증가에 기여하였다. 5. Diquat을 식물체에 살포하였을 때 5 일후에 삭수분함량은 40 % 이하로 떨어지고 7일후에는 90% 이상 개삭이 일어났다. 이는 포장상태 참깨보다 2주이상 건조를 촉진시켰으며 균일화의 효과가 있었다.
        2485.
        197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맥후작으로 재배하는 경우 파종기와 재식밀도가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실시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 및 성숙기는 파종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재식밀도에 따르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으며 개화일수 및 결실일수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단축되었다. 2. 경장과 평균절간장은 파종기에 관계없이 밀식에서 증가하였다. 3. 분지수, 맥수, 입수 등은 개체별로 소식에서 증가하였다. 4. 수량구성요소인 분지수는 경태, 절수, 근수, 건물중과 협수는 분지수, 절수, 건물중, 엽면적과 정의 상관을 타나내었다. 5. 콩의 수량은 간작의 경우 휴폭 60cm에 주간 20cm가, 후작인 경우에는 휴폭 40cm에 주간 20cm에서 수량이 높았다.
        2486.
        197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팔굉, 노풍, TN1 3품종을 공시하여 20℃ 하에서 인공수분하여 수정과정을 조사하고, 상기 3품종외 이외326, 밀양29, 수원264등 9개품종을 일반포장에서 이앙기를 달리하여 감戮수분열과 등숙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단음과 같다. 1 팔굉은 30℃ 하에서는 수분후 1시간30분에서 4시간후에, 20℃ 하에서는 2시간30분에서 4시간30분후에 수정이 된다. 2. 노풍과 TN1은 30℃ 하에서는 2시간에서 5시간30분후에, 20℃ 하에서는 수분후 3시간에서 6시간후에 수정이 된바. 3. 저온인 20℃ 하에서는 수정률이 저하하고, 특히 TN1에서는 극핵과 정핵 또는 난세포와 청핵의 수정이 거의 동시에 되는 것과 어느 한편만 수정이 되는 때도 있다. 4. 조발육에 있어서는 20℃ 하에서는 팔굉이 빠른 것 같고, 30℃ 하에서는TN1이 빠른 것 같다. 5. 팔굉은 이앙기가 늦어도 감수분열에 이상이 없이 정상화분립을 형성하나, TN1은 감수분열에 이상이 있어 불념화분립수가 많아진다.
        2487.
        197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육도의 출수기의 유전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5개의 육도품종과 수도품종 통일을 전조합 이면교배하여 출수기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기온실에서는 F1 의 출수기는 모두 양친의 평균보다 단축되었던 바 출수기가 빠른 쪽이 우성이었고 우성의 정도는 부분우성을 나타내었으며 비대입 유전자간의 교호작용은 인정되지 않았다. 2. 하기포장에서는 교배조합에 따라 F1 의 출수기가 우친의 평균보다 단축되거나 혹은 지연되었는데 평균 우성의 방향은 출수기가 늦어지는 쪽이었으며 우성의 정도는 회귀선이 원점위를 통과하여 부분우성을 나타내고 었었다. 3. 하기포장의 경우 Wr, Vr간의 회귀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Unit slope과도 멀어 비대립유전자간의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는데 평화나 와 삼낭에 교호작용을 유발하는 인자자리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4. 동기온실의 경우 평화나 및 청국대왕은 우성대에 포천장망벼와 농림나 001는 열성대에 위치하였는데 하기국장에서는 삼낭과 청국대왕은 우성대에 그리고 통일과 농림나 001는 열성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2489.
        197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과 일년생잡초와의 경합시기와 잡초경합에 의한 콩의 수량감소를 추정하기 위하여 파종후 2주간격으로 10주까지 그리고 전생육기간동안 잡초를 제거하지 않고 그 이후 제초하였을 때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실험포장의 우점잡초는 피, 바랭이, 참방동산이, 여뀌, 쇠비름, 쑥, 명아주 등이었다. 2. 잡초와의 경합기간이 길어질수록 콩의 생장이 억제되어 콩의 LAI와 CGR이 크게 감소되었다. 3. 초장, 주당분지수 및 주당협수도 잡초와의 경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콩의 수량은 파종후4주 이전까지 잡초를 제거하기 시작한 경우 잡초외 경합에 의하여 3∼6% 감소되었으나 8주이후에 서초를 하면 수양감소가 심하였다. 5. 중의 수량과 초장을 제외한 LAI. CGR. 주당협수 및 분지수간에는 유의상관을 나타내었다.
        2490.
        197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의 신품종 밀양 2003에 관하여 지대별 안전재배 체계를 확립하고저 파종기와 묘대일수를 각각 달리해서 평야지대인 이리와 산간지대에 속하는 진안 시험지에서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와 묘대일수를 달리한 묘의 소질에 있어서는 파종기와 묘대일수가 연장될수록 초장과 엽수는 증가되었다. 묘소질의 양부를 결정하는 지상부건물중/초장은 4월 10일파종의 40일∼50일묘가 높아서 조파 조식의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그 정도는 산간지대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2. 재배시기이동으로 본 기본영양생장성은 커서 영양생장기간이 4월 10일간기파종한 40일묘에 있어서는 53일간이었고 4월 20일 적기파종의 40일묘는 8일간이 단축되였으며 만파재배 4월 20일의 40일묘는 무려 13일간이나 영양생장기간이 단축되였고 그정도는 묘대일수가 연장될수록 단축되였다. 3. 출수기의 반응은 파종기와 묘대일수에 따른 차리가 있으나 그정도는 파종기에 의한 출수지연보다도 묘대일수의 연장에 따른 출수지연이 보다 현저하므로 이 품종에 관한 지대별 적정재배한계기는 평야지대인 이리의 경우이앙기는 6월 10일까지이며 4월 10일 파종일때에는 40일∼60일묘이고 4월 20일파종에 있어서는 40일-50일묘이다. 진안과같이 산간지대에서는 적정 이앙한계기가 5월 30일 이내이며 40묘가 가장 적합하였다. 4. 묘대일수와 이앙기는 지연될수록 주당수수는 감소하는 반면에 주당영화수는 증가되는 경향이다. 등숙비율은 낮아지며 특히 산간지대에서 더욱 저조한 편이다. 5. 광합성능력에 의한 경엽내의 동화물질의 축적과 탄수화물 관계는 이앙기와 묘대일수가 연장될수록 낮고 탄수물질의 축적이 많을수록 탄수화물의 분배양이 많었다. 6. 수양성은 평야지대인 이리에서 보통 4월 20일파종 50일묘의 수량(585kg/10a)에 비해서 우위에 있는 재위에 있는 재배시기는 4월 10일 파종의 40일묘>4월 10일파종 50일묘=4월 20일파종 40일묘>4월 10일 파종 60일묘 등이고 진안과 같은 산간지대 일수록 수양성은 낮으나 그폭은 매우 좁아서 조파조식의 효과가 현저하였다.
        2491.
        197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맥의 생육시기별로 질소비료를 추비하여 맥체의 형태적,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져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 추비에 따른 대맥의 형태적 특성변화의 추이를 보면, 도복과 관련이 깊은 형질, 중, 3월 추비구가 제 3-5절간장이 짧아지고, 지상부 생체중, 단위간 건물중이 많으며, 간 외경, 내경이 굵고 간 벽후가 두꺼워 내도복성인 소질을 보였다. 2. 생리적 특성변화의 추이를 보면, 저항성을 표시하는 좌절하중, 좌절시 Bending moment가 3월 추비구가 가장 높아 도복저항성이 강하였다. 3. 간의 만곡난이를 나타내는 단면계수, 단면 2차 moment등이 3월 추비구가 극히 높아 만곡이 되지 낳고 도복의 종합적인 표시방법인 도복지수가 낮아 도복의 저항성 및 강도가 가장 강하였다. 4. 3월 추비구는 수중이 높고 주당수량이 높아 적전추비기로 구명되었다.
        2492.
        196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olygenic variation in flowering time of soybean irradiated with Co 60 gamma ray evaluated in the R2 generation. The genetic variance in the irradiation treatment was about four times that of the control. The basic possibility of selection for the early and the late in flowering time of soybean after irradiated with Co60 was suggested in this paper.
        2493.
        196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수확 비료체계의 확립을 위하여 추비기 및 추비바업이 소맥의 수량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비구는 보비구에 비하여 수수 1수립수 및 수량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저온 건조한 기상조건으로 말미암아 비료의 흡수 소화가 원활하지 못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2. 질소추비량의 1/3을 출수기에 토양시비 한 것은 6~7% 감소되었다. 3. 질소추비량의 1/3을 출수기에 요소엽면산포한 것은 4~6% 증수하였으며 1수립수와 천립중이 증대되었다. 4. 추비시기는 3월중하순이 가장 증수되었다. 유효경비율과 수중이 훨씬 크고 간장, 수장, 수수, 1수립수 및 천립중도 약간 컸다.
        2494.
        196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품종 "진흥" 공시하여 경엽의 절제 시기 및 정도, 그리고 절제 후의 시비량의 차이가 생육 및 수량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보통기재배조건하에서 최고 분얼기와 그 10일 전후에 무절제구 및 초장의 1/3, 1/2, 2/3절제구에 질소를 10a당 0, 2, 4, 6kg 시용하는 시험을 실시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육에 미치는 영향 : 경엽의 절제구는 절제 후 10 일간에 급속히 생장하며, 대체로 20일 후에는 거의 회복되었다. 1) 절제시기가 늦을수록 생육속도는 빠르며, 유수형성기 전에 절제한 것은 거의 회복되고 조건에 따라서는 무절제구보다 시장하나 유수형성기 이후에 절제한 것은 다소 초장이 작았다. 2) 절제의 정도가 클수록 급속한 신장을 하며, 절제의 정도가 경한 것은 초장이 오히려 증대되었으나 심히 절제한 경우에는 완전한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3) 절제 후의 질소시용은 생육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그 정도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컸다. 4) 경엽의 절제는 출수를 지연시켰으며, 절제시기가 늦을수록, 절제정도가 클수록, 그리고 절제 후의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그 경향은 뚜렷하였고, 범위는 6일간이었다. 2. 수량형질에 미치는 영향 : 수량은 경엽의 절제에 의하여 대체로 감소되었으나 조건에 따라 변이가 커서, 대조구에 비해 최고 약 25%의 감수 및 10%의 증가를 보였다. 1) 유수형성기 이후의 절제는 간장, 수수, 1수정화수 및 등열율을 감소시키고, 수장 및 유효경비를 다소 증대시켰으며, 수량 및 고중은 약 10% 감소되었다. 2) 경엽의 절제가 경한 경우에는 유효경비가 다소 증대되었으나 1수정화수는 다소 감소되었고 수량 및 고중도 약 4~5% 감소되었다. 그러나 초장의 2/3를 절제하면 수장, 수수 및 1수정화수가 뚜렷이 감소되었고, 수량 및 고중도 약 10% 정도 감소되었다. 3) 절제 후의 질소시용은 10a당 2kg 이하일 경우에 유효하였으며, 4kg 이상의 시용은 간장, 수장, 1수정화수 및 고중을 다소 증대시켰으나 등열율 및 천엽중을 감소시키고 수량은 시용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다. 따라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