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작물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24권 3호 (1979년 10월) 13

1.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립의 Amylose 함량과 Alkali 붕괴성을 달리하는 품종 및 계통을 홍시하여 개화 10 일후부터 5일 간격으로 미립내 Amylose함량 및 Alkali 붕괴성을 검정하여 미립등숙과정에 따른 변이를 검토하였다. 1. 등숙 진전에 따른 미립내 Amylose함량과 Alkali 붕괴성은 최초에는 다소 낮았고 20일 후부터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다. 2. 등숙기간중 어느 시기에서도 Amylose함량과 Alkali 붕괴성의 계통간 차이는 분명하였다. 3. 등열기간중의 기온와 Amylose함량 및 Alkali 붕괴성과에는 전반적으로 부의 상관경향을 보였으며 Amylose함량과 최고기온과는 해에 따라서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4. Amylose함량은 Alkali에 비하여 발육시기별 및 온도에 따른 변이의 건이 넓었다.
2.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748개의 벼 품종을 파종하여 토양수분이 포화된 상태로 30일간 재배한 후 40일간 단수하여 한발을 조장한 다음 각 품종들의 한발에 대한 반응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발처리기간 중 초장의 신장정도는 일본품종들이 가장 컸고 IRRI 도입품종, 한국재래품종 및 Indica / Japonica 품종 순이었다. 2. 한발처리후의 위조정도는 IRRI도입 품종들이 가장 경미하였고 일본도입품종, Indica / Japonica 품종 및 한국재래품종 순이었다. 3. 유묘기 내한성품종으로 원길조, 한양도, YR 52-BF7 -67, Satominori, Mamoriaka, 적야난11004, 죽 홍난, IR 937-55-3, IR2735-F3B-6-2, IR 2871-53-2, BFI769 /Dwan, Khoo Dook Mali-4-2-105, Os6, Palawan, IRAT10, TOS 2583 및 H-l05 등이 발달되었다. 4. 한발처리후의 조장, 조장신장량 및 초장신장율과 위조정도와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5. 한발처리후의 지상부 생체중, 건물중 및 수분함량과 위조정보와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특히 수분함량과 위조정도와의 상관이 높았다.(r=0.860, n=21). 6. 한발처리후의 도열병발병과 위조정도와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7. 발아속도 및 처리전초장 (30일묘)과 내한성과는 상관이 없었다.
3.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품종 진흥과 아끼바레를 써서 1974년부터 3개년에 걸쳐 폿트시험한 성적을 가지고, 석회 물질의 시용 또는 논토양의 pH가 벼의 수량구성요소에 어떻게 영향하는가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석회, 규석회분말, 자연분말석회(탄산석회) 등의 석회물질은 주당수수를 감소시키는 대신 수당입수를 증가시키고 념실율과 천립중도 높였다. 2. 석회물질을 이앙 2 또는 4주전에 시용하였지만 소석회와 탄산석회인 자연분말석회는 아직도 고알칼리 또는 탄산의 해독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3. 소량의 석회물질(10a의 표토를 10만kg으로 보았을 때 200kg 이하)을 시용하였을 때는 무배수상태에서도 3년째부터는 벌써 설회의 효과가 소주된 것 같다. 4. 점사가 많은 토양일수록 토양의 화학적 성질인 균일하게 개량하기 위해서는 더 정교한 처리작업을 해야할 것이다. 5. 석회물질이 주당평균수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큰 것은 영양생장기에 많이 흡수한 칼슘이 탄소동화산물질을 소모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6. 석회물질의 시용이 벼의 영양생장을 억제하고 생식생장을 조장하는 상반된 효과를 식물영양생리적인 양적으로 연구하는 일은 벼 다수확 재배기술을 확립하는 중요한 기초과제라고 생각된다.
4.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유묘의 내냉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써 저온경화의 가능성과 한계를 구명하고저 품종통일과 진흥을 공시하여 주야간 30˚/20˚ 에서 생장한 제3 엽기묘를 6일간 저온경화를 한후 주야간 8℃ 항온의 저온에 0, 2, 4, 6, 또는 8일간 처리하고 30˚20℃ 조건에서 냉해를 발현시키므로써 저온경화를 평가하였다. 저온경화방법은 주야간 30˚/20℃ 생장묘~rightarrow24˚14℃(3일간)~rightarrow18˚/12℃(3일간)~rightarrow8℃ 냉해유발처리의 순서를 갖는 점진적 경화와 306˚/20℃생장묘~rightarrow30˚/20℃, 단 1일 4시간 8℃(2일간)~rightarrow30˚/20℃ , 단 1일 6시간 8℃(2일간)~rightarrow30˚/20℃ , 단 8℃ 16시간 1회~rightarrow8℃ 냉해유발처리의 단시간 저온의 반복적 경화 2가지 방법이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냉성이 약한 품종 통일은 8℃ 저온을 4일간 처리하면 경화를 하지 않은 유묘는 묘생존율이 25%에 지나지 않았으나 점전적 경화률은 묘생존율이 59%, 반족적 단시간 경화묘는 묘생존율이 89% 정도로써 저온경화의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8℃ 저온이 6일간 이상이 되면 경화묘들도 묘생존율이 모두 20%이하로 떨어졌다. 2. 내냉성이 강한 품종 진흥은 비경화묘도 8℃ 저온처리 8일간에서도 묘생존율은 90%이상이어서 묘생존율면에서는 저온경화 효과를 분화시키지 못하였다. 3. 8℃ 저온처리 및 냉해발현후 엽신의 변색고사현상은 품종 통일과 진흥 모두 비경화묘보다는 점진적 경화묘, 그보다는 반복적 단시간 경화묘가 뚜렷하게 정상엽면적비율이 높고 저온경화의 효과가 뚜렷하였다.
5.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맥에 있어서 온도 및 일장변화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장광 등 8개품종을 공시하여 온도 20℃ , 14℃ , 24시간일장, 12시간일장을 가각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출수일수에 있어서 장광과 Parker는 단일에 의한 출수지연도가 커서 단일에 민감하고 Yecora 70, Bezostaya, 수원 169호는 단일에 의한 출수지연도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적어 둔감하였다. 2. 간장에 있어서 Bezostaya는 단일에 의하여 평균간장보다 훨씬 더 커지고 Yecora 70은 일장에 따른 간장의 변화가 적었다. 육성 003는 저온(14℃ )에서 장간화되며 장광, Yecora 70, Blueboy는 온도에 따른 간장의 차이가 적었다. 3. 단일에 의하여 수장이 길어지는 품종은 Parker, 장광, Sturdy 등이며 저온(14℃ )에 의하여 수장이 길어지는 품종은 Yecora 70, 수원 169호, 육성 003이고 장광은 고온(20℃ )에서 수장이 짧았다. 4. 주당수수가 단일에 의하여 증가되는 품종은 Blueboy, Parker, 수원 169호, 장광 등이며 Parker, Yecora 70, Sturdy, 육성 003 등은 저온(14℃ )에서 수수가 많아지나 장광은 오히려 감소되었다. 5. 단일에 의하여 장광은 1수립수가 크게 증가되었고 저온(14℃)에 의하여 Yecora 70만이 1수립수가 증가되었으나 다른 품종들은 감소되었다. 6. 간립종은 단일에서 전품종이 감소되나, 그중에서도 장광, 수원 169호, Parker가 심하게 감소되었으며 저온(14℃)에서는 고온(20℃ )에 비하여 간립중이 높았는데 Parker와 Sturdy가 훨씬 간립중이 증가되었다. 7. 수량은 Blueboy, 수원 169호, Parker가 단일에 의한 증가율이 높고 저온에서는 Yecora 70, Parker, 육성 003, Sturdy의 수량증가가 많았다. 수량구성요소중 주당수수와 1수립수는 단일에서, 주당수수와 간립중은 저온에서 각각 증가되어 수량이 많았다.
6.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광을 답리작에 공시하여 휴립로타리 파종기계(동력경운기부착용)에 의한 파종작업의 성력화 정도와 이에 따른 적정파종량 및 시비량을 구명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습윤정도에 따른 휴립로타리 파종기계 재배시험 가) 휴립로타리 파종기계를 이용할 경우 10a당 파종작업에 소요되는 노동시간은 건답상태에서는 72분(1977) 및 73분(1978) 소요되어 66% 및 77%의 성력효과가 있었다. 나) 반습답상태에서는 100분으로 비하여 83%의 절감효과를 보여 건답상태보다 성력효율이 높았다. 2. 휴립로타리 파종기계 재배시의 시비량대 파종량시험 가) 10a당 3요소를 12~8~8kg 시용한 구보다 증비구에서 월동율이 다소 양호하였으나 파종량 간에는 30 /10a 구서 약간 불량한 것을 제외하면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나) 도복 및 수병발생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많았으며, 같은 시비량 조건에서는 파종량이 과다한 구에서 도복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다) 유효경비율은 시비량 간에는 62~66%로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량 간에는 10a당 10 에서 30 로 증가됨에 따라 80%에서 53%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다. 라) 풀수기의 엽면적지수는 표준비 6.7에 비하여 1.5배비 및 2배비는 9.3~9.4로 많았으며 파종량이 많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마) m2 당 수수는 시비량 및 파종량이 많을수록 뚜렷이 증가되었으나 1수립수는 파종량이 많은 구에서 다소 감소하였다. 1수립수는 파종량이 많은 구에서 다소 감소하였다. 천립중은 이와 반대로 2배비 < 1.5배비=표준비, 10=15=20 < 25=30 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바) 답리작에서 휴립로타리 파종기를 이용할 경우, 일정 면적당 수수를 확보하기 위한 과정파종량은 표준비시는 10a당, 20l내외, 1.5배비 및 2배비시는 15 내외이며, 시비량은 증수 및 안전재배면을 고려하여 18~12~12kg로 시용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7.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맥후작으로 재배하는 경우 파종기와 재식밀도가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실시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 및 성숙기는 파종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재식밀도에 따르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으며 개화일수 및 결실일수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단축되었다. 2. 경장과 평균절간장은 파종기에 관계없이 밀식에서 증가하였다. 3. 분지수, 맥수, 입수 등은 개체별로 소식에서 증가하였다. 4. 수량구성요소인 분지수는 경태, 절수, 근수, 건물중과 협수는 분지수, 절수, 건물중, 엽면적과 정의 상관을 타나내었다. 5. 콩의 수량은 간작의 경우 휴폭 60cm에 주간 20cm가, 후작인 경우에는 휴폭 40cm에 주간 20cm에서 수량이 높았다.
8.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내륭성계통의 효율적인 Screening 방법을 확립코저 국내재래종을 재료로 여러 생육기별로 15일간 그늘처리를 하여 초장, 주당마디수, 가지수, 협수와 100입중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1. 초장은 2차처리구인 7월 21일부터 8월 4일 기간의 그늘처리에 의해 도장현상을 보였고 주당마디수와 가지수, 입중 등은 그늘처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2. 주당협수와 수량은 모두 1차 처리구인 7월 6일부터 7월 20일 기간외는 무처리에 l해 감소되고 이때의 계통간 차이도 컸다. 3. 내륭성계통의 Screening을 위해서는 개화말기부터 결협기에 그늘처리를 하고 주당협수를 선발지표형질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9.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최근 중부지방에서 심하에 발생하고 있는 콩 양저형 SMV의 내병성품종 탐색 및 파종기를 달리하였을 때 본병해의 발생경향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5년과 1976년 2개년 동안 한국, 일본, 미국품종등 30품종을 4회 파종하여 시험 하였으며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체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양저형 SMV의 발생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MV의 발생은 파종기 이동에 큰 차이가 없었다. 2. 공시품종중 한국 주요 장여품종과 일본품종들 가운데에 심하게 구병된 품종이 많았고 미국품종들은 구병정도가 낮았으며 품종간 구병정도의 차이가 심하였다. 3. 단작 및 맥후작 콩 파종기에 속하는 5월 15일부터 6월 24일까지 한국 주요 장여품종의 양저현 SMV의 평균 구병율은 37~54% 정도이었으며 은대두>육우003>강림>광교>동북태의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4. 양저형 SMV와 SMV의 구병정도 사이에는 어느 파종기에서나 고도의 부의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10.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을 온도조건 및 재실거리를 이동시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온은 비닐 무피복구에 비하여 비닐 피복구가 4월중순경에 4.6℃ 나 높았으며 초기생육의 왕성으로 햇빛을 차단하므로 6월중순부터는 지온이 떨어졌다. 2. 생육기간중에 착화수는 상당수에 이르나 그중 수정하여 자방병이 생기고 지하에 침입하여 결실하는 것은 58.8%이다. 3. 개화수의 대부분이 1~4지에 착생하나, 자엽정분지는 발육이 개화수의 60~70%를 점육하고 있다. 4. 총개화수는 분지의 차별 착생율에는 심한 차가 인정되었다. 5. 주당협실비율 및 결실비율은 밀식보다 소식에서 높았고 만파보다 조파에서 좋았다. 6. 유효개화 한계기는 7월중순이다. 7. 식물체분석은 경보다 엽이 N, Ca, Mg 함량이 많으나 P2O5, K2는 엽보다 경에서 많았다. 8. 수량은 무피복 5월 10일(129kg/10a)에 비하여 비닐피복 5월 10일이 9%, 4월 20일이 49% 증수되었다.
11.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의 재배 및 기내재양시 Callus 조직의 유기와 생장 및 Callus조직으로부터 근 및 경엽의 재분화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7℃ 내지 21℃ 에서는 배에서 발아한 유묘가 정상적인 성장을 보였으며 특히 21℃ 에서 가장 왕성한 생육을 보였으나 25℃ 에서는 경의 신장이 억제되고 엽의 엽록소가 퇴화되었으며 29℃ 에서는 잎은 백화고사하고 생육이 정지 되었다. 2. 2년근인삼의 생육역시 17℃ ~21℃ 에서는 정상적이 었으나 25℃ 에서는 경엽의 신장이 억제되고 엽중앙부의 엽록소가 퇴화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29℃ 에서 가장 왕성하였다. 4. Callus조직으로부터의 근의 재분화는 고온에서 축진되었으며 29℃ 에서 발근량이 가장 많았으나 25℃ 이상의 온도에서는 경엽의 분화가 거의 없었다. 5. 25℃ 이상에서 배양하던 Callus를 21℃ 로 배양온도를 낮추면 Callus에서 아가 형성되고 경엽이 분화신장된다.
12.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변이계통의 선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자경종, 황숙종, 미국종의 일년생에 대하여 여러 가지 농경형질의 변이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anax quinquefolium이 Panax ginseng에 비하여 모든 형질의 변이가 큰 경향이었다. 2. Panax ginseng에 있어서는 자경종이 황숙종보다 형질변이가 크게 나타났다. 3. Panax ginseng, Panax quinquefolium 공히 경장, 엽장, 근장 등의 형질은 변이가 큰 반면에 경직경, 근직경 등의 형질은 비교적 적게 변화하였다.
13.
197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설탕소비량은 인구증가와 식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매년 증가되고 있으며 국내생산이 전연되고 있지 않어 많은 량을 도입에 의존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적지로 보이는 대관령지역을 중심으로 한 우량품종선발 재배법구명등을 1963년부터 1976년까지 일련의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국 및 일본도입품종은 초장이 짧고 주당생엽수와 주당고엽수가 많으며, 화란도입품종은 초기에 갈반병지수가 낮고 미국과 일본도입품종은 높았으며 품종별로는 Doneu57과 H-674가 갈반병에 강하였다. 3. T/R Ratio, Brix, 근중당도는 도입국별로 보면 미국<일본<화란품종<이 높고, 순도율은 미국<화란<일본도입품종이 높았다. 4. 근중은 도입국별로 보면 화란<일본<미국 품종순으로 높았으며 품종별로는 Honyuku 399, GW-476, GW-443, H-674 등이 매우 높고 가제당량은 도입국별로 보면 미국<화란<일본품종순으로 높고 품종별로는 Doneu 57, H-674, Honyuku 399, U.S-22/4, Polyrave-E.가 높았다. 5. 주요형질 상호간의 상관에서 근중은 주당엽수, 주당생엽수 및 주당고엽수가 많을수록 근중이 높은 정의 상관(r=0.3848~0.8190)이 있었고, T/R Ratio, 근중당도, Brix 및 순당율이 높으면 근중이 낮은 부의 상관(r=0.3138~0.5675)를 보였다. 6. 가제당량은 초장이 크고 주당생엽수가 많으며 주당고엽수가 적은 경우에 가제당량이 높아지는 정의 상관(r=0.5335~0.5901, -0.375)이 있고, T/R Ratio가 높고 순당율, 근중당도, 근중이 높으면 가제당량이 높은 정의 상관(r=0.3223~0.5305)이었었다. 7. 근중당도는 초장 및 주당생엽수가 많으면 높아지는 정의 상관(r=0.2310~0.4497)이 있고, 주당고엽수가 많으면 낮아지는 부의 상관(r=0.6264)이 있으며 T/R Ratio, Brix, 순당율과는 정의 상관(r=0.3990, 0.9274, 0.4492)를 보였다. 8. 표고가 높으면 높을수록 초장이 길어지고 주당엽수, 주당생엽수가 감소되며, 주당고엽수, T/R ratio는 증가되는 경향인데 표고 400m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9. 갈반병 피해지수는 표고 400~700m 에서는 발생이 적으면서 표고 400m 이하에서는 급격히 갈반병 발생이 증가되었다. 10. Brix, 근중당도 및 순당율은 표고가 높을수록 증가되고 표고가 낮을수록 감소되는데, 표고 200m 이하에서는 현저히 감소되었다. 11. 근중과 가제당량은 표고가 높으면 높을수록 증가되고 표고가 낮을수록 감소되며 표고가 400m 이상에서는 그 차이가 적으나 표고 200m 이하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12. 질시시용량 및 추비회수에 따른 초장, 주당엽수는 표준비에 비하여 질소시용량과 추비회수를 증가하여도 증대되지 않으며 주당경엽중과 근주는 질소 50% 증비 추비구가 높았다. 13. 근중은 질소 50% 증비 추비구가 표준비보다 증수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Brix 도는 질소시용량 및 추비회수 증가에 따라 증대되지 않았다. 14. 주당생엽수는 조기부터 전엽한 구는 감소되며 후기에 전엽구는 증가하나 무처리구보다 적었고 7월 25일 이후 고엽전엽구는 무처리구보다 적었다. 15. 각 시기별 신엽 또는 고엽전엽구에 비하여 경엽중이 낮으며 7월 25일, 8월 25일 이후 신엽전엽구가 가장 많았다. 16. 근중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신엽 또는 고엽엽구가 많았으며 신엽 또는 고엽전엽구나 전엽시기에 따라 큰 차이가 적었고 전엽구는 우기근중의 증가속도가 무처리구보다 빠르고 높았다. 17. Brix도는 전엽시기에 따라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으며 7월 25일 이후 고엽정엽구가 높았고 7월 25일이후 신엽 및 고엽전엽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8월 25일~9월 24일까지의 Brix 증가속도가 빨랐다. 18. 갈반병방제를 위하여 Triphtin과 동수화제를 철포한바 Triphtin 수화제처리구가 갈반병지수가 가장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