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33

        341.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activity of different citrus fruit peels, antioxidant compounds in 70% ethanol extracts of mandarin, lemon, orange, and grapefruit peel powders were identified, and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quantitated. Mandarin peel containe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total flavonoid substances (21.46±0.12 mg GAE/g and 11.57±0.05 mg RE/g,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three other citrus fruits was 14.16±0.18-18.44±0.07, and their total flavonoid content was 5.51±0.10-7.46±0.09 mg RE/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lemon peel (87.64±0.21%), and mandarin peel displayed the best antioxidant activity with respectiv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measurements of 43.20±0.61% and 78.82±1.06 mM TE/g. Grapefruit peel antimicrobial activity increased with treatment time, and was the most potent among the four tested citrus species, inhibiting Staphylococcus aureus by about 4.05 log cycl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mandarin and grapefruit peel can be used to prevent oxidation, improve food storage capabilities, and potentially preserve food quality.
        4,000원
        34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역전기투석(reverse electrodialysis, RED)은 이온교환막을 격막으로 이용하여 해수와 담수의 농도차로부터 발전하 는 유망한 친환경 재생에너지 기술 중 하나이다. 이온교환막은 RED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구성요소로 낮은 전기적 저항, 높은 이온선택투과도, 우수한 내구성 및 저렴한 제조 비용 등의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두께 및 기공율을 갖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이용하여 세공충진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고 이온교환 고분자의 조성과 막 두께가 RED의 발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온교환막의 전기적 저항이 충분히 낮은 경우 RED 발전 성능은 주로 막의 apparent permselectivity에 의해 좌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막의 apparent permselectivity는 IEC, 가교도, 막 두께, 표면 개질 등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기적 저항과의 trade off 관계를 고려하여 최적 조건을 찾아야 함을 확인하였다.
        4,300원
        343.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 공장에서 배초향(Agastache rugosa Kuntze) 재배 시, 야파시간에 따른 생육과 항산화 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본엽 4매인 배초향 묘 를 백색 LEDs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스템에 정식하였다. 야파 처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06시부터 광도 200μmol·m-2·s-1 조건으로 시간을 24시간 주기에서 18:1:2:3, 18:2:2:2, 18:3:2:1 (명기:암기:명기:암기) 비율로 처리하였으며 대조구는 20:4 (명기:암기)로 설정하여 4주간 재배하였다. 엽장과 엽폭, 화아 수를 제외하고는 유의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배초향 지 상부의 항산화물질 함량은 tilianin과 acacetin이 높았고, 지하 부에서는 rosmarinic acid(RA)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배초향의 건물중당 RA함량은 18:1:2:3과 18:2:2:2에서 대조 구보다 47.92, 51.46% 높았고, 건물중당 tilianin과 acactin은 18:3:2:1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야파처리를 하였을 때 동일한 누적 광량으로 인해 생육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8:2:2:2의 야파처리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 라서 인공광을 이용한 배초향 재배 시스템에서 야파처리를 통 하여 생육 저하 없이 배초향의 항산화 물질 증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44.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암기조생’ 감귤 과실의 표면온도와 일사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일소가 유발되는 과실 표면온도를 예측 하고 일소 발생을 경감시키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온 이 31℃일 때 30분 간격으로 5분 미세살수와 1% 탄산칼슘, 4% 카올린 용액을 10일 간격으로 3회 엽면살포하여 일소과 발생과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다. 과실 표면온도는 일사량과 R = 0.788(p < 0.01)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한 낮에는 기온보다 최고 16℃가 높았다. 과실 표면온도를 추정 하는 회귀식 y = 0.099 × (대기온도) + 0.018 × (일사량) + 20.779(R = 0.687, p < 0.01)을 도출하였다. 30분 간격으로 5 분 미세살수시 수관 내부 온도가 무처리보다 5.1℃ 낮았다. 일 소과 발생률은 미세살수구가 2.1%로 무처리구보다 2배 이상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냈으나, 과실 품질은 처리 간에 비슷하였다. 햇빛을 반사하거나 미세살수를 실시하여 과실 표면온도를 낮추면 일소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4,000원
        348.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360.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Currently,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dominated by large-scale projects such as roads, ports, airports, and buildings. Construction on such projects is generally conducted simultaneously, but the process and quality management are led by a small number of responsible managers. In the case of road pavements, owing to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economic growth, and the expansion of social overhead capital investment in the road construction industry, highways and general national roads have been constructed on a large scal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mprove and develop domestic concrete production and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transparency of production quality management and simplifying business processes. This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Internet of Things (IoT)-based cement quali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automated design and build (D/B) construction and real-time monitoring. METHODS : The "IQ" system is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enabling real-time monitoring of D/B quality at the time of concrete production an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age by utilizing quality test equipment developed with an LTE-Bluetooth func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identify and respond to quality problems through real-time monitoring, secure a reliable quality D/B because the quality test results cannot be arbitrarily manipulated, and to simplify the work process through the automatic D/B construction. In addition, improved quality control can be achieved through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and feedback system operations between contractors, managers, and personnel involved in construction. The quality control test items for developing the IQ system are the compression and flexural strengths, as these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esign standard strength of pre-curing concretes (such as their slump and unit quantity) and the adequacy of the workability and durability, as well as the air volume to predict the durability, and the chloride content in the sections where reinforcement is used. CONCLUSIONS : This study identified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in quali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in the domestic quality management systems, and in the real-time monitoring between managers and contractors. Thu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n improved systematic and reliable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 IQ system was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