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2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concerns ifself with the problem of the label <φ,φ>, which is suggested by Chomsky (2013) as the label of the syntactic object constructed by Merge of TP with the subject DP. To solve Adger’s (2012) specifier problem, Chomsky (2013) assumes that features can be the label of {XP, YP} when they are shared by the two phrases. The typical case for this labeling involves the syntactic object {Subject, TP}, which has <φ,φ> as its label. Considering that this labeling algorithm induces some conceptual problems, we would like to suggest in this paper that another mechanism be hired to solve the problems to the effect that the phi-phrase is eliminated. Adapting Uriagereka’s (1999) multiple spell-out and Takita, Goto, and Shibata’s (2016) visibility hypothesis for transferred elements, this paper can successfully solve the problem of phi-phrase.
        22.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rphosyntactic and prosodic information is accessed by native speakers of North Gyeongsang Korean when interrogatives are interprete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interface between these structures. To do so, the study analyzes the syntactic and prosodic structures of the dialect’s yes/no and wh-questions, and then examines the rate of comprehension and acceptance of the two types of the interrogatives in a perception test. The prosodic structures in the test are modified by transplantation, the results of which allow us to find out the following. First, presented with the interrogatives whose syntactic and prosodic structures did not match, the native subjects of Gyeongsang Korean relied more on the prosodic structures than on the syntactic ones. Second, changes in prosodic structures had a strong influence on simple sentences, but relatively less so on complex sentences. These resul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prosodic structures are the decisive factor in syntactic interpretations, and, accordingly, are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the syntactic structures during the processing of interrogatives.
        23.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aditionally, the morpheme uy ‘of’ has been treated as a genitive case marker in Korean linguistics. It is thus natural in Korean linguistics that syntactic objects combined with uy are taken to be assigned genitive case. However, some generative grammarians including An (2012) and Hong (2013) have recently defied such tradition by claiming that uy is not a genitive marker but is a prenominal inflection in an allomorphic relation with the so-called adnominal ending (u)n, or by suggesting that those phrases marked with uy are adjuncts rather than specifiers or complements.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ir claims and analyses, and tries to find out their problems. In doing this, it makes efforts to support the traditional view from which uy is a genitive case marker.
        24.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using songs for improving vocabulary acquisition and memory. A total of 19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heir vocabulary class with the aid of a song and the control group who had the same class but without using the song. The pre-test results showed that withi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rticipants' knowledge of the given words. Each group had an immediate post-test right after their class. After a two-week delay of no class, they took another post-test and were given a questionnaire.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between the two groups. Looking at th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mediate post-tests between the groups. While the use of song in vocabulary teaching did not have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short-term memory of the particip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groups in the delayed post-tests. This indicates that the use of song has a great influence on transferring a short-term memory into a long-term memor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se of a song in teaching Korean vocabulary may aid in the acquisition and memorization of vocabulary. These would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and learning strategies for KSL learners.
        25.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Chomsky (2013, 2015) has abandoned the concept of the endocentricity of phrase, which has been taken as a near axiom in the tradition of phrase structure theory. Instead, he proposes an algorithm for labelling (LA; labelling algorithm) by taking it away from the Merge operation. This, in effect, is a measure for solving the so-called specifier problem a la Adger 2012, and then enable novel explanation of the non-existence of specifiers. Paradoxically, we will see in this paper that Chomsky’s (2013, 2015) effective elimination of specifiers not only renders the configuration of multiple specifiers possible, but also helps us to try simpler explanation of them.
        26.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H. Kim (2007) has presented an analysis of the alternation among Korean dative/locative case particl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minimalist program. The gist of his analysis lies in his claim that the alternation among the case particles is influenced by their associated nouns’ animacy, a kind of gender according to his claim, and that their alternation is determined by agreement in the sense of the minimalist program. Recently, Kim and Chung (2015) have come up with an analysis of the honorific system of Korean from a totally different point of view. They treat kkey ‘to(honorific)’ as a realization of the honorific feature [+hon] whether the associated noun is assigned nominative or dative. They also make criticism of Y.-H. Kim’s (2007) analysis while claiming that agreement is not an operation in narrow syntax but one caused by feature sharing at the PF component as discussed by Bobaljik (2008). In this paper, we will take a critical look at Kim and Chung’s (2015) analysis and make a point of its flaws, and then try to present some solutions to Y.-H. Kim’s (2007) real problems.
        27.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주로 행인들이 이용하는 도로에 일정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록체를 배열하여 먼지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 미화를 위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보도블록은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제조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를 성형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블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로 제조된 보도블록의 경우, 시멘트의 특성상 우천 시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다. 콘크리트 보도블록은 쇄석 등의 골재와 모래 및 시멘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뒤 소정의 형상을 갖는 형틀에서 찍어낸 후 경화시켜 제조되는 블록이다. 콘크리트 보도블록은 형틀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보행로나 인도 등에 서로 무늬나 형상을 서로 맞물리게 반복적으로 배열 설치되도록 지면 위에 모래를 깐 뒤 그 위에 밀착 고정시키게 되므로 대기와 지면 사이의 수분은 물론 공기도 거의 통과 될 수 없을 정도로 밀착 차단되고 내부 재질의 조직이 치밀하여 블록면에서는 어떠한 빗물이나 공기도 통과될 수 없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투수블록은 강도와 투수율이 낮고 표층부의 골재 탈락이 발생하여 제품이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멘트를 많이 사용하면 강도는 좋아지나 투수율이 낮아지고, 투수율을 높이기 위해 시멘트를 적게 사용하면 강도가 낮아져, 표층부의 골재가 탈락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석재가공 공정 시 발생하는 석재 폐기물인 석재슬러지는 폐기물업자를 통해서 유상으로 버려지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런 폐기물을 재활용함으로서 고부가 자원화 기술을 통하여 친환경적 자원화에 기여하고 재활용 기술을 개발함에 있어 부가적인 응용기술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28.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Korean 3rd person pronoun ku, along with kunye, is treated as an exotic element in Korean since they are very different from other 3rd person pronouns in their forms and usages. In fact, one might be reluctant to include them in the Korean pronominal system due to their heterogeneity. However, since those pronouns have stable usages and an established status especially in written Korean, it is very desirable to clarify their nature. On the other hand, English pronouns have been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determiner in the tradition of generative grammar. Thus, expressions like we Americans are taken to have a structure parallel to the Americans. It we follow this tradition of generative grammar in analyzing pronouns as determiners, we seem to have to treat Korean pronouns as being included in the category of determiner. However, as it is problematic in many ways to treat them as determiners, it is an important task in Korean syntax to clarify their nautre. In this respect, this study tries to determine what the categorial status of ku in the framework of generative grammar, and what is the implication its categorial status has with respect to the Korean noun phrase structure.
        29.
        2015.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합사료 제조 시 우리나라는 9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한약재 부산물을 활용할 경우 공급처에서는 수입에 의존하는 단미사료 원료를 대체가능하며 악화된 조사료 시장 및 축우 경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수요처에서는 한약재 부산물을 처리함으로써 주변환경 개선 및 연간 2억원 정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절감된 비용을 활용하여 약품개발을 위한 연구 인력을 보충할 수 있다. 한약재 부산물을 활용하여 첫째 TMR 사료 원료인 볏짚 및 수입 단미사료 원료를 대체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약재 부산물을 최적의 조건으로 발효시켜 유효기간을 늘리고 축우의 기호성을 증가시키며 자동화 TMR 배합 설비를 구축하여 많은 양의 한약재 부산물을 처리한다. 둘째 유용 미생물인 바실러스 균, 유산균, 효모균을 자연생태계에서 분리 동정한 후 효소, 항균력, 발효력, 상호 공존력을 평가하고 소화제 한약재 부산물을 유용미생물로 발효시켜 건조, 분쇄 후 제과분과 적정 비율로 혼합 후 친환경 고품질 생균제를 개발한다. 개발된 생균제를 위탁기관을 통해 양어・양계에 적용하여 생체 내 비특이적 면역반응과 항균력을 입증하여 전라북도 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사업망을 통해 안정적인 생균제 판매망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공업용 미생물 배지를 대체할 수 있는 한약재 부산물을 활용한 미생물 배지를 개발하여 음수첨가제 및 발효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30.
        2015.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로슬래그는 선철 과정 중 고로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부산물이다. 이러한 고로슬래그는 건설재료 중심으로 다방면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혼합재로 사용되는 슬래그는 급랭슬래그이며, 동일 조성을 갖는 서랭 슬래그라 하더라도 자유에너지가 낮아 물질 자체가 안정하여 반응성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급랭(수쇄) 슬래그는 준안정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외부의 자극에 따라 쉽게 새로운 반응 생성물 또는 수화물로 변화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슬래그 자체의 활성화가 초기에 손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시멘트 초기 강도저하 및 응결 지연 등을 일으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시멘트 자극제로서 석고류(황산염 등)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슬래그의 5%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슬래그 자극제로서 슬래그시멘트의 초기 강도 보완을 위해 천연무수석고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고가의 수입산(태국, 중국)에 전량 의존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화력 발전소의 산업부산물인 배연탈황석고를 일부 사용하고 있으나, 초기 강도 보완이라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는 실정이다. 배연탈황석고 사용으로 인한 초기 강도 개선을 위해 황산염과 알칼리 성분인 CaO 성분이 다량 함유된 열병합발전소 Fly-Ash와 유리생산공정의 부산물인 망초를 알칼리자극제로 혼합 사용하여, 수입에 의존하던 천연무수석고의 대체 사용으로 고부가가치자원화 및 천연 자원의 절약 또한 가능하다. 수쇄슬래그는 물과의 반응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지만 알칼리 분위기에서는 수화활성을 나타내므로, 재활용 가능한 열병합발전소 Fly-Ash 및 폐기되는 망초를 활용함으로써 고로슬래그의 알칼리 자극제로 이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슬래그 자극제 개발에 따른 슬래그 활성화 조건 도출과 수입산 천연무수석고 대체 사용 방안으로 화력발전소 배연탈황석고, 열병합발전소 Fly-ash, 유리산업의 망초를 기본 원료로 하는 석고 대체재(혼합석고) 개발을 실시하고자 한다.
        31.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concept of C-T inheritance in the sense of Chomsky 2008 and Miyagawa 2010 effective in the Korean agreement system. It further explores whether there is other possibilities than φ-feature inheritance in the C-T relation based on Miyagawa’s (2010) classification of languages into agreement-based languages and discourseconfigurational languages. We also briefly see that Korean subject honorification is a kind of φ-feature agreement, and that even Korean, a discourseconfigurational language, it can also manifest φ-agreement when there is a reason for it to do so. Then, we turn to the problem of the locus of φ-features, which since Chomsky 2008 have been assumed to originate from C. With respect to this issue, this paper argues that the seeminglyφ-feature agreements involving C can be better analyzed under the super-structure analysis for speech act a la Speas and Tenny 2003.
        3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the early 1970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some movements can cross clause-boundaries with COMP as an escape hatch but others cannot. These two types of movement were called A(rgument)- and A’-movement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generative grammar since the early 1980s. Deeply related with this distinction is the ban on improper movement, which means the combination of the two movement types. The only exception to the improper movement is where the entire movement occurs from an A-position ends in an A’-position, i.e. where A-movement feeds A’-movement. Since Chomsky (2008) proposed the parallel movement hypothesis, a route has been opened to dissociating A- and A’-movements. Then, we need not allow A-movement to feed A’-movement. Is what we need not do what we should not do?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shows that though separate, A-movement is still able to manifest its effects over A’movement.
        33.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단지내에서 발생되는 플라이애시는 저열량의 석탄 및 로내 탈황을 하는 순환유동층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데 기존의 플라이애시와는 성분 및 성질이 달라서 단순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폐기물 매립장 부족 및 폐기물의 해양 투기 전면금지로 폐기물 처리비용 증가로 인한 관련 업체의 경쟁력 악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현실적인 재활용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본 과제의 핵심개발기술은 산업단지 내 발생되는 무기계산업부산물(slag 및 fly ash)에 기타 순환자원 부산물을 혼합하여 화학적 활성화(chemical activation)에 의해 반응성을 극대화 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사업을 통해 산업단지 내에서 발생되는 무기계 산업부산물(slag 및 fly ash) 및 기타 순환자원 부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 순환형 재활용화 체계 구축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리라 예상되는 산업단지내 순환자원의 안정적,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처리방식의 모델이 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 기술의 활용에 따른 환경적 효과로는 고화재 사용량 10만톤으로 가정시 약 1.7만톤 정도의 CO2배출량 저감효과가 있으며, 친환경 고화재 적용에 따른 친환경 지반 안정화가 기대된다. 또한, 경제적 효과로는 고화재 원료로 재활용시 연간 약 9억원의 매립 처리비 절감이 가능하며, 기존 고화재를 개발 고화재로 대체시 약 12억원의 원가절감이 기대된다.
        34.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리콘 웨이퍼 제조용 단결정 성장 공정에서 발생하는 석용 도가니는 사업장 폐기물로서 그 처리방법이 매립이어서 폐기물처리비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석영도가니의 성분은 대부분 무기성 물질로 주성분이 SiO2이고 그 함량이 98% 이상인 고품위 실리카이다. 현재 국내에서 요구되는 실리카는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되는 것으로 수입된 천연실리카를 다시 정제하여 세라믹 재료 및 건축재로부터 반도체 실리콘을 제조하는 원료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업장 폐기물로 배출되는 석영도가니를 재활용하기 위한 정제 및 고순도화 기술을 개발하여 환경오염 및 폐기물처리비를 저감하고 수입되는 실리카를 대체하고 압전소자, 집적회로(IC)용 원료 및 광학 유리와 반도체 실리콘 제조용 초자류 등과 같이 고순도 실리카를 요구하는 산업에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개발 내용은 폐기물로 배출되는 석영도가니의 성상 및 불순물 특성분석, 석영도가니의 물리적 정제특성 연구, 석영도가니에 함유된 불순물의 화학적 침출 특성 연구, 고순도 실리카 분말 정제 공정 연구, 상용화 plant의 최적 운전조건 및 공정변수 확립이고 연구개발 결과는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석영도가니는 Multi crucible과 Mono crucible로 나뉘는데 Multi crucible에는 Si3N4(silicon nitride)가 도포되어 있어 Mono에 비해 불순물 함량이 높다. 불순물은 Mono crucible은 Al2O3(0.48 wt%), Fe2O3(0.12wt%), Na2O(0.03 wt%)순이었고, Multi crucible의 경우에는 Al2O3(0.61 wt%), Si3N4(0.38 wt%), Fe2O3(0.11)순이었다.
        3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has a special kind of relative construction in which the head noun surfaces clause-internally. In that sense, the construction is called internally headed relative clause (IHRC or head internal relative clause HIRC). The IHRC is peculiar in that it has the shape of the complement clause of a factive predicate but is used as the complement of a non-factive predicate referring to its posited head. As the IHRC is not a phenomenon uniquely observed in Korean, much work has been devoted to finding its nature in many languages, and fruitful results have been presented. As for Korean IHRCs in particular, our special interest is in Chung’s (1996, 1999) analysis, in which IHRCs are treated as non-relative clauses. In this paper, I try to come up with an analysis that supports this idea but treats the construction in question in a slightly different way.
        36.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폐기물로 분류되는 제지슬러지는 녹생토로 재활용되거나 해양투기되었으나 해양투기금지와 녹생토 수요감소로 제지 슬러지의 폐기물 처리비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폐기물인 제지 슬러지를 주원료로 회수하여 폐기물 처리의 다원화 방법의 일환으로 육성하고 제지 업종의 기업은 상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폐기물을 저가 원료로 재사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환경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모두 유리하다. 연구개발 방향은 제지 슬러지에서 Ash 및 Dirt, Sticky를 제거하여 Fiber를 회수하며, 회수된 Recycled Fiber를 배합하여 골심지를 생산하는데 있다. Sticky 및 Dirt 제거에 효과적인 Slot Screen을 사용하여 제지 슬러지의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Screen Basket Slot Size를 바꿔가며 제거 효율을 측정한 결과 Slot Size를 작게 하면 할수록 Sticky 및 Dirt의 제거효율은 증가하나 Screen Reject가 많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Screen Slot Size 0.25mm에서 Sticky 제거 효율이 가장 우수하며, 수율 또한 95% 이상으로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원료 농축 공정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저농축 설비인 Washer를 사용하여 Ash를 추가적으로 제거하였다. 일반적인 Washer 설비인 One Stage Washer는 Ash 제거율이 평균 32% 수준이며, 잉크제거율 또한 평균 19% 수준이었다. 따라서 좀 더 양호한 이물질 제거율을 위해 One Stage Washer보다 고속으로 운전되며 이물질 제거효율이 높다고 알려진 High Speed Washer를 통해 Ash 제거율을 평가한 결과 Ash는 평균 58% 수준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잉크제거율은 평균 50% 수준으로 One Stage Washer보다는 양호한 이물질 제거율을 보였다. 제지 슬러지 회수 Line을 통해 골심지 생산 시 Recycled Fiber의 배합율을 25~30%까지 상향하여 골심지를 생산한 결과 제품 Ash가 증가하나 제품의 주요 품질 항목인 백색도 및 압축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어 큰 문제없이 골심지 생산이 가능하였다.
        37.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ategory adjective in Korean. With respect to this problem, there have been two camps, one of which advocates the existence of adjectives while the other refutes adjective as an available syntactic category in the language. In this paper, we will see, based on the uniformity principle in Chomsky 2001 and the universality of lexical categories proposed by Baker (2003), that Korean indeed has the category adjective.
        3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parameter and its relation with word order. As is well known, generative grammar has developed and changed a number of models when confronted with theory internal contradictions. Though the consensus within the realm of generative grammar is for Kayne’s (1994) LCA and universal SHC hypothesis, this paper shows problems with these hypotheses, which will lead us to give up them at least for the analysis of Korean data. Consequently, we should get an alternative to LCA or maintain the word order parameter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