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6

        21.
        2022.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Korea-Africa Food and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 has been cooperating with AfricaRice since 2014 for the eradication of hunger and poverty in Africa through sustainable agriculture and its industrialization. At first, rice breeding activities for staple food production started with KAFACI member countries by sharing high-yielding Tongil-type rice breeding lines and varieties. The Africa Rice Development Partnership project entitled “Enhancement of high-yielding rice germplasm and breeding capacity of rice producing countries in Africa” is implemented for the period from 2016 to 2025 with three phases. The actual rice breeding activities have been conducted by applying anther culture haploid breeding technology in the laboratory and field of AfricaRice Saint-Louis center. The 1,547 elite lines selected through participatory variety selection were distributed to 21 national breeders of KAFACI member countries. These lines derived from the 1,181 cross combination and 34,616 breeding lines on Korea and AfricaRice germplasm crossed. Among them 11 new Tongil-type rice varieties have been selected and registered in the national variety catalogue of Senegal, Mali, Rwanda, Malawi, and Tanzania.
        22.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fety for the radioactive waste disposed of in the disposal facility should be secured through safety assessment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situation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and correlation of EDTA and ISA, which are the factors that can impede the safety of the disposal facility, were analyzed using the PHREEQC computational code. Thermodynamic database (TDB) of Andra, specific ion interaction theory (SIT) model as ionic strength correction model, radionuclides (Ni, Am, Pu) were adopted to perform the calculation on the distribution of chemical species by pH. According to the results, EDTA dominated the system and the effect of ISA is relatively small for the distribution of the chemical species of divalent and trivalent cations in neutral and weak base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tetravalent cations, the effect of ISA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case especially in the strong base conditions. In conclusion, EDTA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system than ISA under the environment of the domestic disposal facility. Furthermore, when EDTA and ISA are present simultaneously in the system, the effects of two materials are inversely proportional and this characteristic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safety assessment.
        27.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령운전자의 인지 및 신체 기능 저하로 인한 교통사고 증가는 점점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 로 인해 면허증을 자진하여 반납하는 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나 보다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 구에서는 다양한 주행 상황에서 발생하는 정적 및 동적 시각 자극에 대하여 운전자의 시각적 행동을 평가 할 수 있는 운전 시뮬레이션 주행 환경과 시나리오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고령운전자의 주 행 특성 분석에 활용된 운전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기존의 연구 문헌들로부터 수집하였고, 정적 및 동적으 로 구분된 표적 자극에 따른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주행환경과 시나리오를 재분류하였다. 또한, 유 사한 유형의 시나리오들은 보다 발생 빈도가 높고 표적 자극이 다양한 주행환경으로 병합하였다. 연구 결과 로 신호교차로, 비신호 교차로, 왕복 2차로, 왕복 4차로 주행환경에서의 전체 12종의 시나리오로 구성된 운 전 시뮬레이션 콘텐츠가 구현되었다. 신호등, 정차된 차량, 표지판 등으로 구성된 정적 시각 자극과 주행 중 인 차량, 무단 횡단하는 보행자 등의 동적인 시각 자극이 제시되며, 이에 대한 시선 탐색(Visual Detection), 시지각(Visual Perception), 시각운동기능(Visuomotor Function)의 정량적 측정을 통해 운전자의 시각 행동 평가가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나리오 구성 방법은 운전 시뮬레이션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써 시각 자극에 따른 운전 능력 검사 환경 구축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900원
        28.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rcine pleuropneumonia caused by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is a highly contagious disease that leads to enormous economic losses in pig industry, worldwide. Of the many virulence factors produced by the causative bacterium, ApxA exotoxin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 to the disease. The toxins a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ApxIA, ApxIIA, ApxIIIA and ApxIVA. Uniquely, ApxIVA is expressed across all serotypes of A. pleuropneumoniae only during in vivo infection in pigs. Active research focusing on resolving the precious roles and mechanisms of the toxins is still at its primitive stage. In this study,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the two major antigenic epitopes that were characterized in our previous study incorporating the in silico predictions and protein modeling analyses. Recombinant proteins of the selected epitopes were expressed and purified after molecular cloning of the corresponding partial genes in E. coli expression system. Subsequently, we generated hybridomas with lymphoid cells from the rats immunized with the recombinantly expressed proteins of Apx. Consequently, hybridomas exhibiting strong productivity of the monoclonal antibodies were selected for downstream verifications that tested for reactivity and specificity using Western blot and ELISA.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monoclonal antibodies developed in this study as useful reagents to further elaborate the mechanism of the A. pleuropneumoniae infection in pig.
        4,000원
        3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스마트 온실의 온습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환 경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스마트 온실 환경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스마트팜 시스템이 도입된 토경 방식의 OS 온실과 암면 배지경 방식의 KB 온실을 대 상으로 기온, 근권온도, 상대습도의 항목에서 매일 24시간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중 최고와 최저, 일평균, 주간 평균, 야간 평균, 일교차의 여섯 가지로 세분하여 정리한 후 두 온실 간의 차이와 기온과 근권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장미의 생육적온은 주간, 야간, 일교차는 이며, 근권온도는, 습도 는 95% 미만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두 온실의 실제 환경과 장미의 적정 환경 조건을 비교했을 때, 주간 기온은 OS 온실 에서 5개월 간, KB 온실에서 7개월 간 적정 수준(24~27˚C)을 유지하였다. 야간 기온은 두 온실 모두 2개월간 적정 수준 (15~18˚C)을 유지하였고, 일교차는 OS 온실에서 6개월간, B 온실은 9개월 간 적정 수준(약 10˚C)에 근접하였다. 근권온도 는 OS 온실에서 10개월, KB 온실에서 5개월간 적정 수준 (20~25˚C)을 유지한 반면, 상대습도는 두 온실 모두 연중 적정 범위 내에 들었다. 기온과 근권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 과, OS 온실은 최고 온도, 평균 온도, 주간 온도, 야간온도에 서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최저온도와 일교차에서는 약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KB 온실에서는 전 영역에서 매우 강한 직선 적 비례 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토경재배를 실시하는 OS 온실이 고설식 암면배지경을 실시하는 KB 온실에 비해 근권 온도가 기온의 영향을 덜 받았으며, 완충능력이 높은 토경재 배에서는 기온의 영향을 덜 받는다고 볼 수 있다.
        4,000원
        35.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관상가치가 뛰어난 산꼬리풀의 분화 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차광, 기비, 추비, 왜화제 및 적심처리를 각각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차광 시 산꼬리풀의 생육이 감소 하였으며, 차광률이 증가할수록 크게 억제되었다. 기비 처리는 초장, 절간장, 경직경 및 엽수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Hyponex를 이용한 추비 처리는 무처리와 비교했을 때 생육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왜화제 처리시 diniconazole은 농도에 관계없이 왜화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억제되었다. Daminozide는 저농도 처리시 무처리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나, 2000mg·L-1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왜화효과가 나타났으며, 개화율은 diniconazole 저농도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한편 적심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생육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4,000원
        38.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d changes in surface shape and pore size observed in carbon black particles isothermally oxidized in an air atmosphere according to their burn-off ratio. Carbon black materials were fed into a horizontal tubular furnace in an air atmosphere when the inside temperature reached 600 °C. Subsequently, while changing the isothermal oxidation time, carbon black samples with different burn-off ratios were obtained, i.e., 10.5, 20.0, 30.4, 41.0, 49.9, 59.8, 71.1, and 81.0%.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revealed that the observed carbon black particles were in the form of aggregated primary particles, an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particle size of these primary particles as the burn-off process proceeded. The latter observation supported the observation that pores were formed in the carbon black samples during the burn-off process. Notably, the Brunauer–Emmett–Teller analysis exhibited hysteresis curves,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adsorption isotherms were of IV-type. It was also found that the area of the hysteresis curves increased as the burn-off process proceeded.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raw carbon black sample was 58.00 m2/g, while that of the 81.0% sample was about 4.1 times the figure at 240.27 m2/g. The total pore volume VT was 0.17 cm3/g for the raw sample, and it was much higher for the 81.0% sample at 0.58 cm3/g.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showed that the raw carbon black particles had a spherical shape with a smooth surface, but inner pores were not observed. In the 49.9% sample, pores with a size of about 5 nm were observed inside carbon black particles. Notably, the size of the pores observed in the 81.0% sample was about 20 nm and the large pores were created by the collapsing and merging of the smaller pores by oxidation.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