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

        44.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러브정원’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장애아동을 가진 부모들이 겪는 심리 내적인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양육스트레스 수준은 평균 14.9(t=8.04)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측정 결과 3.5(t=-8.04) 증가되었다. 스트레스 대처 검사에서 실험군의 경우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9.55(t=-6.478)로 증가되었으며, 사회적지지 검사에서도 실험군은 프로그램 실시 후 18.2(t=12.82) 증가되어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을 가진 부모들이 겪는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지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회기별 활동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능력 내에서 계획된 결과물에 대한 성공적인 성취감과 만족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원예활동에서의 식물을 다루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생명의 역동성과 그에 대한 책임감을 재인식하게 되어 새로운 요구에 대한 질 높은 양육을 위한 자신의 변화를 가져온데 대한 결과이고, 성공적인 결과물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향상은 물론 참여자들 간의 공통적인 문제에 대한 의사소통과 정보교환 등은 양육스트레스의 감소를 가능하게 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54.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존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치료목표를 시간적 흐름에 따라 분석하여 그 경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본 연구자가 제시하고자 하는 집단발달단계의 시각에 따른 집단원예치료에 적합한 프로그램 구성을 제시하는데 이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치료목표를 집단원예치료 발달단계에 따라 분석하여 위하여 선정한 108개의 실험에서 제시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Corey(1995)의 집단발달단계에 기초하여 한경희 등(2008)이 제시한 시작단계, 전환단계, 작업단계 종결단계의 4단계로 분류하였다. 단계를 분류하기 위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기본 총회기를 12회기로 보고 1-2회기 까지를 시작단계, 3-6회를 전환단계, 7-10회를 작업단계, 11-12회를 종결단계로 설정하였다. 집단발달단계에 따른 집단원에치료프로그램의 단계별치료목표 분석에 따르면, 시작단계는 감각자극(11.9%),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향상(9.3%), 자존감향상(8.6%), 인지능력의 향상(7.8%),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7,5%) 흥미와 호기심 유발(6.3%), 정서안정 등과 같은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5.2%)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환단계는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11.4%), 자기표현, 감정표현 증진(9.3%), 자아존중감 향상(8.0%),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향상(7.5%), 인지기능향상(7.5%),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7.2%), 성취감증대(5.4%), 감각자극(5.1%), 기억력증대(5.1%), 주의력의 향상(3.8%) 순으로 나타났다. 작업단계에서 조사된 내용은, 소근육과 대근육 등의 운동기능 향상(13.9%),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10.7%), 감각자극(8.0%), 정서안정 등과 같은 긍정적 심리 향상 및 부정적 심리의 감소(7.8%), 인지기능향상(7.0%), 자기표현, 감정표현의 증진(7.0%), 자존감향상(6.2%), 주의집중력 향상(5.6%), 협동심 향상(4.0%) 순이었고, 종결단계에서 조사된 내용은, 대인관계 및 사회성 향상(19.2%), 소근육과 대근육의 운동기능향상(8%), 숙련도 향상(8%), 자존감향상(7%), 성취감 증대(6.1%), 주의 집중력 향상(6.1%) 등 이였다.
        55.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집단원예치료 현장의 대상자, 치료사, 원예활동과 같은 원예치료요소들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현재의 원예치료 상황을 고려한 집단원예 치료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치료사에 대한 분석결과, 모든 논문에서 주치료사는 1인으로 파악되었고 보조치료사는 1인이 29%, 2인이 26%, 3인이 11%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를 인간성장기와, 원예치료를 수행하는 공간, 치료적 문제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인간 성장기에 따라 성인이 38개(34%)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노인 33개(30%), 아동 23개(21%), 청소년 17개(15%)순으로 나타났고, 치료 및 재활 공간은 80개(72%), 예방공간이 31개(28%)로 조사되었다. 또한 신체기능에 문제를 가진 대상이 12개(11%)의 실험에서 나타났고, 정신기능에 문제를 가진 대상이 65개 (59%), 정신과 신체기능에 모두 문제가 있는 대상을 복합으로 분류하여, 복합이 34개(31%)로 나타났다. 총 5개의 실험에서 12가지의 신체기능 문제가 파악되었고 그 중 75%가 손기능과 관련되어 나타났으며 정신기능과 관련된 문제는 인지기능에서 종합적인 일반 인지기능이 11개(32%),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이 3개(9%)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심리기능에 관련된 문제는 자아존중감이 31개(17%), 일반적인 사회심리상태가 25개(14%), 우울이 20개(11%)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예활동을 활동의 범주, 활동소재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조사된 총 활동 수는 2,060개였고 이를 활동범주에 따라 구분하면 기르기 활동은 522개 (25%), 꾸미기 활동은 1248개(61%), 느끼기 활동은 205개(10%), 기타가 91개(4%)로 나타났다. 활동소재에 따라 구분하면 식물재료는 975개(31%), 화훼자재는 1433개(45%), 기타소모품은 761개(24%) 사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식물재료 내에서는 절화류가 412개(42%), 분화류가 315개(32%), 화훼자재에서는 용기가 429개(30%), 오아시스나 하우스 철심, 지주대와 같은 구조물을 위한 소재가 406개(28%), 리본이나 포장지와 같은 장식물이 260개(18%), 기타소모품에서는 학용품이 201개(26%), 사무용품이 117개(15%)로 나타났다.
        56.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와 집단치료가 매우 유용한 노인들에게 집단원예치료를 적용하여 집단원예치료의 치료적 요소들과 운영 방법들을 검증해 보고,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집단원예치료를 이용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집단발달단계에 따른 치료목표를 설정하여 전체원예활동은 실내, 실외 프로활동을 병행하였고, 실외활동은 주로 '시간 중심형 활동(time focused activities)'을 수행하였고 회기별 원예활동은 평균 50분, 5~10명 내외의 개별, 2인집단, 전체집단의 그룹 활동으로 진행되었으며 집단원예치료의 운영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시작단계는 1회기부터 2회기로 이 단계에서는 치료사와 대상자, 비대상자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지며 치 료사와 대상자, 대상자와 대상자, 대상자와 비대상자 간의 관계형성을 위하여, 자기소개 및 활동 이해하기, 자기텃밭 정하기 및 텃밭정리 등의 활동을 구성하였고 집단의 형태는 집단전체, 2인 집단으로 수행하였다. 갈등단계는 3회기부터 6회기로 식재 준비활동, 번식, 재배, 수확 등과 같은 재배와 관련된 활동은 식물생장을 경험하게하고 식물의 삶의 주기와 인간 삶의 주기를 통합시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고 현재 자신의 모습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텃밭에 가을채소 모종심기, 박스에 쪽파심기, 비료주기 및 텃밭관찰, 국화삽목 등의 활동으로 2인집단의 형태로 구성하여, 식물의 삶의 주기와 인간 삶의 주기를 통합시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고 집단 내, 집단 간, 상호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작업단계는 7회기부터 10회기로 본 활동의 중, 후반부에 해당되며 재배관리, 수확, 장식 및 재배 결과물 선물하기 등의 활동반복을 통하여 안정감, 만족감, 성취감 획득 등의 긍정적 정서를 갖고 표현하도록 유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종결단계는11회부터 12회기로 전체활동을 마무리하는 단계로써 가족에게 편지 쓰기, 삽목국화화분 짝에게 선물하기, 집단전체가 각자 나무의 빈 곳을 채워가며 조화롭게 X-mas트리를 만들고 모두가 함께 보고 즐길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 후 느낌나누기 등의 활동을 집단전체, 개별의 형태로 구성하여 치료가 끝남에 대한 감정을 다스리고 이별을 준비하며 집단원예치료의 의미파악과 집단치료의 목적, 목표와 개별 목표, 활동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는 과정이 되도록 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집단원예치료 전, 후 노인의 우울감 변화는 일반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2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 0.027*). 대조군의 경우, 우울감의 평균이 1.9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치매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2.8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17*). 대조군의 경우, 우울감 평균이 0.9점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집단원예치료 전, 후 노인의 자아존중감 변화는 일반 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4.9점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27*). 대조군의 경우, 자존감 평균이 1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치매노인의 경우, 실험군 평균이 4.1점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P=0.018*). 대조군의 경우, 1.4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58.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에 근거하여 원예치료활동이 이루어진 장소, 시간, 집단의 크기 및 구성, 한계와 규칙, 구조성, 개방성과 같은 현재 원예치료 연구들에 나타나 있는 집단운영의 유형과 그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활동 장소는 실내와 실외 활동을 겸하여 수행한 실험이 가장 많았으나 실내 활동만으로 이루어진 실험과 큰 차이가 없었다. 활동시간은 주1회, 총12회기가 가장 많았고 1회당 활동시간은 60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크기는 10명이 가장 많았고 집단의 구성은 남녀혼성, 성인으로 구성된 그룹이 가장 많았다. 집단의 한계와 규칙을 제시한 실험은 거의 없었고, 대부분 Liebmann(1986)이 제시한 ‘A' 'B' 'C' 'D'의 집단 구조가 혼재되어 있었다. 또한 집단의 개방성에 대해서도 명확히 제시된 논문이 거의 없었고 일부 논문에서 개방집단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집단원예치료 운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활동장소와 회기당시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역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회기당시간도 집단의 연령 구성과 유의미한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회기와 총회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이외의 요인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행된 활동이 집단원예치료라면 개별원예치료와 일반적인 원예활동과는 차별되게 집단원예치료의 효과를 최대화하고 효율적으로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집단원예치료의 운영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이에 대한 연구와 제시가 극히 부족한 상황에서 이러한 집단원예치료의 운영에 대한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제시한 집단원예치료의 개념적 틀의 수정, 보완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어 질 것이며, 또한 향후 집단원예치료의 요소와 집단원예치료에서 수행된 원예활동들의 분석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실제 원예치료 상황을 고려한 집단원예치료 모델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proposed a model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o be presented the process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the group development stage, its therapeutical factors, its horticultural therapy intervention and instructions of appropriately performing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reorganizing the group horticultural therapy with proper consideration for individuals or groups. This attempt is believed to see higher than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group dynamics and the group development stage considering that horticultural therapists can perform group horticultural therapy from individuals. In this study, the group development stage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steps of Corey(1995) is consist of 4 stages: initial stage(orientation and exploration), conflict stage(dealing with resistance), working stage(cohesion and productivity), final stage(consolidation and termination).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treatment factors and horticultural therapy intervention in the form of group horticultural therapy along the steps of the group development stage. However, this model of the group horticultural therapy is considered the conceptional frame works through the reference review. To conclude, after practical application being analyzed the type of group, the succeeding study of the effect which reveals reflected and amended model is necessary.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