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4

        4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 recent study found that pain neuroscience education (PNE) alters pain intensity, knowledge of pain, disability, psychological function, and pain behavior in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ain. However, they noted that PNE alone was not sufficient to affect chronic low back pain (CLBP) reduction.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CLBP on the PNE combined with lumbar mobilization. Design: Quasi-experiment study. Methods: A total of 33 patients aged 25 to less than 65, recruited from L-hospital for low back pain in Chungcheongnam-do. Out of 33 subjects, 17 were pain neuroscience education combined with lumbar mobilization group (PLMG) and 16 were lumbar mobilization group (LMG). The outcome was visual analogue scale (VAS),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the fear 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FABQ).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1.0 program by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PLMG wa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VAS, ODI and FABQ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VAS and ODI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LMG. PLMG and LMG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S, ODI and FABQ. Conclusion: The inclusion of PNE combined with lumbar mobilization in patients with CLBP is a promising and feasible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CLBP.
        4,000원
        45.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invertebrates was examin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est, south, and east coasts of Korea and to identify the indicator species representing each region. Acrylic attachment plate sets were installed in Jeongok, Mokpo, Tongyeong, Yangpo, and Gangreung, and the invertebrate fauna thus captured were identified. Monitoring was performed in each area from March 2017 to May 2018. Water depth, temperature, and salinity at each location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influence of abiotic factors on the community structure. As a result, the mean depth of plates installed and the water temperat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area. A total of 32 invertebrate species were identified in all localities, an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cies compositions was found between Mokpo and Gangreung. The community structure differed significantly with a change in the plate depth, and a larger number of indicator species appeared on shallower plates. Finally, we determined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invertebrates in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of the Korean ocean by characterizing the dominant invertebrate taxa and the indicator species at each site.
        4,300원
        58.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nricia specimen was collected from the East Sea of Korea using fishing nets. The specimen was identified as Henricia hayashii (Djakonov 1961), belonging to the family Echinasteridae of the order Spinulosida. This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Henricia species by slender arms (R/r=7.4), constricted arm base, six to thirtyfive slender spinelets, open-meshed, reticulated abactinal skeleton comprising semitriangular, rod-like form, and small ossicles present inside the papular areas. This species superficially resembles H. reniossa in terms of its body size but differs in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abactinal and actinal plates. To date, two genera of Echinasteridae, Aleutihenricia and Henricia, including a total of 14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Here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 hayashii are described, and photographs are provided.
        3,000원
        59.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 다당류는 면역 조절 기능,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비롯하여 항바이러스 활성과 방사선 스트레스의 경감 등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분홍느타리버섯 (Pleurotus djamor var. roseus Corner)으 로부터 뜨거운 물과 에탄올 침전을 이용하여 5.6%의 수율로 갈색을 띠는 경화된 다당류(CPs)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CP는 Diethylaminoethyl cellulose (DEAE) 및 sepharose-6B 컬럼 분리를 통해 4개의 분획을 얻었고 각 분획의 총 글루칸 함량은 각각 76.85%, 2.95%, 75.08%, 1.46%로 밝혀졌다. 이중 가장 높은 수율의 분획 (PP)으로부터 300 mg의 백색 분말이 얻어 졌으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와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의 결과로부터 자일로펜토스 유형의 화합물과 함께 다당류 부분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PP의 항산화 활성은 1,1- diphenyl-2-picryl-hydrazyl(DPPH) 자유라디칼 소거 분석 및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 분석을 통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PP분획에는 페놀, 단백질 및 단순 탄수화물이 없는 정제된 베타글루칸이 주 구성성분으로, 정 제된 다당류가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0.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한 세기 동안, 지구 표면 온도는 급격히 상승했다. 급격한 기온 상승은 심각한 지구 기후 변화를 초래한다. 2014년 IPCC 5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추세대로 기온이 계속 상승하면 해수면 상승 현상처럼 자연 및 인간 체계에 위험이 가해지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해안 침식의 위험이 있는 모든 해안 지역들 중에서 기니만에 위치한 베냉은 매우 높은 취약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코토누의 해안선 변화의 진행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이와 같은 변화의 영향을 조사하고, 연안 침식 방지 조치들의 적용 결과를 요약하였다. 베냉의 코토누에 있는 해안 침식의 징후는 1963년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코토누 동쪽의 해안선은 39년간 약 885 m 후퇴했고, 토지 손실과 함께 800여 채의 가옥이 없어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냉 당국은 2013년에 7개의 돌제를 건설했고, 이후 추가 설치를 진행하였다. 설치 지역의 해안선은 해변 보호가 되고 있었다. 반면 돌제가 설치되지 않은 돌제 동쪽 지역은 연간 49 m 의 집중 침식을 겪고 있다. 따라서 다음 단계로 돌제의 효과는 국지적 관점뿐만 아니라 더 넓은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