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

        41.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벼멸구, 벼흰잎마름병, 벼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인 자포니카 복합내병충성 품종을 조기에 확보하고자 약배양을 수행하여 목표 저항성 유전자 조합의 우량 고정계통을 개발하고 육성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병해충 저항성 육종사업에 반영하고자 수행하였다. 벼흰잎마름병과 벼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인 우량 계통 HR26234- 12-1-1과 벼멸구, 벼흰잎마름병, 벼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인 SR30071-3-7-23-6-2-1-1을 인공 교배한 F1을 약배양하여 213개 고정계통을 육성하였다. HR26234는 Xa3+xa5, Stvb-i, SR30071은 Bph18, Xa4, Stvb-i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유래 약배양 계통들은 모두 Stvb-i를 가지고 있었고, Bph18+Xa3, Bph18+Xa4, Bph18+Xa3+xa5, Bph18+Xa4+xa5, bph18+Xa3, bph18+Xa4, bph18+Xa3+ xa5과 bph18+Xa4+xa5의 조합이 확인되었다. 약배양 집단에서 xa5+Bph18(또는 bph18)+Stvb-i 조합이 발생하지 않았고 Bph18 보유 계통이 bph18 보다 적게 발생하는 등 segregation distortion이 발생하였다. Bhp18을 보유하며 벼멸구에 저항성인 계통들이 감수성인 계통들에 비해 간장이 컸다. 선발된 Bph18+Xa4+xa5+Stvb-i 조합의 계통은 단간이면서 벼멸구, 벼흰잎마름병, 벼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낮은 수량성과 일부 불임의 발생, 단간임에도 도복에 안정적이지 못한 특성을 나타냈다.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 육종사업에서 약배양을 활용하여 조기에 육종 목표를 달성하고자 할 경우에 segregation distortion이 발생하여 편의 된 변이가 발생할 수 있고, 저항성 유전자 도입 시 linkage drag에 의해 예기치 못한 열악형질 특성이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목표에 접근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4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다미’는 소비료 재배 적응 중만생 고품질 내도복 복합내 병성 품종육성을 목적으로 2003년 하계에 단간 다수성인 ‘익 산469호’(‘온누리’)를 모본으로 하고 도열병에 강하고 초형이 양호한 조생종 운봉31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보통기 보비 재배에서 ‘소다미’의 출수기는 8월 16일로 ‘남평’과 같 고 간장, 수수 및 수당립수는 각각 81 cm, 12개 및 134개이며 등숙률은 86.8%였다. ‘소다미’는 내냉성 검정에서 냉수구 임 실률은 52%로 소비와 비슷하나 ‘남평’보다 높았다. ‘소다미’ 는 흰잎마름병(K1 ~K3),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잎도열병, 및 멸구류 등의 해충에 약한 품종이다. ‘소다미’의 쌀 외관은 심복백이 없이 맑고 투명하며, 단백질 및 아밀로스 함량은 각 각 6.0% 및 19.0% 로 ‘남평’ 및 ‘소비’보다 낮았다. ‘소다미’ 의 지역적응시험 3개년간 평균 쌀 수량성은 보통기 소비료 재 배에서 평균 5.2 MT/ha로 ‘소비’보다 3% 높은 경향을 보였 고,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6.0 MT/ha로 ‘남평’보다 9% 증수하 는 품종이며 적응지역은 충남이남 평야지 및 남서해안지이다.
        4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명’은 서남부 간척지적응성 고품질 벼품종육성을 목적 으로 2000/2001년 동계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간 척지적응성 우량계통인 계화21호를 모본으로 하고 단간, 내 도복 복합내병성인 ‘밀양165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F3 이후부터는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육성 선발하여 2005년부 터 2006년까지 생산력검정을 실시한 결과 고품질, 내도복, 내 병성인 HR22240-29-5-3-3 계통을 계화30호로 계통명을 부 여하였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서남부 간척지에 적응성이 높고 내도복성이며 미질이 우수한 계통으로 인정되어 2009년 12월 농촌진흥청의 농작 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서명’으로 명명하였다. 서명은 남서해안지 및 호남·영남평야지의 보통기재배에서 평 균 출수기는 8월 14일로 ‘남평벼’보다 2일 빠른 중만생종이 다. 간장은 70 cm, 주당수수는 12개, 수당립수는 87개이며 등숙률은 93.0%, 현미 천립중이 22.8 g인 단립종이다. 도열 병 밭못자리 검정에서 강한 반응을 보였고 내구저항성도 강 한 품종이며 깨씨무늬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나 기 타 바이러스병 및 흰잎마름병, 해충에는 약한 품종이다. 내냉 성 검정에서 유묘적고, 출수지연, 임실률은 남평벼와 비슷했 고, 수발아율은 36%로 ‘남평벼’ 보다 높은 편이며 도복에 강 한 반응을 보였다. 쌀 외관은 심복백이 없이 맑고 투명하며 식미와 관련된 단백질함량 및 아밀로스함량은 각각 7.2% 및 19.3%였고, 밥맛 관능검정에서는 0.06으로 경기도산 추청벼 0.17보다 낮았다. 도정특성 중 제현율과 도정률, 완전미도정 수율은 남평벼보다 높았고 백미완전립률은 97.2%로 ‘남평벼’ 98.2% 보다 낮았다. 쌀 수량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중서부지 에서는 5.6 MT/ha로 ‘화성벼’ 대비 10%가 증수되었고 남서 부해안지에서 5.5 MT/ha, 영남평야지에서 5.6 MT/ha로 ‘남평 벼’ 대비 1-2% 증수하였으며 호남평야지에서는 5.7 MT/ha로 ‘남평벼’ 대비 99% 수준이었다. 3년 평균 쌀 수량은 5.6 MT/ha 로 대비품종과 비슷하였다.
        4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안’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10년에 육성한 고품질 직파적응 내도복 복합내병성 품종이다. ‘수안’의 출수 기는 담수직파에서 8월 15일로 ‘주안벼’보다 1일 늦으며, 보통기 보비 이앙재배에서는 평균 출수기가 8월 10일로 ‘남평 벼’보다 6일정도 빠른 중생종이다. 간장은 담수직파에서 74 cm로 ‘주안벼’보다 4 cm 크고 이앙재배에서는 ‘남평벼’와 비 슷하며 담수직파시 m 2당 수수와 수당립수는 ‘주안벼’보다 적 고 등숙비율이 높으며, 현미천립중은 25.4 g으로 ‘주안벼’보 다 무겁다. 내냉성 검정에서 유묘적고는 ‘남평벼’와 비슷한 반응을 보였고, 출수지연일수가 ‘남평벼’에 비해 2일 정도 길 으나 임실률은 47%로 ‘남평벼’에 비해 높은 편이다. 등숙기 수발아율은 22%로 ‘남평벼’보다 높고 포장도복은 강한 편이 다. 도열병, 흰잎마름병(K1~K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 성이나 기타 바이러스병 및 벼멸구류 등의 해충에는 저항성 이 없다. 단원형이며 쌀 외관은 심복백이 없고 ‘남평벼’ 수준 으로 맑고 투명하다. 단백질 함량 및 아밀로스 함량은 각각 6.5% 및 19.5%이며 밥맛은 ‘남평벼’ 수준이다. 제현율, 도정 율은 ‘남평벼’보다 다소 높으나 백미완전립률은 낮은 편이었 다. 쌀 수량성은 담수직파 6개소 및 건답직파 4개소에서 각각 5.47 MT/ha, 5.56 MT/ha로 ‘주안벼’보다 9% 증수 되었으며, 보통기 보비재배에서는 5.80 MT/ha으로 ‘남평벼’ 대비 4% 증수하였다.
        4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다메’는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2010년도에 육성한 중생종이며 메성으로 혼반에 적합한 품종이다. ‘삼다 메’의 잎은 녹색이나, 생육후기에는 황록색을 띤다. 분얼경은 직립으로 도복에 강하다. 이삭의 형태는 원추형으로 이삭의 착립밀도가 조밀하고 탈립이 안되며 낟알은 황색으로 메성이 다. ‘삼다메’는 밀양, 원주, 신안의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0일로 ‘황금조’보다 12일 늦은 중생종이다. 생 육일수는 보통기 재배에서 101일로 ‘황금조’에 비하여 약13 일 길고, 성숙일수는 6일 정도 길다. 간장은 보통기 보비재배 에서 130 cm로 ‘황금조’에 비해 18 cm 정도 크고 현곡천립 중은 ‘황금조’와 같다. 포장에서의 조도열병, 세균성줄무늬병 은 ‘황금조’에 비해 강한 편이나 속깜부기병은 다소 높게 발 생하였다. 조명나방 및 노린재류의 해충에는 ‘황금조’와 같이 약한 반응을 보였다. ‘황금조’에 비하여 Ca 및 항산화활성이 높은 기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량은 2.42 MT/ha로 ‘황금 조’에 비해 25% 증수하였다.
        46.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xamined urban heat island intensity in Seongseo, Dae gu, South Korea, where a large area of water is located within the suburb. We found a maximum urban heat island intensity of 4.2℃, which occurred around 7 PM in the summer season. Throughout the remainder of the year, we observed the largest heat island intensity levels during late night hours. In contrast, the winter season displayed the smallest values for heat island intensity. Our results conflicted with heat island intensity values for cities where suburbs did not contain water areas. Generally, cities with suburbs lacking water displayed the largest heat island intensity levels before sunrise in the winter season. We also observed negative urban heat island intensity levels at midday in all seasons except for the summer, which is also in contrast with studies examining suburbs lacking water areas. The heat island intensity value observed in this study (4.2℃) was relatively large and fell between the averages for, Asia and Europ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opulation and heat island intensity.
        4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설레미’는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2011년도에 육성한 조생 고품질 고식미 도정특성 우수 품종이다. ‘설레미’는 남부중산간지, 북부평야지 및 중산간지, 남부고냉지 및 동북부해안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일로‘오대벼’보다 3일 늦은 조생종이다. 간장은 73 cm로 오대벼보다 작으며,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이 높은 중립종에 속한다.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수발아는 ‘오대벼’보다 안되는 내수발아성이다. 내냉성은 보통이다. ‘설레미’는 도열병에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입형은현미장폭비가 1.90으로 단원형이며 심복백이 없고 맑고 투명하다. ‘오대벼’에 비해 아밀로스함량은 낮고 단백질함량은 약간 높으며 밥맛은 매우 양호하다. 도정율, 백미완전미율이 각가 77.5%, 97.7%로 ‘오대벼’에 비해 높다. 쌀수량은 보통기표준재배에서 5.60 MT/ha로 ‘오대벼’보다 7% 많은 편이다.
        48.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벼흰잎마름병 균주에 대한 인디카형과 자포니카형의 단일 저항성 유전자의 반응과 이들의 집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자포니카형의 유망 조합을 제시하여 향후 우리나라 환경 여건에 효과적인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고자 수행하였다. 단일 저항성 유전자 계통중 Xa1, Xa3, Xa21은 생태형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Xa4와 xa5는 자포니카에 비해 인디카형에서 저항성이 강하였다. 인디카형과 자포니카형에서 모두 저항성 유전자가 집적되었을 경우에 단일 또는 두 개의 저항성 유전자에 비해 저항성이 정도가 증가하거나, 저항성 수준이 높은 유전자가 저항성 수준이 낮거나 균계 특이적 이병성을 나타내는 저항성 유전자를 보완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자포니카형에서 새롭게 확인된 저항성 유전자 집적 조합인 Xa3+Xa21, xa5+Xa21과 Xa3+xa5+Xa21은 우리나라 우점 균주와 16개 균주에 대해서 저항성이었으며 현재 우리나라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육종에서 주력 저항성 조합으로 이용되고 있는 Xa3+xa5 보다 높은 수준의 저항성을 나타냈다. 이들 저항성 유전자 집적 조합은 균계 분화 등에 따른 저항성 붕괴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유망 조합으로 생각되어 자포니카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증진을 위한 목표 조합으로 설정하여 육종사업을 수행하겠다. 
        49.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관2호’는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2008년 하계에 진주 재래조를 수집하여 2008/2009년 동계온실에서 두 번 집단을 양성하여 순계분리한 도복에 강하며 찰성의 특성을 지닌 혼반 및 경관용 품종으로 2009년에 육성되었다. ‘경관2호’의 잎은 녹색이나, 생육후기에는 자색으로 변하며, 분얼경은 직립으로 도복에 강하고 안토시안 색소 발현이 있다. 이삭의 형태는 원추형이며 이삭의 착립밀도는 ‘황금조’와 비슷하며 탈립이 잘되는 편이다. 낟알은 황색이며 찰성이 있다. ‘경관2호’의 생육일수는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127일로 ‘황금조’보다 25일 늦고, 성숙일수는 11일 정도 길다. 간장은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128 cm로 ‘황금조’에 비해 23 cm 정도 크나 포장 도복에 강하다. 현곡천립중은 2.1 g으로 ‘황금조’에 비해 가벼운 편이다. 포장에서의 조도열병과 세균성줄무늬병 및 벼줄무늬잎마름병 발생이 없었으나 조명나방 및 노린재류에는 약하다. 수량은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2.00 MT/ha로 ‘황금조’에 비해 5% 정도 적다.
        5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생종 벼 품종인 오대, 운광과 HR28021-AC16 계통에 대한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분석과 K1과 K3a 균계를 접종한 후에 수량 및 품질 관련 형질들의 변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오대는 저항성 유전자를 보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광은 Xa3 유전자를, HR28021-AC16은 Xa21 유전자를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대는 K1과 K3a 균계 모두에 이병성을 보였고, 운광은 K1에는 저항성을 K3a에는 이병성을보였다. HR28021-AC16은 K1 균계에는 이병성을 나타냈고K3a 균계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균계접종에 의한 이병성 정도와 2차 감염 정도로 볼 때, K3a 균계가 K1 균계에 비해 병원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K1과 K3a 균계 접종에따른 생산력검정시험에서 균계 처리와 반응에 의해 변이가발생한 형질들 중에 등숙률, 정현비율, 현미수량과 완전미도정수율은 서로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들 형질들과 현미 및 백미 단백질 함량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사미는 등숙률 및 완전미도정수율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성분분석에서 주성분 1을 기준으로 등숙률, 정현비율,현미수량 및 완전미도정수율과 사미, 현미 및 백미 단백질 함량이 다른 방향성을 나타냈고, 주성분 2를 기준으로는 등숙률과 사미가 다른 방향성을 나타냈다. Xa21 유전자를 가지고있는 HR28021-AC16은 K3a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K1 균계 접종구에서는 등숙률, 정현비율, 현미수량 및 완전미도정수율은 감소하였고 사미는 증가하는 등 이병성 반응을나타냈다. Xa21 유전자는 최근 큰 피해를 주는 K3a 균계에대해 강한 저항성을 보이나, 우리나라 우점 균계인 K1에 이병성을 보이기 때문에 K1 균계에 저항성인 다른 유전자와의집적을 통한 활용이 안정적인 저항성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1.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aponica rice cultivars exhibit high susceptibility to bacterial blight(BB) disease due to genetic vulnerability in Korea. Korean japonica resistant rice cultivars mainly possess one of the genes, Xa1 or Xa3 for BB resistance. These resistance genes are becoming susceptible to K3a, resulting in serious rice yield redu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 of xa13 gene pyramiding for developing of japonica rice cultivars resistant to BB pathogen breaking down Xa1 or Xa3. IRBB4 conferring Xa4 gene was resistant to K1(HB01013), K2(HB01014), K3(HB01015), and moderately resistant to K3a(HB01009). IRBB5 having xa5 gene was resistant to K1, K2, K3, and K3a. The recessive gene xa13 was resistant to K1 race but susceptible to K2, K3, and K3a. But Xa21 gene is susceptible to predominant K1 race but resistant to other races such as K2, K3, and K3a. Two genes Xa3 and xa13 were susceptible and Xa4 gene was moderate resistant to 24 isolates. xa5 and Xa21 genes were resistant to all isolates including K3a. When xa13 gene combined Xa4, xa5 and Xa21 genes, effect of xa13 gene pyramiding showed higher resistant reaction than that having singe gene out of Xa4, xa5, and Xa21. The order of resistance against 24 isolates breaking down Xa3 gene was IRBB55(xa13+Xa21) > IRBB53 (xa5+xa13) > IRBB51 (Xa4+xa13).
        52.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terial blight(BB) caused by Xanthomonas oryzae pv. oryzae(Xoo) is one of the most economically destructive bacterial diseases of rice in worldwide. Utilization of resistant cultivars carrying resistant gene(s) is relatively an effect method to control this disease. About 34 resistant genes for BB resistance have been identified in many countries. Among them, Xa1 and Xa3 genes against bacterial blight have been incorporated into improved korean japonica rice varieties. Now, Ilmi carrying Xa1 gene and severial cultivars carrying Xa3 gene are widely grown in our country. In recent year, xa5, Xa21 and Xa23 genes are using in rice breeding programs for japonica resistant cultivars to bacterial blight. Resistant cultivars incorporated with a diverse single gene and two, three, or the more major gene necessite in the future.
        53.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PH(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ål) is a major insect of rice and give a lot of damages around Korea, Japan and East-West Asia. BPH often causes heavy losses of up to 60% of rice crop yields in susceptible cultivars. Especially, increase of the environmental friendly cultivation in South Korea has caused the outbreak of BPH rapidly. But few resistant varieties in Korea have known until now. Utilization of R genes in breeding programs has been the most effective and economical strategy for controlling insect resistance. It is reported that Bph1 gene is located on a long side of chromosome 12 and linked to bph2 among reported 18 R genes. BPH resistant "Iksan529"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HR22538-GHB-36-4(bph2) and Iksan471 at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Culm length of Iksan529 is 74cm and it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blast, and wide spectrum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pathogen(K1, K2, K3) and stripe virus. Especially, Iksan529 was identified bph2 gene using KPM2(co-dominant CAPS marker) and KPM4(resistant-associated marker). When Iksan529 seedling were infested at 2nd and 3rd instar stages of BPH nymphs(Bio-type 1), it showed resistance at one month after infest. Iksan529 will be tested local adaptability for 3 years and deveoped for environmental friendly cultivation.
        54.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veratrol (3,5,4'-trihydroxystilbene) is a naturally occurring antioxidant found in grapes, grape products such as wine, and some other botanical sources, like peanuts. In grapes, resveratrol occurs both as free resveratrol and piceid, which is 3-β-mono-D-glucoside of resveratrol. In recent years, research on resveratrol has discovered several beneficial biological effects of this compound to human health. These include anticancer activity, cardioprotection, antioxidant activity,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So, we conducted this study to develop transgenic rice plants an enhanced phytochemicals associated with reduced cancer risk by overexpression of a peanut RS gene and selected 2 lines, 'Iksan 515' and 'Iksan 526', according to agronomic traits of rice plant and resveratrol contents in rice grain. Resveratrol content of Iksan 515 was increased by 2.3 times until 5 days after seedling and decreased at 7 days after seedling. Expression level of RS gene according to seedling days by Real-time PCR increased until 5 days, but decreased by half at 7 days. Now, we are planning to analyze medicinal function of these high resveratrol rices and development of cultivation technology to increase resveratrol content. Therefore, transgenic rices producing high resveratrol can be used to develop new rices with a cancer chemopreventive role in human medicine.
        55.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ly, more than 33 resistance gene against bacterial blight(BB) have been identified and used to develop resistant cultivar. IRRI developed near isogenic lines carrying monogenic resistance gene and pyramided genes, IRBB lin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sponse of resistance gene to Korean bacterial blight races(K1, K2, K3, and K3a) in IRBB lines. Xa1(IRBB1) was resistant to K1 race and Xa2(IRBB2) was resistant to K1 and K2 race. Xa3(IRBB3 and IRBB203) exploited in many breeding programs in Korea were resistant to K1, K2, and K3 race but susceptible to K3a. Xa4(IRBB4 and IRBB204), xa5(IRBB5 and IRBB205), Xa7(IRBB7 and IRBB207) were resistant to four races. xa8(IRRR8) and Xa11(IRBB11 and IRBB211) showed same reaction of Xa2, resistant to K1 and K2. Xa10(IRBB10 and IRBB210), xa13(IRBB13), Xa14(IRBB14 and IRBB214) showed same reaction of Xa1, resistant to K1. Xa21, identified from the wild rice, Oryza longistaminata, is highly resistant to a broad spectrum of Xoo races. In this study, Xa21 was resistant to K2, K3, and K3a but susceptible to K1 widely spreading in Korea. So, Xa21 may be vulnerable to Korean bacterial blight. But pyramided lines with Xa21 showed high level of resistance to all races of Korea. Pyramided lines with Xa4 which conferred durable resistance in many commercial rice cultivar, xa5 which provides recessive resistance, and other resistance genes showed high level of resistance to Korean bacterial blight races.
        5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otal of 40 Korean rice cultivars we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stage in the greenhouse condition and changes in head rice ratio of brown rice, whiteness of milled rice, amylose and protein contents were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field-grown plants. Testing cultiva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maturation period and accumulated temperature was 1216.4~1775.8oC in the field condition and 1275.8~ 1893.7oC in the greenhouse condition during grain filling stage. Reduction ratio of head rice and whiteness under high temperature in the four groups were 23.6, 17.7, 13.0, 8.7% and 12.7, 12.3, 9.5, 6.0%, respectively, in which early-maturing group showed more severe deterioration due to the early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Rice cultivar Dongan and Daeya were the most tolerant to high temperature among the tested cultivars showing 0.5 and 6.6% of the head rice reduction ratio and 0 and 1.2% of whiteness reduction ratio under high temperature, respectively. Amylose contents of the four groups were reduced by 11.7, 11.3, 8.8, 8.5% under high temperature in group Ⅰ, Ⅱ, Ⅲ, Ⅳ, respectively, whereas protein contents were increased by 14.2, 6.3, 4.4, 4.4% in the four groups, respectively.
        5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mperature rise during grain filling stage by global warming causes deterioration in rice yield and qu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oper panicle traits for improving grain filling under high temperature. A total of 40 Korean rice cultivars were grouped according to maturation period and exposed to high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stage in greenhouse with ventilating fans. Average temperature in greenhouse was 1.1~1.5oC higher than ambient condition. Main panicle traits such as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number of primary rachis branches(PRBs) and secondary rachis branches(SRBs) per panicle, number of spikelets setting on PRBs and SRBs were counted after harves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grain ripened ratio was investigated. Grain ripened ratio under high temperatur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number of total rachis branches, number of SRBs, number of total and average spikelets setting on SRBs, and ratio of number of SRBs to number of PRBs. Especially, number of total and average spikelets setting on SRBs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ripened grain ratio, which implies grain filling under high temperature might have been more severely decreased in the cultivars with bigger sink size due to higher number of spikelets setting on SRBs.
        5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Japonica resistant rice cultivars mainly posses one of the genes, Xa1 or Xa3 for BB resistance. These resistance genes are becoming susceptible to K3a, resulting in the breakdown of resistance of Japonica cultivars. Especially, glutinous rice cultivars exhibit high susceptibility to bacterial blight(BB)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glutinous Japonica near-isogenic lines(NILs) conferring useful single gene such as Xa2, Xa3, xa5, Xa21, etc. Six NILs conferring Xa2, Xa3, xa5, xa8, Xa14 and Xa21 genes were developed. Six NILs with Sangjuchalbyeo genetic background were selected by DNA markers and inoculation of K1, K2, K3 and K3a race. NILs having Xa14 was resistant to K1 and susceptible to K2, K3 and K3a. NILs with Xa2 and xa8 was resistant to K1, K2 and susceptible to K3 and K3a. NIL with Xa3 was resistant to K1, K2, K3, but susceptible to K3a. NIL with xa5 was resistant to K1, K2, K3, and K3a. NIL having Xa21 was susceptible to K1, while resistant to K2, K3 and K3a. Identification of xa5 and Xa21 genes were carried out by STS markers. Heading date of NILs ranged from Jul. 31 to Aug. 6. Culm length, No. of grains per panicle and ratio of ripened grain of NILs were a little different to those of Sangjuchalbyeo. Milled rice of NILs were ranged from 437kg/10a to 463. Agronomic traits of NILs containing Xa2, Xa3, xa5, xa8, Xa14 and Xa21 were similar or a little different to those of recurrent parent. These NILs would be useful to develop durable resistant glutinous varieties in Korea.
        5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arch RVA profile parameters serve as important indices in the estimation of rice cooking and eating quality. Four cold- tolerant and five cold-sensitive japonica rice varieties grown at 3 different altitudes in Yunnan plateau were used in this experiments. RVA parameters including peak viscosity(PKV), hot viscosity(HTV), final viscosity(FLV), breakdown viscosity(BDV), setback viscosity(SBV) and pasting temperature(PaT) were investigated. SBV and PaT of cold tolerant varieties and PKV, BDV and SBV of cold-sensitive varieti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nvironments. The variances of RVA parameters were affected by genotype×environment interactions in cold tolerant and sensitive varieties.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of RVA parameters except for SBV in cold tolerant varieties were lower than those in cold sensitive varieties. HTV, FLV and SBV of cold tolerant varie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while PKV, BDV and Pa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ld sensitive varieties. With altitude increasing, SBV and PaT of cold sensitive varieties in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PKV, HTV, FLV and BDV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PKV, BDV and PaT of cold tolerant varieties gradually increased while HTV, FLV and SBV increased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with altitude ris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oking and eating quality would be improved by improving cold tolerance of rice varieties in breeding program.
        6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breeding program for improving milling traits, which has difference among the rice varieties. Milling traits such as residual embryo ratio, broken kernel ratio and whiteness were investigated at the different milling level and with several varieties. Residual embryo ratio and broken kernel ratio were high at the varieties group having more 1000-grain weight. In the whiteness of milled rice, there was also variance among the varieties at the same degree of milling. Correlation analysis among milling traits showed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1000-grain weight and recovery of brown rice, bu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content of brown rice and hardness of kernel. Therefore, these different milling traits of each varieties could be considered in the rice breeding program for the good quality.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