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4

        4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istance to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 in Enterobacteriaceae is increasingly prevalent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stribution of AmpC genes in Proteus mirabilis isolated from stray and hospital-admitted companion animals in South Korea. AmpC β-lactamases hold clinical significance due to its potential to facilitate antimicrobial resistance to cefoxitin, cefazolin, and most penicillins. A total of 163 bacterial isolates belonging to the Enterobacteriaceae family were collected from dogs (n = 158) and cats (n=5). Of them, 134 isolates were from hospital-admitted animals, while 29 isolates from stray animals. Boronic acid tes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were conducted for an initial screening to detect AmpC β-lactamase resistant P. mirabilis. Gene-specific PCR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type of AmpC genes, which include six groups (MOXM, CITM, DHAM, ACCM, EBCM, and FOXM), in the resistant isolates. The boronic acid disk tests revealed 45 (27.6%) positive isolates out of 163 isolates tested. Of these 45 isolates, six were determined to harbor the EBCM gene, 13 for CITM, one for FOXM, and one for DHAM by single detection PCR. No isolates carried for ACCM or MOXM. Thus, a total of 21 out of 163 isolates (12.9%) were demonstrated to possess AmpC genes. No isolates contain more than one group of AmpC gene family.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P. mirabilis was found to possess AmpC genes compared to past studies. Therefore, the increasing trend in antimicrobial resistance in P. mirabilis indicates a dire need to monitor antimicrobial prescription in the veterinary field.
        4,000원
        4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free-living marine nematode species of the genus Belbolla Andrássy, 1973 belonging to the family Enchelidiidae is describ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sediment of a subtidal benthic environmental habitat in the East Sea, Korea. Belbolla wonkimi sp. nov. differs from its congeners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 relatively long body (3263-3396 μm), the absence of ocelli, nine oesophageal bulbs in the posterior pharynx, well-developed two winged precloacal supplements, longer spicule length (115-130 μm, 1.6-1.8 anal body diameter long), and a triangle-shaped shorter gubernacular apophysis (17-18 μm). Comparative tables on the biogeograph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lbolla species are presented. A DIC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photomicrograph of the new species is also provided. This is the first taxonomic report on the genus Belbolla from Korean waters.
        4,000원
        5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존에 절화용으로 개발되지 않았던 벼룩이울타리를 절화로써의 가치와 가능성을 증명함으로써 새로운 관상식물로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온도, 보존용액, 절화 수명연장제에 따른 절화 벼룩이울타리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절화수명, 수분흡수량,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수확 후 절화는 4, 15, 20, 25°C의 온도 조건에 따른 영향력과 1, 3% sucrose 와 8-hydroxqui-noline sulfate(8-HQS) 10, 50, 100mg・L-1 혼 용보존용액, 절화수명연장제 Chrysal와 Floarlife을 처리하였다. 저장 온도에 따른 실험 결과, 절화 벼룩이울타리는 저온 (4°C)에서의 저장에서의 절화수명이 대조구(7.8일)보다 29일 연장되었다. 온도가 낮을수록 절화의 품질과 수명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sucrose와 8-HQS의 효과 확인을 위해 가장 낮은 농도의 당과 살균제를 혼용한 1% sucrose+8-HQS 10mg・L-1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보존용액 대조구(6.5±0.5일)에 비하여 절화수명이 약 2주 연장되었다. 또한, 절화수명연장제 Chrysal 과 Floarlife는 sucrose와 8-HQS의 혼용보존용액과 절화수명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한편, 모든 실험 조건에서 수분흡수량과 생체중의 급격한 감소는 절화수명의 단축됨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5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광 환경이 자생 Veronica속 4종 구와꼬리풀, 봉래꼬리풀, 부산꼬리풀, 큰구와꼬리풀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중 봉래꼬리풀은 희귀 및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이며 부산꼬리풀은 우리나라에서도 부산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자 자료부족종으로 분류된다. 실험은 2018년 3월 30일부 터 2018년 8월 17일까지 수행되었으며 Veronica속 4종을 0, 40, 60,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하였다. 구와꼬리풀을 0~6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지상부의 생체중이 무겁고 엽수 및 가지수가 많아 생장이 유의하게 좋았다. 큰구와꼬리풀의 줄기 두께는 9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유의하게 얇아져 생장이 불량하였다. 구와꼬리풀과 큰구와꼬리풀은 0~60% 환경에서 재배시 모든 개체가 개화하였으며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개화소요일수가 짧 아졌다. 봉래꼬리풀은 0~4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60~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지상부 및 건물증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생육이 좋았으며, 관상가치 측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부산꼬리풀의 관상가치는 0, 40, 60, 9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각각 4.0, 3.0, 2.2, 1.0점으로 조사되어 동일한 Veronica속이라도 종에 따라서 광 민감도가 다양한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5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저온처리 기간과 일장이 자생 돌마타리의 휴면타파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노지에서 재배중인 돌마타리의 생물계절현상 반응(phenology) 을 3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또한 저온처리 기간이 돌마타리 휴면타파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4°C 저온에 0, 3, 6, 9, 12주간 처리한 후 장일환경(16h), 25°C 온도조건에서 재배하면서 생육특성을 관찰하였다. 일장이 돌마타리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연저온 처리된 돌마타리를 단일(9h), 중일(12h), 장일조건(16h)에서 재배하여 생육 특성을 관찰하였다. 야외에서 재배중인 돌마타리는 늦여름인 8월부터 9월까지 개화하는 특성을 보였다. 저온처리 기간에 따른 실험결과 9, 12주 저온처리를 받은 식물이 3, 6주간 저온처리 한 식물에 비해 개화소요일수가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돌마타리는 4°C 온도에서 9주 이상 처리시 33%의 개화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장에 따른 실험결과, 장일환경에서 재배된 돌마타리의 초장은 50.1cm였으나 단일 및 중일환경에서 재배된 식물의 초장은 각각 16.7, 16.1cm로 조사되었다. 돌마타리는 장일환경에서 16주간 재배 시 100% 개화하였으나 단일 및 중일 환경에서 재배 시 전혀 개화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돌마타리 는 휴면타파 및 개화를 위해 저온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며 장일 환경조건에서만 개화하는 질적장일식물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6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lon thrips, Thrips palmi Karny (Thysanoptera: Thripidae) is a worldwide polyphagous pest. The management of this pest have mainly relied on chemical agents. However, the overuse is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results in insects resistance. Therefore, alternative eco-friendly control methods that have different mode of action, such as biological control, are necessary to overcome the current issue. In this study, we isolated entomopathogenic fungi from Korean soil, and characterized them via morphological and molecular techniques and pathogenicity assay against Tenebrio molitor larvae. The isolated fungi were screened for virulence against T. palmi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establish a thrips-pathogenic fungal library. The highly virulent isolates were selected and further characterized for optimum culture conditions and application as biopesticide in the fiel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