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6

        41.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herapeutic effects of beauty care on negative mental health, including stress and depression. Nail care, massage care, and makeup were used as programs for beauty therapy.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ix female participants over five-month period. After interviewing the subjects in advance, beauty care treatments were performed every week 4 weeks in the following order: nail care, massage, and make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perceived beauty care in the form of 4 concepts: “courtesy in social life,” “investment in oneself,” “self-satisfaction,” and “self-care.” Second, the effects of beauty therapy were categorized as “psychological effects,” “confidence,” “behavioral changes,” “evaluation of others,” and “positive social effects.” Third, each subject showed different psychological effects during the process when the function of the therapy took effect through the beauty care treatment. It was confirmed that confidence levels increased as a result of treatment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re-aware of oneself. Positive statements from the participants included: “I want to go out,” “I have become kind and positive to others,” “I have become more active in a given task,” and “It seems that my work ability is improving.” Finally, t-test results for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is confirmed that self- esteem increased, and depression decreased after the beauty care treatment.
        4,900원
        44.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nsory stimulation of a cosmetic product has been deemed to be an ancillary aspect until a decade ago. That point of view has drastically changed on different levels in just a decade. Nowadays cosmetic formulators should unavoidably meet the needs of consumers who want sensory satisfaction, although they do not have much time for new product development. The selection of new products from candidate products largely depend on the panel of human sensory experts. As new product development cycle time decreases, the formulators wanted to find systematic tools that are required to filter candidate products into a short list. Traditional statistical analysis on most physical property tests for the products including tribology tests and rheology tests, do not give any sound foundation for filtering candidate products. In this paper, we suggest a deep learning-based analysis method to identify hand cream products by raw electric signals from tribological sliding test. We compare the result of the deep learning-based method using raw data as input with the results of several machine learning-based analysis methods using manually extracted features as input. Among them, ResNet that is a deep learning model proved to be the best method to identify hand cream used in the test. According to our search in the scientific reported papers, this is the first attempt for predicting test cosmetic product with only raw time-series friction data without any manual feature extraction. Automatic product identification capability without manually extracted features can be used to narrow down the list of the newly developed candidate products.
        4,000원
        45.
        2021.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a growing research interest in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Nevertheless, unlike studies involving the identity of native and non-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few studies analyzed Gyopo English teachers’ identity despite a sizeable body of Gyopo teachers i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Using post-structural perspectives of identity, this case study analyzed the identities of a Gyopo instructor as an English teacher and how such identities were reflected in classroom practi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classroom observations, and self-reflective reports written by the participant. Findings reveal that the participant constructed multiple professional identities as a teacher with previous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a bridge-builder, a multitasker, and a teacher who is not a native English speaker but an American, and a replaceable person. While experiencing identity conflicts, she constantly negotiated and renegotiated her multiple, contradictory identities to position herself more favorab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offers pedagogical suggestions.
        6,900원
        46.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armored dinoflagellates, in the family Kareniaceae, include harmful or toxic bloom-forming species, which are associated with massive fish kills and mortalities of marine organisms worldwide.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the toxigenic species in the family Kareniaceae were investigated in the brackish and coastal waters of Korea between July 2018 and October 2020. During the survey, we collected seven newly recorded species; Karenia papilionacea, Karlodinium digitatum, Karl. veneficum, Karl. zhouanum, Takayama acrotrocha, T. helix, and T. tasmanica. A total of fifteen strains of the seven taxa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as clonal cultures and examined using LM, SEM, and molecular phylogeny inferred from LSU rDNA sequences. Herein, we present the taxonomic information, morphological features, and molecular phylogenetic positions of the unrecorded dinoflagellate species collected from Korean coastal waters.
        4,000원
        47.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 여부에 따른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 100명과 미취득자(일반인) 210명, 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화훼장식 자격증 선호도 조사에서는 화훼장식기사(3.27)와 화훼장식기능사(3.13)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격증 선호 이유로는 자격증이 주는 자신감(3.56)과 다양한 실무에서의 활용(3.43)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반면,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에 대한 선호도는 가장 낮았으며, 특히 자격증 취득자의 선호도가 미취득자에 비해 더 낮았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에 대한 만족도는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3.70)이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3.03)보다 높았으며, 특히 미국 화훼장식 민간자격증(4.03)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보유자는 많았으나 본 자격 증 만족도는 보통 이하로 낮은 수준이었다. 자격증 취득의 만족 이유로는 해당 자격증이 능력개발 및 전문성에 도움을 주며(3.61), 자격증이 주는 신뢰도(3.45), 실무에 도움(3.41)을 제공하기 때문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장식 자격증 별 신뢰도에서는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2.80)을 제외한 모든 자격증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국내 화훼장식기사(3.44)는 유럽, 일본과 한국의 민간자격증에 비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발전 방향을 살펴본 결과,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취업과 실무와의 연계, 실기 심사에 대한 공정성, 시험 및 평가방식의 강화 등이 자격증 발전에 필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격증 취득 시험 출제 기준 및 자격증 취득 후 국가적 복지혜택에 대한 보완이 바람직한 화훼 장식 자격증 제도의 정착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4,300원
        5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청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분홍색의 향기가 있고, Dendrobium kingianum에 비해 왜성종이며, 2월 하순경 개화하는 덴드로비 움 ‘리틀핑크’(D. kingianum ‘Little Pink’)를 육성하였다. 신품종 ‘리틀핑크’는 2007년 D. kingianum을 모본으로, D. kingianum var. silcockii를 부본으로 교배하였다. 종자 발아, 재배, 선발, 특성검정은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되었다. 생육이 좋고 꽃의 색, 모양이 우수한 계통을 선발한 후, 2016년부터 2018년까 지 3년에 걸쳐 국립종자원 신품종 심사기준으로 특성검정 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9년 최종 선발하여 ‘리틀핑크’로 명명하 였다.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화색은 분홍색으로 Red-purple Group 72B(RHS color chart)이며, 향기가 있고 꽃잎무늬는 농담 무늬이다. 식물체 크기는 7.3cm로 대조품종 D. kingianum 23.5cm에 비해 작은 왜성종이다. 엽의 폭은 1.2cm이고, 꽃의 넓이는 2.4cm이다. 소화수는 3.7개이고 전반적으로 화분의 볼 륨감이 좋은 편이다. 꽃자루 길이는 7 .2cm로 대조품종 D. kingianum에 비해 짧다. 개화기는 2월 하순이며, 개화기간은 30일 정도이다.
        4,000원
        5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 관한 인식과 선 호도 현황을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 남녀 431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하여 대부분 (74%)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웨딩에서의 화훼장식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응답자들 은 팝업 스타일 웨딩의 장점으로 하객과의 소통이 자유롭고 공간과 인원에 따라 맞춤 웨딩이 가능하며 예비부부가 주도하 는 개성 있는 웨딩으로 인식하였으며, 단점으로는 날씨에 따 른 변수(악천후, 땡볕, 습도 등)라고 인식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공간으로는 실내공간보다 실외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실내·외 공간에서 모두 현대적 스타일 건 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 훼장식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기존 웨딩의 화훼장식보다 공간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예비부부가 선호하는 화훼장식의 선 택이 가능하며, 화훼장식과 어우러지는 다양한 오브제(장식 품) 선택이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 요소로는 웨딩카를 제외한 모든 화훼장식 요소를 중 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특히 웨딩 꽃길, 신부 부케, 웨딩 꽃길 입구장식이 가장 돋보여야 할 부분이라고 인식하였고, 여성이 남성보다 화훼장식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팝업 스타일 웨딩 화훼장식의 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에게 폭넓은 정보 제공이 필요하며, 소비자의 요구에 알맞은 디자인을 제 공하는 팝업 스타일 웨딩 화훼장식으로 소비자들의 웨딩 화훼 장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원거리에서 심한 복시 증상을 가지고 있는 눈벌림 부족형 내사시를 대상으로 성공적인 시기능훈련의 사 례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자는 만19세 여성으로 복시 증상으로 인해 일상적인 불편함까지 동반된 상태였다.처음 방문시 양안시검사를 실시한 결과 원거리에서 복시를 동반한 눈벌림 부족형 간헐내사시였다. 시기능훈련은 음성융합버전스를 개선시키는 협응훈련과 초점조절훈련, 안구운동성훈련 등을 중심으로 시행하였다. 시기능 평가로는 굴절검사를 포함하여 프리즘 가림검사, 융합능력, 버전스용이성, 눈모음근점, Bagolini striated glasses test, W4D 그리 고 입체시 검사 등을 포함하였다. 결과 : 시기능훈련 전에 원거리 편위량은 내사시 16 △에서 9개월 후 내사위 3 △으로 향상되었다. 근거리 편위 량도 시기능훈련 후에 내사시 7 △에서 내사위 1 △으로 변화가 있었다. 융합능력은 원거리 BI X/4/1에서 훈련 후 에 BI X/4/3로, 근거리는 훈련 전 BI X/8/2에서 훈련 후 BI X/16/14로 모두 변화가 있었다. Bagolini test에서 시기능훈련 전에 나타났던 동측성 복시는 훈련 후 모든 거리에서 단일시로 개선되었다. 처음 방문 시 심하게 호소했 던 원거리에서의 복시 증상은 9개월간의 훈련과정에서 점차 개선되어 안정적인 양안 단일시 상태를 나타내었다. 결론 : 원거리에서 심한 복시 증상을 호소한 눈벌림 부족형 내사시에서 9개월간의 시기능훈련 후에 양안시기능 과 시각적 증상은 모두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4,000원
        59.
        202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dioisotope ADME (RI-ADME) studies are enabling visualization of the biodistribution in molecular imaging. We applied RI-ADME to investigate the tumor targeting capacity and biodistribution of trastuzumab-monomethyl auristatin F (LCB14-0110) in JIMT-1 xenograft mice and healthy marmoset. The LCB14-0110 was labelled with 125I. 125I-LCB14-0110 was intravenously administered to the animals. The gamma-count and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SPECT/CT) was conducted for biodistributioon and bioimaging of the biopharmaceutics. Tumor uptake in xenograft mice was highest at three-day after 125I-LCB14-0110 administration in both the biodistribution and SPECT/CT bioimaging. Alternatively, blood and organ tissues showed gradual decrease in radioactivity over time. In marmosets, radioactivity in all organ tissues rapidly reduced and no specific targeting of organs was observed in the biodistribution study and SPECT/CT imaging. Hence, 125ILCB14- 0110 demonstrated effective tumor targeting capacity and accumulated in JIMT-1 cell-bearing mice. However, accumulation did not occur in the organs of xenograft mice. Additionally, marmosets showed rapidly decrease in radioactivity throughout the entire body without accumulation in the normal organs. We also confirmed that the drug distribution was similar in normal organs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animal species except spleen. Therefore, 125I is expected to be a useful tool in the study of RI-ADME in biopharmaceuticals through minimal antibody modification.
        4,300원
        6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졸업식, 입학식 시즌에 생화 꽃다발 상품에 관해 소비자 인식과 구입 특성을 알아보고자 10세 이상의 내국인 남, 여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졸업, 입학식 시즌의 꽃다발 상품 구입 이유에 관한 설문 결과, 특별한 날이기 때문에 가족, 친구들과 좋은 시간을 보내기 위한 능동적인 구입 형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유치원 및 대학교 졸업, 입학식에 비해 초, 중, 고 졸업, 입학식 에 꽃다발 구매 경험이 더 많았으며, 주로 행사 당일 1~2시간 전에 노점에서 상품을 구입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꽃다발 가격과 크기는 1~5만원 사이의 중간 (21~50cm) 크기를 선호하였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꽃다발 가격 결정 요인으로는 꽃다발의 품질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였고, 선호하는 절화의 특성은 전제적인 디자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소비자가 선호하는 절화 특성으로는 10대는 30대 이상 연령에 비해 선명하고 화려한 색의 절화를 선호하며, 30대가 20대보다 화형이 큰 절화를 선호 하였다. 꽃다발 상품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는 가격에 대한 신뢰와 절화수명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꽃다발 대체상품으로 보존화, 건조화, 조화 등을 구입하는 비율은 낮았으며, 대체상품을 구입하는 일부 소비자들은 생화보다 오래 볼 수 있으며 관리가 쉽기 때문에 구매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절화상품 인식 제고를 위해 절화 가격 및 구매 후 관리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