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0

        61.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ement for assessing risk factors for fall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Rasch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items on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assessing self-efficacy, and items on the Berg Balance Scale (BBS), assessing balance function, contribute jointly to a unidimensional construct in the elderly. A total of 35 elderly persons (4 men, 31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item of ABC (16 items) and BBS (14 items) was scored on a 5-point ordinal rating scale from 0 to 4. The initial Rasch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icated that 3 of the ABC items and 2 of the BBS items were misfit for this study. These 5 items were excluded from further study. After combining ABC and BBS, Rasch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were examined and finally 23 items selected; 12 items from ABC, 11 items from BBS. The 23 combined ABC-BBC items were arranged in order of difficulty. The hardest item was 'walk outside on icy sidewalks' and the easiest item was 'pivot transfer'. Although structural calibration of each 5 rating scale categories was not ordered, the other three essential criteria of Linacre's optimal rating scale were satisfied. Overall, the ABC-BBS showed sound item psychometric properties. Each of the 5 rating scale categories appeared to distinctly identify subjects at different ability le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at the new ABC-BBS scale measure balance function and self-efficacy. It will be a clinically useful assessment of risk factors for falling in the elderly. However, the number of subjects was too small to generalize our results.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new assessment considering more risk factors of falling in elderly.
        4,000원
        62.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정상성인남성의 마시기 동작을 표면근전도와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통하여 상지 움직임에 대한 계량적(운동형상학: kinematics, 근활성도: muscle activity) 자료를 수집하여 마시기 과제 수행 시 운동 패턴과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건강한 20대 젊은 남성 30명을 대상으로, 삼차원동작분석기(VICON MX System)와 근전도기(MP-100)를 이용하여 마시는 동작의 관절가동범위, 속도,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물 마시기 수행 중 컵을 잡는 동안 어깨에서 최대 내전과 팔꿈치의 최대 신전이 나타났고, 마시는 동안 어깨에서는 최대 굴곡 및 외전이 팔꿈치에서는 최대 굴곡이 나타났다. 뻗기 단계에서 각 관절의 각도 변화에 대해 피어슨상관계수(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한 결과 어깨와 팔꿈치사이에서 (r=-.904), 어깨와 손목사이에서(r=.722), 팔꿈치와 손목사이에서(r=-.70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5). 입으로 가져오기 단계에서는 위쪽등세모근(7.31%)과 위팔두갈래근(1.60%)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였고, 정리하기, 마시기, 뻗기 단계에서 각각 위팔세갈래근(.43%), 중간어깨세모근(1.33%), 긴노쪽손목폄근(2.20%)에서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중추신경계 및 근 골격계 환자의 치료 계획 및 치료 전략을 설정 시 적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치료적 중재 후 상지 움직임 향상에 대한 평가의 기초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4,300원
        63.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태도 및 감각처리 정도를 비교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각각 20명)를 대상으로 감각처리 질문지(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SP)와 어머니 양육태도에 관한 설문지(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를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작성 시간은 ASP 15분, MBRI 10분, 총 25분이 소요되었고, 2007년 9월, 10월 두 달간 설문이 실시되었다. 양육태도와 감각처리 점수는 평균을, 양육태도와 감각처리 점수와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비교해 본 결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5). 감각처리 비교에서도 장애아동 어머니가 일반아동 어머니에 비해 평균적으로 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자신에 맞게 환경적 자극이나 감각을 찾는 능동적인 행동이 많이 부족하였다.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와의 관련성 비교에서는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모두 감각처리의 4가지 영역과 상관성 있게 나타났다(p<.05). 결론 : 환경적 자극의 인식과 민감성, 자극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부모일수록 아동에게 더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와의 관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부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6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analyzed the comet records in the Korean history books: Samguksagi, Goryeosa, and Joseonwangjosillok. For a comparison, the Chinese and Japanese comet records collected by Kronk (1999) have also been analyzed. Power spectrum of the time series of the comet records is used to find periodic comets.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iodicities in the power spectrum are detected at the periods of 38-40 years, about 76 years, and 300-400 years for all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et records. We have also calculated the past orbits of some comets that have been recently observed, to check whether or not they were recorded in the history books. We use a multistep method to numerically integrate the comet's orbital motion backward in time to 51 B.C. The gravitational force due to the Sun and the nine planets, non-gravitational force, and the relativistic effects have been considered. Comparison of comet's perihelion passage time and the position on the sky with the historical records shows that the comet Halley were recorded at every passage in both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 orbital motion of the comet Pons-Brooks has also been compared with the Korean records. For the comet Tempel-Tuttle, Swift-Tuttle, and Ikeya-Zhang, we have compared our calculation of the orbital motions with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5,200원
        65.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작업모델(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을 이론적 틀로 하여 개발된 근로 자역할인식 면담도구(Worker Role Interview: WRI)를 소개하고, 향후 국내에서의 적극적인 사용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WRI를 이용한 면담조사를 준비하기 위하여 2006년 9월부터 12월까지 WRI Version 9.0의 매뉴얼을 한국어로 1차 번역을 실시하였고, 감수와 수정 과정을 통하여 면담조사 권장질문지와 점수표, 판정기준을 마련하였다. 면담조사를 위하여 작업치료실이 있는 3곳의 산재전문병원을 방문하여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였고, 그 중 한 곳에서 직업복귀 가능성이 있고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산재 환자를 소개받아 2007년 2월 27일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WRI의 평가결과는 최소 17점에서 최대 68점으로 점수화 할 수 있는 데, 클라이언트의 평가 결과 총점 48점으로 전체적으로 직업복귀에 부정적인 측면 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적 사유나 자신의 직업에 대한 가치, 흥미와 관련되어 있는 의지 영역에서 직업복귀를 강하게 지지하는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클라이언트의 직업복귀에 대한 동기가 강하므로 직업복귀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 하에 재활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인간작업모델이라는 새로운 작업치료의 패러다임을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간편한 면담평가도구로써 WRI는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변인을 통한 직업복귀의 가능성을 예측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작업치료사가 환자의 기능적 손상이나 장해에만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환자를 이해하고 접근하여 성공적인 재활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 다.
        4,200원
        66.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세기 들어 알코올 및 약물중독의 문제는 범죄, 실업, 가족구성원간의 갈등 및 불화, 마찰의 증가, 그리고 개인적 심리사회적 고통과 같은 심각한 사회문제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개인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의 위협을 받고 있으며, 많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많은 사회적, 경제적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대응에 있어서는 물론 다양하고 구체적인 해결 방안이 제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해결방안들은 궁극적으로 ‘예방 및 치료’ 또는 ‘처벌’이라는 두 가지로 견해로 구분되어 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가지 견해를 중심으로, 미국사회가 알코올 및 마약중독에 관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어떠한 선택을 했는지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미국의 약물퇴치정책에 관한 소사(小史), 사회적 의미로서의 중독의 개념과 이에 따른 해결방안, 마약과 범죄와의 관련성, 치료의 효율성측면에 대한 고찰, 음주운전자의 치료와 처벌의 효율성에 대한 비교, 그리고 치료와 처벌에 관한 비용-효과 분석에 관해 논의하였다.
        5,500원
        67.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pplying Rasch analysis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the questionnaires of th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for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99 institutional older adults and client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subjects (17 men, 72 women) ranged in age from 65 to 94 years (mean age 76.5 yrs). The Winsteps software was used to assess whether the ABC scale fits the Rasch model, to estimate the score and to refine the rating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wenty-two subjects were excluded as misfit persons. Four items were found to be misfits and the order of difficulty of the remaining 12 items was rearranged. Their balance confidence is indicated by -.64~1.12 logit, and the transformation formula is score=[(logit score+2.76)/(2.76+3.48)]100. The most difficult item was "Walk outside in icy sidewalks" and the easiest item was "Walk around house." In conclusion, the ABC scale for the elderly has been proven reliable and valid.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examination tool for treatment planning and screening for older adults.
        4,000원
        68.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에 대한 사용 실태 및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평가도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6년 대한작업치료학술대회에 참석한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제작은 성인과 아동으로 구분하였고, 운동기능 평가 도구, 인지 및 지각평가 도구, 일상생활평가 도구, 발달평가 도구, 감각통합검사, 직업 및 작업수행평가 도구, 이학적 검사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분석은 설문에 응답한 158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적 통계량,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근무특성과 관련된 평가도구 사용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기 평가시간으로 20~40분을 할애하는 응답자(66.5%)가 가장 많았고, 평가주기는 기능적인 변화가 있을 때, 성인 환자가 아동보다 사용되는 평가도구 수가 많았고, 대학병원이 사용하는 평가도구 수가 가장 많았다. 영역별 사용평가도구는 성인의 운동기능 평가에 Manual Function Test(62.4%)를, 인지-지각 평가에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80.3%)을, 일상생활에 FIM(79.5%)을, 작업수행평가에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17.1%)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경우는 전반적 발달검사에서는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97%)를, 운동적합성에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35.8%)를, 감각통합평가에 Sensory Profile(61.2%)을, 인지-지각 평가에 Deve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47.8%)를, 일상생활에 Wee FIM(74.6%)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를 영역별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추후 작업치료사들의 교육과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69.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using Rasch analysis, the rating scale performanc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BBS). The subjects were 95 elderly people at community dwelling. Subjects (19 men, 76 women) ranged in age from 65 to 91 years. Rasch analysis was then done by means of the Winsteps program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BS evaluation tools for elderly peo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wenty-one elderly people were excluded for misfit persons. Three items were found to be misfits and the order of item difficulty of the remaining 11 items was arranged. Elderly people BBS ability is indicated by -.94~7.41 logit, and the transformation formula is score=(logit score+.94)/. This transformation formula can be applied to Korean elderly people for balance ability. In the order of difficulty of evaluation items, the most difficult item was "Standing on one foot" and the easiest item was "Standing to Sitting". In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BBS evaluation tool for the elderly people has been proved valid and will be useful in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in Korea.
        4,000원
        70.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활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는 대부분 서열척도인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평가도구는 선택된 항목의 난이도 수준이나 분포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항목에서 획득한 총점을 환자의 기능수준으로 인식하거나 환자간의 능력을 비교하는 것은 제한적이다. 최근에는 서열척도를 등간척도로 변환시켜주고, 객관적으로 평가항목을 분석할 수 있는 문항반응이론의 활용이 대두되고 있다. 문항반응이론에 기초한 라쉬분석은 기존의 서열척도로 구성된 평가항목의 점수를 등간척도로 변환시킨 로짓점수로 항목의 난이도를 알 수 있고, 변환식에서 산출된 환자의 능력점수는 다른 환자와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하다. 라쉬분석은 평가도구의 항목선정과 척도분석이 가능하여 평가도구 개발에 활용되고, 환자의 능력추정과 검사동등화를 실시할 수 있어 컴퓨터 개별화 검사(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문제은행의 항목 제작 등에 사용되고 있다. 본문에서는 라쉬모형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함께 최근 재활분야에서 라쉬분석이 활용된 연구결과를 요약하였다. 현재 재활분야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평가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는 물론, 새로운 평가도구 개발에 라쉬분석이 활용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평가항목의 단일구성(unidimensionality)정도를 알 수 있는 적합도 검증과 문항의 난이도 분석결과는 환자의 능력에 맞는 과제 및 항목을 선정할 수 있어 중재계획 및 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4,200원
        71.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Dynavision을 이용한 성인 남녀의 시각운동 반응 속도를 측정하여 정상인의 표준치를 밝히고, 임상에서 이 도구를 이용한 훈련을 시행할 때 대상자의 성별을 고려하여 적용함을 목표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대학생 62명을 대상으로(남: 31, 여: 31), 나이는 19~27세로, 평균나이는 21.48±2.19세이었다. 국소적인 시각적 주의력과 주변 시각적 주의력 그리고 시지각 전체 영역에서 시각 탐색, 시각반응의 측정 및 훈련하도록 고안된 dynavision의 여러 훈련 프로그램 중 본 연구에서는 self-paced 60초와 240초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 남녀 두 그룹간 시각운동 반응 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self-paced 60초와 240초 훈련 프로그램 모두에서 남자들이 여자들보다 반응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p<0.05). 결론 : Dynavision을 시지각 손상 환자를 평가하고 훈련시킬 때 성별에 따른 정상 수행 속도를 고려하여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4,000원
        72.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준비연구(pilot study)는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가 작업수행능력의 질적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이 두 가지 평가도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작업치료사의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상호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만 3세에서 15세 사이의 발달장애아동 7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충남 서산에 소재하는 지역사회 아동발달 센터에서 주 2회씩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클라이언트중심의 작업치료프로그램 전과 후의 점수변화를 비교한 결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의 운동기술(AMPS-M) 영역(p>0.05)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각각 p<0.05). 스피어맨 순위 상관계수(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처리기술(AMPS-P) 영역과 작업수행도(COPM-P) 영역 사이에서(rs=.901), 처리기술(AMPS-P) 영역과 작업수행만족도(COPM-S) 영역 사이에서(rs=.857) 통계학적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COPM과 AMPS 모두 작업수행능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평가도구이며, 둘째 클라이언트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작업치료사의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상호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셋째 두 평가도구 모두 우리나라 문화에서도 작업치료의 효과(occupational therapy outcome)를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4,200원
        74.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ed in knee valgus kinematics in college students when performing a vertical drop land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females would demonstrate greater knee valgus motion. These differences in knee valgus motion may be indicative of decreased dynamic knee joint control in females. This study compared the initial knee valgus angle and maximum knee valgus angle at the instant of impact on vertical drop landings between healthy men and women. In this study, 60 participants (30 males, 30 females) dropped from a height of 43 cm. A digital camera and two-dimensional video motion analysis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the kinematic dat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knee valgus angle at initial contact l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The range of knee valgus angle on landing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was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maximal angle of knee valgus on landing (Mean=, SD= in males, Mean=, SD= in females) was also differed significantly (p<.05). The females landed with a larger range of knee valgus motion than the males and this might hav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a knee injury. The absence of dynamic knee joint stability may be responsible for increased rates of knee injury in females. No method for accurate and practical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thletes at increased risk of ACL injury is currently available to target those individuals that would benefit from neuromuscular training before sports participation.
        4,000원
        75.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재 제기되고 있는 작업치료사 인력의 과잉공급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고 향후 발전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 작업치료 교육기관과 임상현장에서의 문제점은 작업치료사 인력의 과잉공급과 작업치료 전공 교수요원의 부족, 작업치료의 의료보험수가 청구의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작업치료(학)과의 신설 및 증원에 있어 설치 기준안에 의한 승인, 작업치료실 개설 및 작업치료사의 고용 의무화, 작업치료사의 다양한 활로 개척, 작업치료 전공 교수의 체계적인 육성, 작업치료 의료수가 처방 권한의 확대와 다양한 치료수가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앞에서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임상의 작업치료사와 학생, 교수 모두가 노력해야 하며 작업치료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작업치료에 대한 만족도, 기여도, 요구도 등의 기초 자료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통계적인 자료를 제시하여야 한다.
        4,500원
        76.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작업치료 임상 실습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임상 실습의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는 2004년 졸업예정자가 있는 11개의 대학(교) 중 2학기에 임상 실습을 실시하는 2개 대학(교)을 제외한 9개의 대학(교)(4년제 2개 학교, 3년제 7개 학교)의 작업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50부 발송하여 213부 회수되었다. 조사기간은 2003년 10월 5일부터 11월 31까지였다. 분석은 회수된 설문 213부 중 202부를 가지고 카이제곱검정을 사용하였다.결과 : 실습기관의 적합성을 포함한 실습환경에 관한 내용에서 응답자의 89.6%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정비와 지도 체계, 실습생 이용 시설과 설비에 대해 응답자의 20 ∼30% 정도가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항목에서 80.3%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85%가 임상 실습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을 획득하였으나 51%는 임상 실습 중에 갈등을 느낀 적이 있다고 하였다.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작업 치료학생들의 임상 실습이 좀더 체계화된 구조로 이루어져야 야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작업 치료는 임상학문이므로 임상 실습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향후 임상 실습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600원
        77.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were two main purposes of this study. The first was to research the relevance betwee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 (GMFM) and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econd was to research the relevance between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GMPM) and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Twelve children ( years)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GMFM and GMPM were performed and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gait were measured by using WalkWay MG-1000.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MFM score and the stride length, step length, step width, cadence, and velocity (p>.05). The GMPM score also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 (p>.05).
        4,000원
        78.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using Rasch analysis.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assessments of 59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Korea and were applied to Rasch's rating scale model to estimate the difficulty and goodness-of-fit of each item. Rasch modeling helped us to identify 76 items from the original 88-item GMFM that form an unidimensional hierarchical scale to rearrange 76 items in order of difficulty.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88-item and 76-item GMFM were .99 and .99, respectively. In this preliminary report, the Korean version of GMFM seems to have significan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se results may be useful in assessment of gross motor function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4,000원
        79.
        200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아동에게 앉은 자세에서 현수를 이용하여 체중지지를 해주었을 때 상지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뇌성마비 아동 5명과 뇌종양 아동 1명이었다. 연구대상자에게 harness를 착용하여 부분적 체중지지를 하기 전과 착용한 상태에서 손 뻗기 동작을 3차원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어깨관절과 손뻗기 동작에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고, Box and Block 검사를 실시하여 체중지지 전과 착용 시 상지 기능을
        4,000원
        80.
        200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GMPM)는 뇌성마비 아동의 움직임을 질적인 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뇌성마비 아동 10명(평균 5.6세, 범위 4~8세)에게 GMPM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각 속성 항목별로 3명의 평가자간의 급간내 상관계수로 일치도를 보았다. 전반적으로 측정자간 신뢰도는 '불량~보통'범주에 속했다. 이 연구의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