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6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사도를 달리한 혼파초지에서 우분액비의 시용이 초지의 생산성 및 유거수 중의 N과 P의 유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초지 및 사료작물 시험포 내 설치된 Erosion apparatuse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시험구의 경사도는 0%, 8.75%, 17.50%로 하였으며, 초지조성은 Orchard-grass 17 kg, Tallfescue 13 kg, Kentucky bluegrass 5 kg의 비율로 ha 당
        4,000원
        6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를 통하여 서대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목록과 유용성을 밝히고, 귀화식물의 분포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대산지 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2001년 8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94과 287속 402종 29변종 3품종 1잡종 등 총 46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071분류군의 11.4%에 해당된다. 유용식물자원은 총 388종류의 자원식물이 분류되었으며, 소산식물의 83.4%에 해당된다. 식용자원은 199
        4,800원
        6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돈분액비로 답리작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수확한 다음 돈분액비 시용이 후작물인 벼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999년 11월부터 2002년 11월 사이에 수행되었다. 돈분액비와 화학비료는 답리작물인 호밀 파종전과 봄 생육재생기 이전에 시용하였는데, 화학비료 대비 돈분액비의 수준은 N를 기준으로 하였다. 처리는 화학비료 시용구, 돈분액비 시용구, 돈분액비 시용구, 화학비료 +돈분액비 시용구로 4처리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호
        4,000원
        6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답리작 사료작물인 호밀에 대한 돈분액비 시용시 돈분액비에 의한 화학비료 대치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돈분액비의 시용수준별 호밀의 생산성 및 지력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설계는 화학비료 3 요소구(200-150-150), 화학비료 대비 돈분액비 N, 돈분액비 N 및 돈분액비 N+1/2 화학비료로 하여 3년 동안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에 따른 호밀의 건물수량은 돈분액비 +1/2 화학비료구, 액비 구 및
        4,000원
        70.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진강 중류의 전남 곡성군 수계의 담수어류상과 서식현황을 2001년 3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총 5과 22속 30종 1,786개체가 채집되었다. 출현한 어류는 26종이 잉어과 어류에 해당되었고, Rhinogobius brunneus의 1종만이 이차담수어에 해당되었다. 하천 전체에서 Zacco platypus (우점도 24.2%)가 우점종으로 확인되었고, 아우점종은 Pungtungia herzi (10.7%)로 나타났다. 한국 고유종은 Rhode
        4,000원
        72.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거제도 남동 해안지역의 한려해상국립공원 보호구역에서 해상자원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거제도 일운면 예구리, 남부면 다대리 및 남부면 저구리 해얀지역에서 1999년 6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어류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어류는 총 16목 47목 69속 85 종 2, 78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45종이 출현한 농어목(Perciformes), 10종씩 출현한 가자미목 (Pleuronectiformes) 및 횟대목(Scorpaseniformes)의대부분 저서생활을 하는 어류가 주로 채집되었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 가장 만하은 개체가수가 채집된 어류를 줄비늘치(Coelorhyncus multispinulosus) 458개체(16.4%)로 확인되었고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384개채(13.8%), 노랑촉수(Upeneus bensasi) 285개체(10.2%) 등의 순 이었다. 조사시간 6월에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어류가 채집되었다.
        4,000원
        77.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질소다비에 의한 수단그라스계 교잡종중 Xtragraze II 품종과 비출수 품종인 Civa 1990 품종의 수량 및 질산염 함량을 조사하여 반추가축의 질산염중독 발생 가능성과 적정 질소시비수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단그라스계 교잡종 1번초를 공시하여 1995년 6월부터 9월까지 익산대학 동물사육장 시험포에서 실시하였다. 질소시비수준은 ha당 200kg-N, 400kg-N 및 600kg-N으로 하고, 인산과 칼리비료는 200kg씩 시용하였다. Xtragraze II 품종의 질산태질소 함량은 생육시기의 진전에 따라 감소한 반면에 Civa 1990은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두 품종 모두 200kg-N 수준에서는 전생육기 동안 안전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400kg-N 이상에서는 중독 위험수준을 상회하고 있었으나 Xtragraze II는 출수 후 안전수준까지 감소한 반면, Civa 1990은 거의 일정한 수준으로 중독 위험수준을 상회하여 Xtragraze II 품종에 비해 Civa 1990 품종이 질산염 축적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산염 중독으로 부터 비교적 안전한 질소시비수준은 두 품종 모두 200kg-N 이하로 나타났다. 년간 질소 400kg 이상을 시용할 경우는 질산염이 중독 위험수준이상으로 축적될 수 있으므로 급여시에는 주의를 요한다.
        4,000원
        79.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질소비료의 다용(多用)이 사초내의 질산염 함량, 강우에 의한 사초내의 질산염 함량, 그리고 하루 중 사초내의 질산염 함량의 차이를 조사하여 반추가축의 질산염 중독 발생 예방과 적정 질소시비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단그라스계 교잡종 중 Xtragraze II 1번초를 공시하여 1995년 6월부터 9월까지 익산대학 동물사육장 시험포에서 실시하였다. 시비수준은 ha당 연간 질소 200kg, 400kg 및 600kg으로 하고, 인산과 칼리비료는 200kg씩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산태질소 함량은 생육시기의 진전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200kg구에서는 신장기초까지, 그리고 400kg 이상에서는 전생육기간 동안 중독위험수준을 초과하였다. 강우 후 사초의 질산태질소 함량은 성장기에는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생육말기나 출수기 이후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사초의 하루 중 질산태질소 함량은 오전이 오후보다 비교적 더 높은 경향이었다. 질산염중독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질소시비수준은 200 k g ⋅ N / h a / y e a r 이하로 나타났다.
        4,000원
        80.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병원성 사상균에 길항작용이 있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세균을 이용하여 연작 및 비연 작토양에 있어서 옥수수(Zea may L.)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옥수수는 전남대학교 농과대학 부속동물사육장내 vinyl house에서 자연광 상태에서 p o t ( 30 × 50 c m ) 로 재배한 다음 파종 후 50일 및 90일에 수확하여 건물중을 조사하였으며, 시험토양은 연작 및 비연작지의 양토와 버미큘라이트를 1:1 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험에 이용된 세균은 목초근권에서 직접 분리한 Bacillus subtilis 였다. 연작 및 비연작 토양 모두 B. subtilis 처리구에서 옥수수의 건물중이 B. subtilis 무처리구보다 그리고 병원성 사상균 처리구보다 증가되었다. 그리고 비연작 토양에서 생장한 옥수수의 건물중은 연작토양에서 보다 증가하였다. 옥수수의 생장에 있어서 B. subtilis 접종효과는 연작토양보다 비연작토양에서 좋게 나타났다. 그러나 연작 및 비연작토양 모두 병원성사상균을 접종함으로써 옥수수의 건물중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