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4

        6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섬유 기술의 발전으로 박리에 의한 복합체 파괴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복합체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있는 3차원 직물섬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D 직물섬유의 시멘트 기반 복합체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3D 직물섬유의 종류, 매트릭스의 종류, 보 부재 높이를 변수로 한 3D 직물섬유 보강 모르타르 보 시험체를 제작하고 휨실험을 수행하였다. 휨실험 결과, 3D 직물섬유 보강 모르타르 부재는 전형적인 직물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거동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3D 직물섬유 보강을 통해 보 부재의 휨강성 및 휨인성이 향상되었고, 6mm 스페이서를 가진 직물섬유 보강 시험체가 4mm 스페이서를 가진 직물섬유 보강 시험체 보다 더 높은 휨강도 및 휨인성을 보였다. 3D 직물섬유 보강 모르타르의 휨강도 및 휨인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인장강도와 탄성계수를 가지는 섬유의 적용, 섬유량의 증가, 인장단에 가까운 섬유의 배치가 필요하다.
        4,000원
        6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평균 수명 연장으로 고령화에 따른 노인층 증가에 따라 노인 의료건수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노인층 MRCP 검사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며, 호흡이 중요한 MRCP 검사 시 노인 환자들의 호흡은 의학적 정보 를 얻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보통 MRCP 검사 시 일반 환자들에서는 호기(expiration) 후 호흡 정지 영상을 얻어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호흡이 불안정한 노인 환자들 중 호기와 흡기(inhalation) 후 호흡 정지 검사 시 영상의 진단적 가치의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2017년 10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MRCP 검사 시 호흡이 불안정한 환자를 선별해 환자(남성 11명 평균연령-68.4세, 여성 7명 평균연령-68.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장비는 Siemence verio 3.0T 와 6 channel 복부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 전 환자들에게 호흡에 대한 충분한 설명 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sequence는 T2 Haste axial, coronal를 시행하였고, 각 시퀀스 검사 시 매개변수는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A(호기,expiration후)와 실 험B(흡기,inhalation후) 호흡 정지 영상을 얻은 후 복부 임사 판독의 2명, 방사선사 3명이 정성적 평가를 하였다. 그리고 실험A로 호흡 정지검사가 힘든 환자는 실험B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정성적 평가로 영상 의 선예도, 연속성, 전체 영상의 질에 대하여 각 5단계(1=매우 나쁨,2=나쁨,3=보통,4=좋음,5=매우 좋 음)로 평가하였다. 결 과:영상의 선예도, 연속성, 영상의 질에 대한 평가자 5명의 정성적 평가는 실험A에서 T2 axial에서는 각각 평균 3.8, 4.12, 3.96 ,4.14 ,4. T2 coronal에서는 각각 평균 3.84, 3.96, 4.12, 4.16, 4.12였고, 실험 B에서 T2 axial에서는 각각 평균 4.22, 4.24, 4.2, 4.26, 4.4 T2 coronal에서는 각각 평균 4.26, 4.22, 4.24, 4.28, 4.36의 결과를 보였다. 대상자 18명중 8명은 호기 후 호흡 정지가 어려워 검사가 안됐으며, 그 중 4명은 흡기 후 검사에서는 호흡 정지가 가능해 검사를 마칠 수 있었다. 결 론:MRCP 복부 검사 시 호기 후 보다 흡기 후 검사에서 영상의 질의 평가에서 더 우수하게 나타났고, 호기 후 호흡 정지가 안 되는 환자는 흡기 후 호흡 정지가 좀 더 수월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MRCP 검사는 호기 후 검사의 완성도가 높으나 호기 후 14-15초의 호흡 정지가 어려운 노인 환자들에 대해서는 흡기 후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도 영상의 진단적 가치가 있어 호기 후 호흡 불안정에 따른 영상의 불완성도 또는 검사의 실패를 대처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6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shear behavior of RC beams retrofitted with Uni-Directional Narrow Fabric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Experimental parameters include the type of fiber, spacing of the fiber, and the ratio of transverse reinforcement. Also, Static loading test was performed on twelve shear-critical specimens. An experimental result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shear strength and failure modes of the specimens retrofitted or strengthened with Uni-Directional Narrow Fabric compared to the non-retrofitted the specimen. In order to derive the shear strength model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fiber,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hear strength model of RC elements retrofitted with FRP.
        71.
        2017.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극 구성에 따른 고효율 전해정련공정의 일반적인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상미분방정식 인터페이스를 갖는 COMSOL Multiphysics V5.3 전착 모듈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구축된 모델은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제작한 실험실 규 모 (1kg 우라늄/day 규모) 다중배열전극 전해정련장치를 사용해 전극 간 거리, 전극 배열을 변수로 하여 실시한 실험의 전 류밀도-전위 곡선과 비교하였다. 공정온도는 500℃이다. 용융염은 3wt% UCl3가 포함된 LiCl-KCl 공융염을 사용하였다. 검 증된 모델을 이용하여 전류밀도-셀전위 곡선을 계산한 결과 전극 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극 배열은 양극/음극 면적비가 증 가할수록 셀 전위가 낮아져 전해정련장치의 우라늄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고출력 사용후핵연료 전해정련기의 안전설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유용할 것이다.
        4,300원
        72.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열팽창 계수의 방향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 온도와 실제 사용온도 사이의 차이 때문에 필연적으로 열응력 효과를 받게 된다. 이러한 열응력에 의한 파손현상은 실제 항공우주산업에서의 응용이 증대되고 있는 두 꺼운 복합 적층판의 경우에 더욱 현저한 현상으로 적층판의 역학적 기능 및 파단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는 복잡한 재질로 구성되고 높은 세장비를 가진 블레이드 날개 구조의 차원축소 및 열 응력 복원 이론을 소개하고 3차원 유 한요소모델과 비교결과를 통해 효율성과 정확성을 입증한다. 또한 차원을 축소한 모델링을 구성하고 복원이론를 이용하여 열적 환경에 적용된 복합재 보 단면의 열응력을 차원 복원하고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효율적인 복원해석 과정을 소개하고 자 한다.
        4,000원
        7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Fe-Cu-C alloy is sintered by spark plasma sintering (SPS). The sintering conditions are 60 MPa pressure with heating rates of 30, 60 and 9oC/min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heating rate on the mechanical and microstructure properties of the sintered alloys.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intered Fe-Cu-C alloy is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XRD) and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he temperature of shrinkage displacement is changed at 450oC with heating rates 30, 60, and 90oC/min. The temperature of the shrinkage displacement is finished at 650oC when heating rate 30oC/min, at 700oC when heating rate 60oC/min and at 800oC when heating rate 90oC/min. For the sintered alloy at heating rates of 30, 60, and 90oC/min, the apparent porosity is calculated to be 3.7%, 5.2%, and 7.7%, respectively. The hardness of the sintered alloys is investigated using Rockwell hardness measurem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nsification behavior, poros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intered Fe-Cu-C alloys depending on the heating rate.
        4,000원
        74.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RC columns retrofitted by TRC(Textile fabric Reinforced Concrete). TRC were made using textile fabric fiber and self leveling mortar. A total of three specimens was constructed and was performed cyclic loading test. One specimen was a non-retrofitted column, while others were retrofitted with textile fabric and sheet type fiber. By comparing with non-retrofitted specimen, the maximum strength and ductility of retrofitted RC column was improved compared to non-retrofitted RC column.
        75.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이종재질로 구성된 세장비가 큰 보의 차원축소와 복원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VABS와 3차원 유한요소해석 모델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3차원 유한요소모델과 차원축소 모델을 가상균열닫힘법을 이용하여 에너지 해방률을 계산하였다. 원형과 사각형의 단면에 초기 크랙을 가진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보의 차원축소와 복원기법 및 가상균 열닫힘법을 이용하여 복원해석 결과 및 에너지 해방률을 비교하여 효율성과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특히 제시된 에너지 해방률 계산 기법은 고고도 무인기의 날개,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풍력 블레이드, 틸트로터 등의 정적, 동적 모델링 및 수명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7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known that air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and exhaust gas from vehicles are harmful to human health. In particular, the black carbon emitted by vehicles is known to cause a large number of premature death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 noise barrier on the inflow amount of black carbon from a nearby high traffic road to a school area, using numerical analysis performed at two elementary schools.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ise barrier’s shape, height and the inflow amount of black carbon was assess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noise barrier, the lower the inflow amount of black carbon observed at the school A. However, the inflow amount of black carbon at school B was not greatly influenced by the height of the noise barrier. The inflow amount of black carbon at the schools could be changed not only by the height of the noise barrier, but also by the shape, height and position of the noise barrier and the school building.
        4,000원
        7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뇌경색 질환은 기온차가 급격한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데 경기북부 지역에 위치한 본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Brain MRI를 검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절기와 동절기를 비교하여 기온차에 따른 Brain Infarction 환자 분포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하절기(2012년~2014년 6월-8월)와 동절기(2012년~2014년 11월- 1월)에 본원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 중 MRI Brain acute stroke, MRI Brain diffusion, MRA Brain + diffusion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절기 1001명(남:574명,여:427명), 동절기 1141명(남:586명, 여:555명)을 대상으로 판독 결과가 infarction으로 나온 환자의 성별, 연령별로 분류 하였다. 결 과 : Infarction은 하절기 393명(남:249,여:144), 동절기 455명(남:259,여:196)으로 확인되었다. 하절기 393명 중 20대 4명 (남:3,여:1) 30대 3명(남:1,여:2), 40대 16명(남:10,여:6), 50대 74명(남:60,여:14), 60대 72명(남:55,여:17), 70대 123명(남:73,여:50), 80대 84명(남:37,여:47), 90대 16명(남:10,여:6), 100대 1명(여:1)이었고, 동절기 455명 중, 30대 3명(남:2,여:1), 40대 16명(남:12,여:4), 50대 60명(남:47,여:13), 60대 99명(남:65,여:34), 70대 162명(남:95,여:67) 80대 101명(남:35,여:66), 90대 14명(남3,여11)으로 확인되었다. 결 론 : 응급실에 내원한 Brain MRI 검사환자 중 하절기 보다는 동절기에 뇌경색 질환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연령대는 70대에서 뇌경색 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79.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처리용 분리막 여과 공정에서 막오염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난제이다. 막오염 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으로 막표면에 패턴을 도입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분리막의 패턴은, 막표면에서의 유체 흐름에 변화를 일으켜 오염물이 쌓이지 않게 하거나 쌓인 오염물이 일부 떨어져 나가는 효과를 주는 것 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처리용 패턴 분리막을 제조하고, 패턴의 막오염 방지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CFD 기법을 이용하여 유 체 흐름을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구형의 모델 입자로 막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크기의 모델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오염물의 크기에 따른 패턴의 막오염 방지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