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61.
        201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온건조한 늦가을에 제조되는 한국식전통장류와는 달리 우즈베키스탄에서 한식장류는 보통 건조하고 높은 기온의 여름에 제조된다. 우즈베키스탄 시중 고려인에 의해 만들어진 된장 9종을 수집하여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protease활성, amylase활성, 아미노태 질소 함량, 환원당 함량 및 일반세균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 세균 수는 7.24~8.79 Log CFU/g 범위의 값을 타나 내었다. Protease활성의 경우 3.98.28~832.57 unit/g 범위로 다양한 값을 나타내었고, CON에 비해 우즈베키스탄 시판 장류가 높은 protease활성을 나타내었다. Amylase 활성은 C(10.82 unit/g)를 제외한 나머지 장류가 CON에 비해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UK-SP I(47.98 unit/g) 장류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 protease의 활성이 높았던 시료 B(832.57 unit/g), D(807.81 unit/g), H(630.67 unit/g) 에서는 아미노태 질소 함량 또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0.95~3.43%/g 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D와 E가 3.39%/g 와 3.43%/g의 함량을 보여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우즈베키스탄 장류는 저온저습의 늦은 가을에 제조되는 한국의 장과 매우 다른 환경인 고온저습에서 자연발효로 제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한국식 장과 매우 유사한 품질특성을 가졌다. 한국에서 유래되어 고려인에 의해 계승되고 있는 장류의 미생물학적 관점 및 식문화적인 관점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되겠다.
        62.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ranscription factor, early growth response protein 1 (EGR1), act as immediate early response genes to control various cellular and reproductive events. Egr1-deficient female mice show infertility by anovulation resulting from luteinizing hormone-β (LH-β) subunit deficiency. While ovulation,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normally occur in Egr1-deficient mice treated with a superovulation regime to rescue LH deficiency, embryo implantation was completely failed. The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uterine tissues were observed by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during the peri-implantation period in Egr1-deficient mice. To examine alterations in cellular organelles, the uterine horns were fixed with 2.5% glutaraldehyde and postfixed with 1% osmium tetroxide in PBS. After dehydration and infiltration, the samples were embedded in Epon 812. Semi-thin sections 0.5 μm thick were cut with an ultramicrotome and stained with toluidine blue for light microscopy. Thin sections were cut with a diamond knife of the ultramicrotome and placed on copper grids. The sections were double stained and examined under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height of luminal epithelial cells was decreased and the polarity was poorly differentiated in the Egr1-deficient comparing to the wild mice. The abundant mucinous materials were observed in the surface of luminal epithelial cells of the Egr1-deficient. It was confirmed the microarray and real time qPCR data. The luminal epithelial cells of wild mice had many dense lipophilic granules and healthy mitochondria, but not in the Egr1-deficient. It may related to production and secretion of steroid hormones and prostaglandins in the luminal epithelial cells for successful implant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Egr1 is a critical transcription factor to fine-tune subcellular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changes for the receptive phase of peri-implantation period of uterine tissue in mice.
        64.
        2014.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 재래식 간장에 표고버섯 및 천마를 첨가하여 일정기간 숙성시킨 후 분리하여 이화학적 성질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Cl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간장에 비해 전체적으로 염도가 낮았다. pH의 변화는 숙성이 될 수록 감소 하였으며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 또한 대조구에 비해 실험군이 높은 값을 보였는데 표고버섯이나 천마로부터 유래된 당의 영향으로 인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Protease 활성은 실험구가 6~8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고 항산화 활성에서는 천마간장이 총 폴레페놀 함량 90.23 mg/m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404.44 mg/mL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전자공여능 측정에서 버섯 간장이 72.71%를 나타냈다.
        65.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국장 제조 시 사용되는 균주인 Bacillus sp. HJ18-3과 B. subtilis KACC 15935균주를 청국장 제조 시 starter로 접종하여 발효시켜 품질특성과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을 측정하였다. a-amylase와 cellulase활성은 control과 B. subtilis HJ18-3 균주를 접종한 청국장이 B. subtilis KACC 15935 균주를 접종한 청국장보다 각각 2.56, 2.59배 그리고 1.13, 1.23배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protease활성은 B. subtilis KACC 15935과B. subtilis HJ18-3의 활성이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Control, B. subtilis KACC 15935, B. subtilis HJ18-3의 함량이 각각 88.20±13.86, 129.62±1.15, 118.40±48.65 mg%로 나타났으며 이는 protease 효소활성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control, KACC 15935, HJ18-3의 함량이 각각 1.95±0.72, 2.62±1.17, 2.59±0.76%로 전반적으로 control에 비해 처리구가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호기적 총균수와 미비한 차이로 B. subtilis HJ18-3의 균수가 적은 경향을 나타낸 것은B. cereus와Candida albicans에 대해 항균력이 우수하다고 보고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control과B. subtilis KACC15935, B. subtilis HJ18-3의 isoflavone 비배당체 형태인 daidzein과 genistein, glycitein을 합한 함량은 각각 158.20±6.55, 131.60±4.00, 200.79±7.54 ug/g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raw soybean의 aglycone함량이 3.96 ug/g인 것에 비하여 39∼50배 전 환율을 보인다. 또한 β-glucosidase활성 이 있는 B. subtilis HJ18-3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이 control과 Kacc15935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보다 1.27, 1.53배 더 높은 aglycone 전 환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메밀 속성 장으로부터 분리된B. subtilis HJ18-3 균주는 amylase, protease, cellulase와 같은 세포의 효소분비능이 우수하며, 아미노태질소와 환원당 함량이 높고,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함유한 균주로 확인되었으며, 앞으로도 우리나라 전통 청국장의 세계화를 위해 유용 starter로 찾는 노력이 더 필요할 것이다.
        66.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ouhan’ (Hordeum vulgare L.), a new whole crop barley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the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2. ‘Youhan’ has the growth habit of III, light green and middle size leaf, hooded and lax-type spikes. The cultivar showed 107 cm of culm length, 641 spikes per m2. Heading date of ‘Youhan’ was May 1, one day later than that of check cultivar ‘Yuyeon’ in upland, and 2 days earlier than that of check in paddy field. Maturing time was similar to check cultivar ‘Yuyeon’ as June 4 in upland and May 31 in paddy field. ‘Youhan’ also showed better winter hardiness, the resistance to lodging and disease than those of check cultivar. The average forage dry matter yield in the regional yield trial was about 12.6 and 12.0 ton ha-1 in upland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which were 6%, 5%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It also showed 7.3% of crude protein, 26.8% of ADF(Acid Detergent Fiber), 47.8% of NDF(Neutral Detergent Fiber), and 67.7% of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er grade of silage quality for whole crop barley. Fall sowing cropping of ‘Youhan’ is recommended only in areas where average daily minimum mean temperatures in January are higher than -8°C, and it should not be cultivated in mountain areas of Korea.
        68.
        2011.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particular, maternal prostacyclin (PGI2) is critical for embryo implantation and the action of PGI2 is not mediated via its G protein-coupled membrane receptor, IP, but its nuclear recept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δ (PPARδ).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PGI2 enhances blastocyst development and/or hatching rate in vitro, and subsequently implantation and live birth rates in mice. However, the mechanism by which PGI2 improves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in vitro remains unclear. Using molecular, pharmacologic and genetic approaches, we show that PGI2-induced PPARδ activation accelerates blastocyst hatching in mice. mRNAs for PPARδ, RXRs (heterodimeric partners of PPARδ) and PGI2 synthase are temporally induced after zygotic gene activation and their expression reaches maximum levels at the blastocyst stage, suggesting that functional complex of PPARδ can be formed in the blastocyst. Carbaprostacyclin (cPGI, a stable analogue of PGI2) and GW501516 (a PPARδ selective agonist) significantly accelerated blastocyst hatching but did not increase total cell number of cultured blastocysts. Whereas U51605 (a PGIS inhibitor) interfered with blastocyst hatching, GW501516 restored U51605-induced retarded hatching. In contrast to improvement of blastocyst hatching by PPARδ agonists, PPAR antagonists significantly inhibited blastocyst hatching. Furthermore, deletion of PPARδ at early stages of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caused delay of blastocyst hatching, but did not impair blastocyst development. Taken together, PGI2-induced PPARδ activation accelerates blastocyst hatching in mice.
        7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의 질소시비량 및 수확시기에 변화에 따른 도정특성 및 쌀 품질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일품벼와 추청벼를 시험품종으로 질소시비량과 수확시기를 다르게 하여서 시험하였다. 질소시비량은 무처리를 대조구로 하여 5 kg, 9 kg, 13 kg, 17 kg, 21 kg/10a의 5수준으로 하였고 질소시비방법은 기비-분얼비-수비를 5:2:3으로 분시하였으며, 인산과 칼리의 시비량 및 시비방법은 표준재배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수확시기는 출수 후40일, 50일, 60일, 70일, 80일로 하였다. 두 품종 모두 질소시비량과 수확시기가 달라짐에 따라 도정률에 큰 변화가 없었다. 그렇지만 질소시비량은 정현비율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현백비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품종간에는 추청벼가 일품벼보다 평균적으로 모든 시비 수준에서 높은 도정률을 나타내었다. 질소시비량과 완전미율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품종간에는 13 kg/10a 이하의 시비수준에서는 추청벼가 일품벼보다 높은 완전미율을 나타내었지만 그보다 높은 수준에서는 일품벼가 추청벼보다 약간 높았다. 두 품종 모두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분상질미와 싸라기 발생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질소시비량과 수확시기에 따른 쌀의 단백질함량 변화는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단백질함량 또한 증가하였으나 수확시기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7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indica rice cultivar, Milyang23 is a semidwarf plant type with long and slender grains, whereas a temperate japonica rice cultivar, Stejaree45 is a japonica cultivar with short and bold grains. Genetic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number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 chromosome location, gene action, and effects of QTLS controlling grain length, width, thickness, and shape. The grain traits averages in the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were near the mid-parent value, but the standard deviations in the RILs were more than those of the parents. A linkage map based on 138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from 12 linkage groups was constructed using the 143 RILs as the base population. The map, spanning 1208 cM of the rice genome with an average interval length of 12.9 cM, was used for QTL analysis. A total of 13 QTLS for grain quality traits were identified. The phenotypic variation accounted for by each QTL ranged from 4.2% to 10.4%, with an average of 6.7%. Among the 13 QTLS, only one QTL accounted for more than 10%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tion. Each of the traits studied was governed by one or two major QTLs that accounted for the large proportion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tion. Several minor QTLS explain a small proportion of the total phenotypic varianc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