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0

        81.
        201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solated and analysed its fermentation ability in triticale powder at different moisture levels. Furthermor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fermented silage extract against cattle pathogens was also studied. The isolated strains were P. pentosaceus (TC48) and L. brevis (TC50) that confirmed based on biochemical and 16srRNA sequences methods. Extract from LAB fermented silage showe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inhibition zone diameters: 18~24.2 mm) against E. coli P. aeruoginosa, S. aureus and E. Fecalis than the non-inoculated silage extract. TC48 and TC52 strains exhibited high tolerance to artificial gastric, duodenal and intestinal fluids. In summary, lactic acid bacteria mediated fermentation of triticale silage extract showed great antibacterial activity with significant probiotic characteristics might be an effective and safe way to provide new strategies for reducing the incidence of pathogenic bacteria associated diseases in animals.
        82.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강원지역에 발생하는 돌발해충은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꽃매미 등이 있다. 이러한 돌발해충의 월동은 동계최저기온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꽃매미는 2012년부터 갈색날개매미충은 2016년부터 월동난괴 를 채집하여 동계최저기온에 따른 부화율을 측정하여, 동계최저기온과 돌발해충의 부화율 관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계최저기온이 –11℃이하인 날이 35일 이상 지속된 2012년과 2017년 겨울은 꽃매미의 부화율이 9.2%, 7.2%로 낮게 나타난 반면, -11℃이하인 날이 16일로 비교적 낮은 경과일수를 보인 2013년 겨울에는 75.5%의 부화율을 보였다. 갈색날개매미충 역시 –11℃이하인 날이 35일 이상이었던 2017년 겨울에 43.1%의 낮은 부화율을 보였지만 20일로 적은 경과일수를 보인 2016년 겨울에는 89.4%로 약 2배정도 높은 부화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일정수준 이상 동계최저기온을 경과한 돌발해충의 월동난은 성공적인 월동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8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다양한 유기재배 작물의 뿌리를 가해하는 굼벵이류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나, 굼벵이류는 토양 내 발생하는 특징으로 인해 발생시기 및 그 종류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해충이다. 피해를 끼치는 굼벵이의 발생을 파악하기 위해 고구마 유기재배지에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굼벵이의 성충의 종류 및 발생 동향을 조사하였다. 조사지는 무안 유기재배농가와 국립농업과학원 완주군 포장에서 이루어졌다. 3종의 풍뎅이 페로몬 루어를 유인제로 사용하였으 며 6월 초부터 8월 말까지 조사지에 트랩을 설치하여 포획된 풍뎅이를 수집하여 동정을 하였다. 유기재배포장에서 포획된 종은 큰검정풍뎅이, 콩풍뎅이, 청동풍뎅이, 녹색콩풍뎅이, 별줄풍뎅이 등의 풍뎅이와 흰점박이꽃무지 등이 주로 채집되었다. 유기재배 고구마포장에서 풍뎅이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 최대로 발생한 시기는 7월초였다.
        8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의 조사지역인 갑천은 충청남도 금산군·논산시와 대전광역시를 북류하고 금강으로 흘러드는 도심하천이다. 광대한 갈대 군락과 초원, 버드나무 등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며 크고 작은 자연 소택지, 늪, 웅덩이 등의 형태로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도시생태계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갑천 일대의 육상곤충류를 대상으로 4월 11~13일, 6월 11~12일, 8월 20~22일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직접찾기와 쓸어잡기로, 총 9개 지점으로 나누어 군집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공단구역인 Site3의 다양성지수가 0.16으로 매우 낮았으며 도심구역인 Site4와 Site7이 각각 다양성지수 2.92와 2.41로 타구역에 비해 낮았다. 반면 산림구역인 Site1, Site8 그리고 Site9는 모두 다양성지수가 3이상으로 높은 편에 속했다.
        8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ke aggregates and carbon artifacts were produc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of coke and pitch during the kneading process. In addition, the kneading ratio of the coke and binder pitch for the coke aggregates was controlled to identify the formation of voids and pores during carbonization at 900°C. Experiments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revealed that carbon yields were improved over the theoretical yield calculated by the weight loss of the coke and binder pitch; the improvement was due to the binding interactions between the coke particles and binder pitch by the kneading process. The true, apparent, and bulk densities fluctuated according to the kneading ratio. This study confirmed that an excessive or insufficient kneading ratio decreases the density with degradation of the packing characteristics. The porosity analysis indicated that formation of voids and pores by the binder pitch increased the porosity after carbonization. Imag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neading ratio affected the formation of the coke domains and the voids and pores, which revealed the relations among the carbon yields, density, and porosity.
        4,000원
        92.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w longevity is important for efficient and profitable pig farming.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social genetic effect (SGE) of pigs on stress-tolerance and behavior. The present study aimed to estimate genetic correlations among average daily gain (ADG), stayability (STAY), and number of piglets born alive at the first parity (NBA1) in Korean Yorkshire pigs, using the SGE model. The phenotypic records of ADG and reproductive traits of 33,120 and 11,654 pigs, respectively, were evaluated. The direct effect on ADG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genetic relationship with STAY, whereas the social effect on ADG had a neutral genetic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genetic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effects on ADG and NBA1 tended to be positive, unlike the direct effects. The genetic correlation of the total effect on ADG with that of STAY was negative but non-significant, owing to the social effec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otal genetic effect on growth in the SGE model might reduce the negative effect on sow longevity owing to the growth potential of pigs. We recommend including social effects as selection criteria in breeding programs to obtain satisfactory genetic changes in both growth and longevity.
        93.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ryopreservation of boar semen is continually researched in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genetic resource banking in breed conservation. For evaluating the boar semen quality, sperm motility (MOT) is an important parameter because the movement of spermatozoa indicates active metabolism, membrane integrity and fertilizing capacity. Recently, polymorphisms reported to b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perm MO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NP in the coding region of ESR1 (g.672C>T inexon 1) as a positional controlling for motility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post-thawed boar semen. To results,The g.672C>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rozen semen motility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g.158 T>C SNP was high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T, VCL, VSL and VAP Also, the SNP was low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H.Therefore, we suggest that theSNP in the coding region of ESR1 (g.672C>T in exon 1) may be used as a molecular marker for Duroc boar Post-thawed semen quality.
        94.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strogen receptor 2 (ESR2) is involved in oestrogen-related apoptosis in cell cycle spermatogenesis but their effects have not yet confirmed in pig.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their association with semen motility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DNA samples from 126 Duroc pigs with records of sperm motility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Total motile spermatozoa (MOT), Curvilinear velocity(VCL), Straight-line velocity(VSL), the ratio between VSL and VCL(LIN), Amplitude of Lateral Head displacement(ALH)] were used in present study.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g.35547A>G) was associated with MOT, VCL, VAP and ALH in Duroc population (p < 0.05).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porcine ESR2 may be used as a molecular marker for Duroc boar semen quality, although its functional effect was not clear yet. These results will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s of the ESR2 in spermatogenesis within the reproductive tracts, and will shed light on ESR2 as a candidate gene in the selection of good sperm quality boars.
        9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연 10회 이상 발생하는 온실가루이는 토마토 재배 시 6월 하순 기온이 상승하면서부터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많은 농가에서 방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온실가루이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 최적교호살포 약제조합을 선발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작용기작에 따라 약제는 각각 신경전달기능을 억제하고, 키틴생합성을 저해하며, 지질생합성을 저해하는 작용기작을 가진 약제로 선정하였다. 각 처리구별로 약제 살포순서를 다르게 하여 교호살포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3회 약제처리 후 성충밀도가 처리전 밀도보다 유의한 차로 줄어들었다. 약충에 있어서는 약제처리전 모든 처리구에서 약충 발생이 낮아 정확한 밀도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웠지만 최종조사에서는 신경전달저해, 탈피저해, 지질생합성저해 약제 순으로 처리한 처리구의 밀도가 무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일정수준 억제되는것을 확인하였다
        9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onggeom-ji is designated wetland protected area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in 2011 because of it’s high biodiversity and historic value. It contains a reservoir, paddy and forest site which has diverse niches for insects. Three transect lines of 50m were designated. Data were collected in May, October, November in 2017 represented as seasons for spring, summer and autumn respectively. Quantitative methods were conducted along each transect line by sweeping and pitfall trap. Based on this study total of 1079 individuals of insect fauna were collected, representing 170 species in 60 families and 8 orders. The highest diversity, richness and evenness index were observed in the forest site in May(4.77, 8.6 and 0.91 respectively) and the highest dominance index was observed in the forest site in November(0.64). The highest similarity index was observed in the reservoir site in May and August(0.519).
        9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8년 강원도 춘천의 경우 동계최저기온(12월 상순~2월 중순)은 전년대비 약 0.2~9℃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돌발해충의 월동난 부화율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실제로 갈색날개매미충은 전년대비 약52%, 꽃매미는 약67% 부화율이 낮아졌다. 또한 최근 강원도에서 발생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미국선녀벌레는 5월 하순에 부화하여 7월 상순에 인삼포장에서 주당 최대 12마리(중산간지)의 약충발생밀도를 보였고, 약제방제가 이루어지지않은 아까시나무에서는 7월상순 가지당 312마리(산간지)의 최고발생밀도를 보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경우 복숭아과원에서의 발생은 많지 않았지만 과원주변 수목에서는 7월상순 가지당 최고 73마리(산간지)의 약충이 발생하였다. 꽃매미는 5월 하순 부화가 시작된 후 포도과원에서 주당 최고 12마리(산간지)의 약충이 발생하였지만 약제방제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밀도가 점차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고, 볼록총채벌레는 8월 상순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9월 상순 트랩당 4.8마리(평야지)의 발생밀도를 보였다.
        100.
        2018.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임계 시설은 정상 또는 사고상태에서 핵임계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계산된 임계도가 바이어스와 불확실도로 결정된 미임계상한치(USL)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증하는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핵임계안전성 검증 방법론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며, 방법론이 달라지면 USL도 달라지므로 가장 적절한 한가지의 방법론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핵임계안전성 검증 방법론이 기술된 두 개의 문서를 비교 분석하여 한 가지 방법론으로 정립하였고, SCALE6.1 코드를 이용한 용기 설계에서의 미임계상한치 결정에 적용하였다.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