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9

        161.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eat appli˗ cation on the immune activities of the human body. To exam, further˗ more, the immune effect from the healthy volunteer(male:15, female:15) by monitoring changes of immune substances such as various leukocytes[total white blood cell(WBC), eosinophil, neutrophil, basophil, monocyte, and lymphocyte], a comparative study with warm water immersion(40.8±0.3℃) and infrared(250W) was carried out. The plasma analysis showed that the count of white blood cell, eosinophil, and neutrophil were elevated in warm water immersion- or infrared˗ stimulated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owever, the count of basophil was decreased in both warm water immersion- and infrared-stimulated group than control group.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ermostimulation improved immune activity.
        4,000원
        16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나무이끼(Climacium japonicum) 배우체의 기내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몇 종류의 화학적 및 물리적 환경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초기 배양재료는 멸균한 배우체의 정단을 Knop 배지(1865)의 다량요소와 Nitsch와 Nitsch배지 (1956)의 미량요소를 첨가한 고체배 지에 배양하여 획득하였다. 배우체 생산을 위해 좋은 배양재료를 얻기 위하여 다져진 배우체 및 shoot의 정 단부와 기저부를 평가하였다. 배우체의 기내생산에 미 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배지 7종류, 총질소 4농도, sucrose 5농도, 광도와 온도 등의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Shoot의 정단부가 배우체 번식을 위해 사용한 3종류의 절편체들 중 가장 우수하였으며, Knop 배지(1865)의 다량요소와 Nitsch와 Nitsch배지 (1956)의 미량요소를 첨가한 배지가 다른 종류의 배지들에 비해 배우체의 증식에 효과적 이었다. Sucrose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배우체의 신장 및 증식에 좋은 영향을 미쳤으며, 질소의 결핍 및 과다는 배우체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광도의 강약에 따라 배수체의 수, 길이 및 생체중에 큰 변화를 보였으며, 배우체 생장을 위해 최적의 광도는 3000- 4000lx. 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고온 또는 저온 조 건은 배우체의 증식과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 의해 개발된 생산과정의 단순화, 대량화 및 영 양체의 고품질화는 효과적인 이끼의 기내배양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16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털깃털이끼(Hypnum plumaeforme Wilson) 의 조직배양시 무성아와 배우체 유기에 미치는 IAA와 kinetin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배양재 료는 멸균한 배우체의 정단을 Knop 배지(1865)의 다량 요소와 Nitsch와 Nitsch배지 (1956)의 미량요소를 첨 가한 고체배지에 배양하여 획득하였다. 배양 초기에는 배양한 배우체의 정단으로부터 원사체가 형성되었으며, 배양 4주에는 새로운 배우체로 전환되었다. 무균의 배 우체를 다져서 IAA와 kinetin을 각 0.01, 0.1, 1, 10μM의 농도로 단용첨가한 동일배지에 배양한 결과 배우체로부터 원사체 무성아는 물론 이차 원사체도 형 성되었다. 그러나 IAA와 kinetin의 농도에 따라 원사체 형성 및 눈 유기가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낮은 농도의 IAA와 kinetin을 첨가하는 경우 무성아 형성 과 눈의 유기가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kinetin 0.01μM을 첨가한 배지에서 눈과 원사체 형성율이 가장 높았다. 배우체의 형성을 위하여kinetin 0.01μM을 첨 가한 배지에서 형성된 모든 배양재료를 다시 IAA와 kinetin이 0.01, 0.1, 1, 10μM씩 단용첨가된 배지에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한 후 이차 원사체로부터 원 사체와 캘러스가 형성되는 과정을 거쳐, 마침내 배우체가 유기되었다. IAA는 배우체 유기와 생장을 조절하였고, kinetin은 무성아 형성과 배우체 유기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 조직배양시 첨가한 생장조절물질은 털 깃털이끼의 발달과정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66.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riodontal ligament (PDL) tissue is a connective tissue that is interposed between the roots of the teeth and the inner wall of the alveolar bone socket. PDL is always exposed to physiologic mechanical force such as masticatory force and PDL cells play important roles during orthodontic tooth movement by synthesizing and secreting different mediators involved in bone remodeling.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was recently shown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control of bone for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applied cyclic tensile stress of 20% elongation to cultured human PDL cells and assessed its impact after six days upon components of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RTPCR analysis showed that Wnt1a, Wnt3a, Wnt10b and the Wnt receptor LRP5 were down-regulated, whereas the Wnt inhibitor DKK1 was up-regulated in response to these stress conditions. In contrast, little change was detected in the mRNA expression of Wnt5a, Wnt7b, Fz1, and LRP6. By western blotting we found decreased expression of the β-catenin and p-GSK-3β proteins. Our results thus show that mechanical stress suppresses the canonical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in PDL cells.
        4,000원
        169.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평 배향 액정 모드는 양의 유전율 이방성과 음의 유전융 이방성 액정을 사용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과 양의 유전율 이방성 액정을 사용한 인플래인 스위칭 모드가 대표적이다 . 이 대표적인 세 구동 방식의 화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최척화된 위상지연 값 조건하에서 밝기, 명암대비율과 색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양액정과 음액정을 사용한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가 밝기와 명암대비율 면에 있어서 인플래인 스위칭 모드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또한 양액정을 사용한 프린지 필드 스위 칭 모드는 시야각 방향에서 적은 색 변이 특성을 보인다.
        4,000원
        172.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eld sequential 액정 디스플레이(FSLCD)는 컬러필터를 사용하지 않아 높은 투과율 특성을 보이고 광 원으로 LED를 사용함으로써 색재현성이 매우 우수하다. 하지만 FSLCD(60Hz 구동)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액정의 응답속도가 5ms이하로 고속응답 특성을 보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응답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셀의 최적 구조를 연구하여 5ms 이하의 응답시간을 얻었다. 그리고 ECB 모드에서 높은 구동전압과 시야각을 개선하기 위해 필름 보상을 연구하였다. 판상형 액정필름(discotic film)과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의 위상차 값을 최적화함으로써 구동전압을 5V로 낮추고 상하좌우에서 160° 이상(CR>10:1)의 시야각을 실현하였다.
        4,000원
        173.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리층 두께가 5 μm이며 Si/Al 몰비가 1.5인 Na형 faujasite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이차성장 공정에 의하여 제조하였고, 투과부에 13X 제올라이트 흡착제 충진 전후의 진공모드에서의 CO2/N2 분리거동을 CO2/N2 몰비가 1인 혼합기체에 대하여 30℃에서 평가하였다. 충진된 13X 제올라이트 흡착제는 CO2 투과도와 CO2/N2 선택도를 동시에 증진시켰다. 이 현상은 13X 제올라이트 흡착제 충진이 다공성 α-알루미나 지지체의 기공채널을 통한 CO2 탈출을 증진시킴으로써 faujasite 제올라이트/α-알루미나 상계면에서의 CO2 탈착을 증진시켰기 때문으로 설명되었다. 본 논문으로부터 흡착제와 분리막의 혼성화는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선택도와 투과도의 역비례 관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4,000원
        177.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muno-MemBlot is a technique for detecting, analyzing, and identifying proteins, similar to the Western blot technique but differing in that protein samples are not separated electrophoretically but are spotted through circular or slot templates directly onto the membrane. Recently we developed a new Immuno-MemBlot (IMB) method applying immunoreactions and coloring procedures directly in the wells of MemBlot apparatus, which were connected by canals to perform drainage for reagent application and buffer irrigation. This IMB method was designed to get theimmunoblot results more rapidly and clearly than the previous immunoblot ones.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analytical accuracy of IMB using different biological assay. In the sensitivity test of IMB the monoclonal antibody can clearly detect the 30 ng (about 12 pM) of Mucocidin peptide (35 mer), and is also available to detect at least 10 ng (about 4 pM) of Mucocidin peptide (35 mer). The IMB was effective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methothrexate (MTX) assay for cellular apoptosis. And more, this IMB is useful to screen large number of specific samples with ease and accuracy in a short time. In the screenings for the presence of Mucocidin in saliva the quantitative comparison is conspicuous among 48 persons depend on the different conditions ofgender, drinking and smoking habits, and oral diseases.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even though the target proteins were partly degraded, a specific epitope can be detected if a monoclonal antibody was still reactive. Conclusively, these data suggest that the IMB can be useful in the primary qualitative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roteins in various fluids, i.e., blood, saliva, tear, urine, etc.
        4,200원
        179.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 사고로 누출된 삼중수소에 의한 농작물 오염평가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모델은 동적격실모델로써 작물의 성장 방정식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며, 이로부터 삼중수소 피폭시 작물의 성장단계에 따른 오염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시스템은 크게 대기, 토양, 작물격실로 구성되며, 격실의 삼중수소 농도 변화는 비선형 상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므로 시간에 따른 각 격실의 삼중수소 농도가 계산된다. 모델의 검증을 위해 배추 및 무에 대한 삼중수소 피폭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육단계별 오염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각기 다른 생육단계에 있는 배추와 무를 독립적으로 HTO 증기에 노출시켰으며, 피폭 후 오염된 작물의 tissue free water tritium(TFWT) 및 organically bound tritium(OBT)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작물 부위별 삼중수소 농도 데이터와 모델 예측 값은 대체로 잘 일치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