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2.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는 타각적 방법인 Nott 측정법과 자각적 방법인 BCC 측정법에 따른 CA/C비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양안시 기능을 가진 젊은 성인 34명(평균 22.54±1.66세, 남자 20 명, 여자 14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원, 근거리 사위검사를 포함한 양안시 기능 검사와 조절력 검사를 진행 후 검영기(Streak Retinoscope WEL18245, Welch Allyn, America)와 BCC (binocular crossed cylinder)를 이용하여 프리즘 굴절력과 기저방향에 따른 조절반응량을 측정하여 CA/C 비를 평가하였다. 결과: 타각적 검사법과 자각적 검사법 사이에서 조절반응량의 차이는 모든 프리즘 굴절력과 기저방향에서 MEM 측정법과 BCC 측정법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00), BI에서 BO의 기저방향으로 프리즘 굴절력(△)이 증가할수록 조절반응량이 점차 증가하는 선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프리즘 굴절력과 기저방향에서 CA/C 비는 BCC 측정법이 MEM 측정법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10 △, BI을 제외하고 모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모든 검사법에서 10 △, BI으로 CA/C 비를 측정할 경우 검사법 사이의 평균 차이가 가장 적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 양안시 기능을 가진 사람의 경우, 10 △, BI으로 측정된 CA/C 비의 평균은 MEM 측정법 0.052±0.004 D/△, BCC 측정법 0.057±0.010 D/△로 평가되었다. 결론: CA/C 비는 타각적 측정법에서 더 낮게 나타났으며, MEM 측정법으로 CA/C 비를 측정할 때에는 10 △, BI의 프리즘 굴절력과 기저방향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CA/C 비의 표준값으로 약 0.052 D/△를 제시할 수 있었다.
        3.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대 성인이 움직임이 수반된 동적환경에서 스마트패드를 사용할 때 단안 조절용이성의 이상여부가 조절반응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 및 시기능 이상이 없는 20대 성인 50명 (남자 19명, 여자 31명, 평균나이 23.5±2.4세)을 대상으로 단안 조절용이성과 40 cm거리에서의 조절반응량을 검사한 후, 스 마트패드(삼성갤럭시탭, 7인치, SHW-M180W)를 왕복식 진탕기에 올려놓고 40 rpm (240 deg/sec)의 속도로 상하 움직임이 있는 동적환경 조건에서 30분 동안 40 cm의 거리에서 영상을 시청하게 하였다. 영상시청하는 매 5분마다 조절반응량을 측정하고 단안 조절용이 성의 이상여부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여 조절반응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우위안의 조절용이성이 정상인 경우와 부족인 경우는 모두 영상시청 중 우위안과 비우위안에서의 조절반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우위안의 조절용이성이 부족한 경우는 우위안의 조절반응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비우위안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우위안의 조절용이성이 정상인 경우는 비우위안에서의 조절반응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우위안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우위안과 비우위안의 조절용이성이 모두 정상이거나 모두 부족인 경우는 조절반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비우위안은 단안 조절용이성의 이상여부에 관계없이 동적환경에서의 근업 동안 조절 반응량이 감소하였으나, 우위안의 경우는 이상여부에 따라 조절반응량의 변화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비우위안은 조절용이성의 이상여부와 관계없이 조절적응 현상이 먼저 나타나 반응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우위안은 조절용이성의 이상여부에 따라 조절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사위 그룹에서 가입구면굴절력에 따른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자극(±)AC/A비 및 반응(±)AC/A비의를 측정값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성인 85명(남자 55명, 여자 30명, 평균 만 20.72±1.78세)을 대상으로 검사거리 40cm에서 개방 형 자동굴절계(Nvision-K 5001)와 수정된 토링톤 시표(MIM card, Muscle Imbalance Measure card)를 이 용하여 양안시 상태에서 조절반응량과 근거리 수평사위량을 측정하여 일반적인 경사AC/A비, 자극(±)AC/A 비 및 반응(±)AC/A비를 구하였다. 결 과: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자극(±)AC/A비를 비교하였을 때, 외사위 그룹에서는 (-)렌즈를 부가하 였을 때, 자극(-)AC/A비가 일반적인 경사AC/A비보다 크게 나타났고, 내사위 그룹에서는 (+)렌즈를 부가 하였을 때, 자극(+)AC/A비가 일반적인 경사AC/A비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반응(±)AC/A비를 비교 하였을 때, 외사위 그룹에서는 -0.50D, -1.00D, -1.50D, -2.00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p〈0.05), 내사위 그룹에서는 +0.50D, +1.00D, +1.50D, +2.00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p〈0.05),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입렌즈에 따른 반응(±)AC/A비를 반 복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외사위 그룹에서는 (-)렌즈를 부가하였을 때 그리고 내사위 그룹에서는 (+)렌즈 를 부가하였을 때, 반응(-)AC/A비와 반응(+)AC/A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외사위에서 (-)렌즈 가입, 내사위에서는 (+)렌즈 가입에 따른 조절성폭주량이 큰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렌즈 가입을 통한 양안시이상 처치에서 반응(+)AC/A비와 반응(-)AC/A비를 구분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노안 연령층에서 배경색에 따른 한글서체 인쇄물의 가독성(readability)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57명(평균 나이 65.75±10.85세; 남 23명, 여 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0포인트(pt)의 신명 조 한글서체를 백, 청, 녹, 황색 바탕에 검정으로 인쇄하여 가독성을 평가하였다. 원거리 시력을 교정한 후 근거리 시력은 40 cm거리에서 0.5(6.3 pt)을 읽도록 교정하였다. 대상자가 선호하는 색상을 조사하였고, 1분 간 올바르게 읽은 글자 수(words per minute, wpm)를 읽기속도하여 가독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가독성은 백색 배경에서 가장 높았고, 녹색 배경에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색 선호도와 일 치하였다. 배경색에 따른 남녀 및 수술과 비수술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또한 배경색별 오류 빈 도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독성에서 색차 간의 유의성은 없으나 명도 차이 간의 유의성은 약한 양의 상 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백색 바탕의 검정 문자에서 일반적으로 높은 가독성을 보였다. 배경색에 따른 가독성의 차이는 명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부분 설명이 가능하나 시각 기능과 시 환경과 같은 다양한 요인을 제시하여 설명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4,000원
        6.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tudied on the high temperature brazing process of the titanium frame of spectacles using the tensile test apparatus. The titanium rods, 50 mm in length and 3 mm in diameter, were polished with #2000 emery paper and brazed using the high frequency induction brazing method. Morphologi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pure titanium surface were observed using SEM and EDX. The chemical compositions were observed using AES in the brazed seam, brazed interface, base metal.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rnarized as follows. The tensile strength of titanium frame was measured 392.25 MPa at the brazing temperature 96o·c. The tensile strength of titanium frame was measured 398.65 MPa at the Ar gas injection speed 25 Q/min, temperature 96o·c. AES data for the brazed interface region showed that the diffusion of Ag, Cu and Zn occurred to the titanium.
        4,000원
        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렌즈제품들의 품질을 알아보기 위해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근시성 난 시 교정용 토럭렌즈들의 굴절력과 광학중심부 두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국내산제품들과 해외브랜드 제품간의 질적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국내산 제품 일 부분에서 허용기준을 벗어난 경우가 있었다. 본 결과들을 통해 볼 때, 국내산제품들이 해외시장에서 더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규격의 표준화를 통해 굴절력 및 두께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엄격하 고 정멸한 품질관리 빚 공정관리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8.
        199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111)표면위에 Au의 증착량과 기판온도에 따른 표면구조의 변화를 RHEED(Reflection High Energy Electron Diffraction)상(pattern)과 RHEED상의 회절반점(spot)강도변화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Si(111) 7×7구조를 Au 를 0.1ML-0.4ML증착후에 기판을 350˚C-750˚C로 수초간 가열하면 7×7구조에서 7×7 + 5×2의 혼합 구조로 변화하였으며 증착량 0.4ML-1.0ML에서는 RHEED상이 기판온도와 증착량에 따라 5×2,α- √3 × √3,β- √3 × √3의 구조들이 관찰되었다. 6×6구조는 기판온도 270˚C-370˚C에서 증착량 0.8ML에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1ML에서 완성되었다. 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를 이용한 α- √3 × √3,5 × 2구조에서의 Au원자의 이탈과정 조사에서 이탈 에너지는 각각 79kcal/mol, 82kcal/mol로 조사되었다.
        4,000원
        9.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111) 표면위에 Si을 homepitaxial 성장시킬때 중간 금속인 Ag, Sn등을 흡착시키지 않을 경우와 흡착시킬 경우 RHEED(Reflection High Energy Electron Diffraction)상의 경면반사점(specular spot)강도의 주기적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두 경우의 Si결정성장 과정의 차이점을 관찰하였다. 중간금속을 흡착하지 않을 경우 성장 초기에는 흡착Si원자가 Si(111) 7×7 구조의 Stacking Fault층을 먼저 채우고난 후 정상적인 충상성장을 하기 때문에 성장초기에는 불규칙적인 진동을 나타내다가 약 6ML정도부터 주기적인 진동으로 바뀜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중간금속인 Ag, Sn을 Si(111)위에 1ML흡착시키면 Ag의 경우 300~600˚C, Sn의 경우 190~860˚C의 시료온도에서 표면구조가 √3×√3구조로 바뀜이 RHEED상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난 후에 Si을 흡착시킬 경우 RHEED 상의 경면반사점 강도는 초기부터 주기적일 변화를 가짐이 관찰되었으며√3×√3구조는 변함이 없었다. 또한 보다 낮은 시료 온도에서 많은 진동이 관찰되었다. 이는 중간금속이 성장표면쪽으로 편석하면서 흡착원자 Si의 표면확산에 대한 활성호 에너지를 감소시켜 주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4,000원